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7월 04일 18시 47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리영희와 시작하는 앎
[다시! 리영희] 30년 집필의 깨달음
1. 리영희와 피로 "나는 이제 가벼운 피로를 느낀다. 펜을 무기 삼아 싸우는 전선에서 크고 작은 부상을 입은 것도 여러 번이고 흉포한 권력의 포로가 된 것도 너덧 차례나 된다. 국가와 현실 상황은 아직도 가열한 전투를 예고하지만, 개인에 따라서 잠시 쉬면서 상처를 아물게 하고 기운을 회복할 필요 또한 절실할 수가 있다. 개인적 상황과 심정적 상태를 그린
최진호 읽기의집,점필재연구소 연구원
2024.04.16 17:47:50
벌써 30도 넘는 한여름 더위…이래도 되나?
서울 29.4도, 영월·춘천 등은 30도 넘어
14일 서울의 낮기온이 섭씨 30도에 육박하는 한여름 날씨를 보였다. 일부 지역에서는 섭씨 30도가 넘는 고온 현상이 관측됐다. 이날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서울의 낮기온은 섭씨 29.4도까지 올랐다. 당초 예보에서 섭씨 30도에 이르리라는 전망이 나온 가운데, 실제 기록적인 수준의 기온 현상이 나타났다. 이 같은 기온은 4월 기준 역대 가장 더웠던 20
이대희 기자
2024.04.14 17:43:48
더 나은 인생을 위한 '그만두기'의 기술
[최재천의 책갈피] <그릿>, <퀴팅>
그릿(GRIT)이 있다. 'IQ, 재능, 환경을 뛰어넘는 열정적 끈기의 힘'이다. 다들 성공을 꿈꾸기에 그릿은 찬양되어야 마땅하다. "그릿을 미덕으로 여기는 것은 종교개혁의 유산입니다. 아메리칸드림의 일부이기도 하고요." (애덤 그랜트) 하지만 현실은 그릿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일이 더 많을 수 있다. 책에서 필즈상 수상자 허준이 교수를 만난다. 그의
최재천 법무법인 헤리티지 대표 변호사
2024.04.13 15:14:48
무한 경쟁에 지친 이들을 위한 제안, 니힐리스트로 사는 법
[프레시안 books] 문성훈 <니힐리스트로 사는 법>
한국 사회에서 서열은 불안감과 불행감의 원천이다. 많은 사람들이 추구하는 돈, 학벌, 지위, 외모는 서열화되어 있다. 극소수의 사람만이 높은 서열에 속할 수 있지만, 그곳에 속한 사람들도 마냥 편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건물 옥상에 서 있는 사람들처럼 추락하지 않으려 안간힘을 쓴다. 그곳에 속하지 못한 사람들은 높은 곳으로 올라가기를
곽영윤 고려대 철학연구소 연구교수
2024.04.13 14:59:00
세상과 영화는 종종 위험한 섹스의 반란을 꿈꾸고 그것을 실현한다
[영화, 시대를 넘다] <라스트 썸머>
프랑스 지성을 대표하는 여성감독 카트린느 브레야의 영화는 역설적으로 일본 로망 포르노의 내러티브 구조를 닮았다. 로망 포르노는 20분 안에 한 번씩 성애 묘사, 그것도 노골적인 섹스 장면을 넣을 것을 규칙으로 한다. 브레야의 영화들도 그렇다. 다만 일본 로망 포르노의 섹스 신은 얄팍한 서사를 감추고 관객들의 시선을 붙들기 위해서지만 카트린느 브레야의 그것은
오동진 영화평론가
2024.04.13 14:14:18
'이준석당'의 역습, 또다른 혐오 대상 '고령자 씨'가 걱정된다면?
[프레시안books] 고령자 씨, 지금 무슨 생각하세요?
4.10 총선 결과의 특이점 중 하나는 개혁신당이었다. 후보 리스크가 생긴 더불어민주당의 틈새를 파고든 이준석 대표가 끝내 지역구를 뚫어냈고, 그의 측근인 천하람 당선인까지 비례대표로 원내 진입에 성공했다. 거대양당과의 관계를 단절한 다른 제3지대 정당들이 모두 원내진입에 실패했음을 생각한다면, 가히 역습이라 부를만 한 결과다. 다만 이 역습을 가리켜,
한예섭 기자
2024.04.13 05:03:40
"경쟁·능력주의·공정 '야만의 트라이앵글' 깨야 한국의 미래가 있다"
[픽터뷰] <경쟁교육은 야만이다> 저자 김누리 중앙대 교수
"경쟁 교육은 야만이다!"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 <우리에겐 절망할 권리가 없다> 등을 통해 '한국형 불행'의 근원을 제시하며 큰 반향을 불러일으킨 김누리 중앙대 교수의 신간 제목이다. 경쟁 교육은 야만…오만한 엘리트와 열등감을 내면화한 대중을 양산한다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OECD 국가 중 꼴찌(2021년), 청
전홍기혜 기자
2024.04.07 05:07:39
가자지구 전쟁이 BTS, 뉴진스팬들의 치열한 논쟁 장소가 된 이유는?
[케이팝 다이어리] 트랜스내셔널 팬덤의 행동주의와 가자지구 전쟁
커피전문점 체인 스타벅스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에 벌어진 가자지구 전쟁을 둘러싼 논란 속에서 '친이스라엘 기업'으로 지목돼 불매 운동에 시달리고 있다. 지난해 10월, 미국 스타벅스 노동조합인 '스타벅스 노동자 연합'은 자신들의 공식 SNS에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글을 올렸다. 그러자 스타벅스는 '이런 내용에 스타벅스 로고를 사용하지 말라'며 노조를 상
이지행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 전임연구원
2024.04.06 19:01:29
울산 디스토피아? 대한민국 디스토피아, 그 파국 막으려면…
[픽터뷰] <울산 디스토피아, 제조업 강국의 불안한 미래> 저자 양승훈 경남대 교수
우스갯소리로 "지나가는 개도 돈을 물고 다닌다"는, 지역내총생산(GRDP) 전국 1위의 부자 도시 울산광역시가 청년층 신규 고용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장년 노동자, 퇴직자 중심의 늙은 도시가 되어 가고 있다. <울산 디스토피아, 제조업 강국의 불안한 미래>(양승훈 지음, 부키 펴냄)는 '대한민국 산업수도'라 불리는 울산의 위기를 통해 제조업과 수
2024.04.06 12:09:09
중국 고대사를 대하는 '인식의 혁명'을 요청한다
[최재천의 책갈피] <상나라 정벌> 리숴 글, 홍상훈 역
책을 읽던 중 불현 듯 두 사람이 떠올랐다. 리튬이온전지 개발로 2019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요시노 아키라. 그는 교토대 재학 시절 고고학 동아리에서 활동했던 것이 노벨상을 받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했다. 문자가 없던 시대에 연구의 실마리가 되는 것은 출토된 토기 등의 물적 증거뿐인데, 고고학 발굴에 힘쓰면서 이런 '증거'를 겸허하게 대하는 자세를 배웠다
2024.03.30 20:0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