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10월 25일 16시 54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미국이 트럼프에 강렬한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진짜 이유는?
[최재천의 책갈피] <도둑맞은 자부심> 앨리 러셀 혹실드 글, 이종민 번역
미국 위스콘신주에 제인스빌이라는 동네가 있다. GM공장 덕분에 평화로운 중산층의 삶이 가능했다. 그런데 GM공장이 폐쇄됐다. 도시는 신빈곤층 지역으로 쇠락하고 말았다. 2019년 한겨레 이세영 부장이 번역한 에이미 골드스타인의 <제인스빌 이야기>는 일자리의 위기가 어떻게 삶의 위기로 전환되는지를 고통스럽게 증언한다. 켄터키주의 파이크빌이라는
최재천 법무법인 헤리티지 대표 변호사
2025.09.23 13:23:22
'예술의 신' 디에고 리베라, 그러나 '짐승' 같은 이면
[손호철의 벽화 기행] 3. '벽화의 황제' 리베라는 왜 프리다 칼로에게는 최악이었나?
"예술가는 그 무엇보다도 심층까지 근본적으로 인간적인 한 명의 인간이다. 만일 예술가가 인류가 느끼는 모든 것을 느끼지 못한다면, 예술가가 자신을 잊어버리고 자신을 희생할 때까지 사랑할 수 없다면, 그가 마법의 붓을 내려놓고 억압자에 대항하는 투쟁으로 향하지 않는다면, 그는 위대한 예술가가 아니다." (디에고 리베라. 1886~1957) "하하하". '멕
손호철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2025.09.23 05:11:05
부산국제영화제 간 李대통령 "나보고 배우 이름 아느냐고…?"
"영화는 종합예술, 근본부터 성장하도록 영화제작 생태계 관심 갖겠다"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부산국제영화제를 방문해 감독과 배우 등 영화인들을 격려하고 관객들과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이 대통령 부부는 이날 부산 해운대 영화의 전당 시네마테크에서 앤솔로지 영화 <극장의 시간들>을 관람하고 감독 및 배우들과 함께한 '관객과의 대화(GV)' 행사에 참여했다고 강유정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으로 전했다. 강 대변인은 "
곽재훈 기자
2025.09.21 10:31:21
젠더 이론 대가가 '트럼프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현실이 보여주는 것은?
[프레시안 books] 주디스 버틀러 <누가 젠더를 두려워하랴>
"누가 젠더를 두려워하랴(Who's afraid of gender?)"라는 세계적인 철학자이자 젠더 이론의 최고 권위자인 주디스 버틀러 캘리포니아주립대학(UC 버클리) 교수의 물음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답변했다. 트럼프 정부가 미국 전국 대학 내 '반유대주의 대응 정책'을 실시하고 있는 가운데, UC 버클리는 지난 11일(현지시간) 160명의 학
전홍기혜 기자
2025.09.20 11:24:26
'마돈나하우스'에서 만난 인생 최고의 선물은…
[프레시안 books] 주은경 <나의 오래된 순례, 마돈나하우스>
어떤 사람을 만나고 나서 "10년 전에 만났어야 하는데"라는 혼잣말이 나온다면, 그 사람은 십중팔구 좋은 사람이다. "우리가 1년 전에만 만났어도"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 전자는 나이가 좀 든 축에 속할 테고, 후자의 '우리'는 상대적으로 젊은이들일 것이다. 여기서 10년이나 1년은 큰 의미가 없다. 늦었지만 서로 알게 되었다는 것이 중요하다. 나는 이런
이문재 시인
2025.09.20 11:18:40
"정의가 없으면 평화도 없다"…벽화에 담긴 혁명 영웅의 생애
[손호철의 벽화 기행] 2. 멕시코혁명 지도자 사파타의 흔적을 찾아서
"민중에게 정의가 실현되지 않는 한, 정부에게 평화란 없다."(에밀리오 사파타. 1879~1919) '땅과 자유'. 멕시코시티에서 남쪽으로 두 시간을 달려가면 '멕시코의 곡창'인 모렐로스주가 나타난다. 고속도로를 벗어나 시골길로 들어서자 흰 벽에 붉은 글씨로 쓰여 있는 것이 멕시코혁명의 영웅 에밀리오 사파타(E. Zapata)의 혁명구호였다. 이 지역에서
2025.09.18 07:37:55
역사의 법정에 세운 300인의 이름
[기고] 반헌법행위자열전과 시민의 심판 전시회
한홍구 성공회대 석좌교수(반헌법행위자열전편찬위원회 책임편집인)는 이번 전시 서문에서 이렇게 고백한다. “반헌법행위자열전 발간을 기념하는 전시로 기획되었는데, 책 출간이 늦어져 ‘출간 예고전’이 되고 말았습니다.” 그는 책 출간이 늦어진 탓에 전시 준비 과정에서 주용성 작가와 박만우 선생에게 충분한 도움을 주지 못했다고 사과하면서, “수십 번의 준비모임을 빼
김성수 <함석헌 평전> 저자
2025.09.17 07:58:04
멕시코 화가들은 왜 이젤 대신 벽에 혁명을 그렸나
[손호철의 벽화 기행] 1. '벽화의 정치' : 현대 민중벽화를 찾아서
벽화는 인류의 가장 오래된 예술 수단이다. 특히 대중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중요한 예술장르다. 손호철 서강대 명예교수(정치학)가 '현대 민중벽화의 메카'인 멕시코와, 오랜 내전 속에 '벽화 전쟁'으로 세계에서 단위면적 당 가장 많은 벽화가 그려져 있는 북아일란드의 벨파스트를 다녀왔다. '벽화의 정치'에 대한 그의 글을 사진들과 함께 연재한다. <편집자
2025.09.16 06:14:45
즉흥극과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경험 사이의 놀랄만한 공통점
[최재천의 책갈피] 키스 존스톤의 <즉흥연기>
후배들과 함께하는 토론 모임이 하나 있다. 빅데이터 분석기업인 '팔란티어'에 대해서 공부한 적이 있다. 출장길에 읽으라며 함께했던 윤성우 선생이 책을 하나 선물해 왔다. 2000년에 번역 출간된 연극에 대한 책이다. 캐나다 캘거리 대학의 명예교수이자 루스 무스 극단의 예술감독인 키스 존스톤의 <즉흥연기>. 순간 '이게 뭐지' 하자 친절한 설명이
2025.09.15 18:03:16
블록버스터 게임 경쟁 시대에도 '적정 기술'이 필요하다
[게임필리아] 게임 산업이 자원 경쟁을 넘어서려면
적정기술이란 단어에 익숙하신 분도. 생소하신 분도 있으리라 생각한다.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은 개발 도상국을 대상으로 인프라와 유지보수가 필요한 최신 기술 대신 친환경적이고 안정된 기술을 제공해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개념이다. 처음에는 중간기술이란 단어로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저전력 기술이나 커뮤니티에서 활용할 수
오영욱 게임개발자 겸 연구자
2025.09.13 15:5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