최종편집 2025년 04월 24일 05시 45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최태원 "앞으로 '이것' 대응 못하면 제품 못 팔아"…기후위기·RE100 강조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15일 경기도 용인시에 건설중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현장을 방문해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을 강조하며 "앞으로 그린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올라가고 이에 대응하지 못 하면 제품을 못 팔게 된다"고 말했다. 기후변화와 RE100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RE100은 기업이 상품 생산에 필요한 전
박세열 기자
2023.09.16 12:01:31
치솟는 국제유가, 배럴당 90달러 돌파…확산되는 스태그플레이션 공포
국제유가 7월 대비 20% 넘게 올라…세계 경제 불확실성 커졌다
브렌트유에 이어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 가격도 배럴당 90달러를 돌파했다. 국제유가가 짧은 기간에 무섭게 치솟으면서 고물가-저성장세가 이어지는 스테그플레이션 공포가 확산하고 있다. 14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SE)에서 10월 인도분 WTI 선물 가격은 전장 대비 1.64달러(1.85%) 올라 배럴당 90.16달러가 됐다. 연중 최고가다. W
이대희 기자
2023.09.15 10:58:40
재생에너지 전환 늦추는 尹 정부 정책, 경제도 망친다
[초록發光] 경제와 재생에너지
2014년 국제 비영리환경단체 The Climate Group과 탄소공개프로젝트(CDP)가 파리협정 성공을 이끌기 위해지지 캠페인 형식으로 시작한 RE100은 이제 기업운영의 표준이 되어가고 있다. 2023년 현재 415개 기업이 회원으로 가입해 재생에너지 소비 비중을 49%까지 키우고 재생에너지 전력의 100% 전환 목표 시기는 종전 2050년에서 204
박진희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이사장
2023.09.14 11:00:56
기름값 오르니 미국 물가 상승세 2개월째 강화
美 8월 CPI 3.7% 올라…국제유가 연내 최고점에 자극
미국의 물가 오름세가 다시 관측됐다. 다만 근원물가 상승률은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미국 기준금리 정책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이냐에 시장이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13일(현지시간) 미국 노동부는 미국의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3.7%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전월(7일) CPI 상승률 3.2%보다 높았다. 이에 따라 미
2023.09.14 10:05:41
은행 주담대 한달새 7조 증가…가계대출 또 사상 최대
은행 주담대 3년 6개월來 최대폭 증가…'빚내 집사기' 멈출 줄 몰라
지난달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이 3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은행 가계대출잔액은 다시금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정부의 가계대출 완화 정책이 시간이 갈수록 가계 부채 위험을 키우는 모습이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8월 금융시장 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달 은행의 주담대는 전월 대비 7조 원 증가했다. 이 같은 증가폭은 2020년
2023.09.13 15:05:26
2분기 기업 성장성·수익성 지표 일제 하락
2분기 매출액 1년 전보다 4.3% 감소…팬데믹 이후 처음 나타나
올해 2분기 들어 한국 기업의 매출액이 1년 전보다 4.3%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률은 1년 전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한국 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이 모두 약화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2일 한국은행은 외부감사대상 법인 2만2962개사를 대상으로 실적 등을 조사한 결과 이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한은 자료를 보면, 올해 1분기 0
2023.09.12 15:54:53
집값 올리는 전세, 욕망의 '거품' 부동산 멈추면 사라진다
[조정흔의 부동산 이야기] 지금 필요한 정책은 토지임대부 분양주택 공급
전세는 우리나라의 민간 임대주택 공급시장에서 큰 역할을 하였던 임대차제도다. 80년대 유년시절, 나는 작은 마당이 있는 서울 변두리 단독주택에 살았다. 방 3개, 욕실과 거실, 마당에 재래색 화장실이 있던 우리 집에는 3가구가 모여 살았다. 가능한 한 많은 방을 내어 전세를 줬다. 건넛방에는 중고생 아들 둘을 둔 아주머니네 가족이 살았다. 지하실은 원래
조정흔 감정평가사
2023.09.12 05:41:22
9월에도 수출 감소세 여전…1~10일 무역적자 16.4억 달러
수출 감소 12.7억, 수입 감소 21억 달러
이달 들어서도 수출 실적 감소세가 이어졌다. 수출 감소세보다 수입 감소세가 더 큰 모습도 여전히 관측됐다. 1~10일 수출 149억 달러 11일 관세청이 발표한 이달 1~10일 수출입 현황 자료를 보면, 이 기간 한국의 수출액(통관기준 잠정치)은 148억6000만 달러를 기록해 지난해 같은 달(161억3000만 달러)보다 7.9%(12억7000만 달러)
2023.09.11 10:13:30
한덕수 "재정 안 풀어도 성장 잠재력은 확충"한다면서 R&D 삭감?
대정부질문서 재정정책 논란…"재정 위기 방지 중요"하다면서 재정 더 악화?
한덕수 국무총리가 경기 침체 대응을 위해 지금은 재정을 확장할 때가 아니라고 강변했다. 올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일본에 역전당할 가능성이 거론됐으나 한 총리는 "추락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7일 한 총리는 국회 대정부질문에 출석해 '윤석열 정부 들어 한국의 상반기 GDP 성장률이 25년 만에 일본에 역전됐다'는 지적에 "세계경제가 고금리,
2023.09.07 18:38:09
5억 날아갔는데 '전세사기 피해 아냐' … "내 피해는 누가 조사?"
전세사기 특별법 보완한다지만 피해자들 "피해조사 없는 법 개정은 '쇼'"
청년세대 신혼부부 오지현 씨는 전세사기 피해자이지만 피해를 인정받진 못하고 있다. 가구 합산소득 7000만 원 이하, 보증금 5억 원 이하의 '피해자 자격'에 해당하지 않아서다. 전셋값이 급등하던 지난 2021년 입주한 전셋집의 보증금은 5억 2000여만 원으로 지난 6월 시행된 전세사기 특별법상 피해자 자격 기준을 아슬아슬하게 초과했다. 입주한 이듬해에
한예섭 기자
2023.09.07 14:2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