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4월 27일 12시 21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소설가 송금호 신작 <파로호>…두 개의 비극이 담긴 강원도 화천의 호수
[프레시안 books] <파로호> 송금호
송금호 작가가 신작 장편소설 <파로호>를 펴냈다. 작품의 무대는 강원도 화천의 파로호. 일제강점기 강제 노역과 한국전쟁 당시 수많은 희생이 있었던 소다. 소설은 이 호수에 얽힌 두 개의 비극을 통해 민족의 상처와 화해의 가능성을 조명한다. 중공군을 깨뜨렸다는 의미의 파로호(破虜湖)의 원래 이름은 날갯짓 한 번에 구만리를 난다는 뜻을 가진 대붕
박세열 기자
2025.04.07 10:30:52
파친코에서 바다이야기까지…한국 초창기 게임사
[게임필리아] 한국 게임의 역사와 사행성
한국 게임의 역사, 특히 온라인게임이 부상하기 이전의 초창기 역사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무엇보다 관련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인데, '게임'보다는 '전자오락'이나 '전자유기'라는 이름으로 불리던 시절의 공식적인 기록 같은 것이 특히 부족한 편이다. 그래도 그나마 공신력 있게 찾아볼 수 있는 자료 중 하나가 당대의 법령이다. 법령의 제정 및 개정 과정을 살펴
나보라 연구자
2025.04.05 12:13:55
영화인들, '尹 석방'에 <파묘> 소환…"뭐가 나왔다고, 거기서. 겁나 험한 게"
배우 박해일·정진영과 감독 김성수·임순례 등 1025명, '윤석열 파면' 촉구 영상 성명 공개
배우 박해일·정진영 씨를 비롯한 감독 김성수·정지영·임순례·허진호·장준환 씨 등 영화인 1000여 명이 "헌법재판소는 피소추인 윤석열을 즉시 파면하고 헌법을 수호하라"며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영상 성명을 발표했다. 영화산업 위기극복 영화인연대는 1일 "12.3 내란 이후 윤석열을 즉시 탄핵하여 대한민국 헌법을 수호할 것을 요구해왔다"며 1분 52초
이명선 기자
2025.04.02 10:57:57
윤석열 대통령, 신평·나경원·전한길 등과 '12.3 내란' 책 낸다
신평 "尹의 계엄 선포, '87체제'에 대한 저항…책에 '탄핵 반대' 시민혁명 기술"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를 코앞에 둔 윤석열 대통령이 자신의 멘토 신평 변호사, 국민의힘 김기현·나경원·윤상현 의원,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 등과 함께 '12.3 내란 사태'에 대한 책을 출간한다. 신 변호사는 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새로운 대한민국> 출간'이라는 제목으로 글을 올리고 "김기현, 나경원, 도태우, 백지원, 복거일, 신평,
2025.04.01 15:57:45
왕십리 똥파리, 강남 복부인, 마담뚜…서울, 그 하찮은 것들의 역사
[최재천의 책갈피] <서울시대> 유승훈 글, 생각의힘
어린 시절 구석기 시대 돌도끼와 동굴 몇 개 암기하다 보면 역사에 대한 흥미가 사라지곤 했다. 그러다보니 정작 우리 시대의 역사, 생활사, 풍속사는 살피지 않았다. 사실 읽을만한 책도 드물었고. 역사 공부는 고대사가 아니라 당대사여야 한다는 믿음으로 산다. 예나 지금이나. '옛 우물에서 맑고 새로운 물을 긷는다.(舊井新水)'라는 신념을 가진 저자 유승훈
최재천 법무법인 헤리티지 대표 변호사
2025.03.29 19:59:45
전복된 스승과 제자의 관계, 그 이후에 남는 것은 무엇인가?
[이동윤의 무비언박싱] <승부>
이미 결론이 나 있는 과거의 사건을 영화화 하는 것은 어떤 의미를 지닐까? 조훈현과 이창호, 세기의 대결, 1990년대에 바둑을 두지 않았다 하더라도 각종 언론과 광고를 잠식했던 두 사람의 명성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특히 스승을 제압한 제자, 청출어람을 넘어서 제자가 스승에게 압승하는 풍경은 그 자체로 드라마였으며 많은 이들을 흥분케 한 사건이었다.
이동윤 영화평론가
2025.03.29 14:35:14
한국방위산업연구소 'K-방산 브리프' 전문도서 출간
[신간] 방산 전문가 최기일 등 12명 참여
올해 설립 3주년을 맞은 한국방위산업연구소(소장 최기일)가 K-방산의 지속가능한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K-방산 브리프(K-Defense Brief)>(도서출판 진영사) 전문서적을 출간했다. K-방산 브리프는 "뉴 노멀 시대에 있어 안보와 경제, 기술이 삼위일체되는 뉴 디펜스 시대를 열어 K-방산과 미래 국방의 혁신적인 비전 추진전략을 제시합니다
2025.03.27 15:35:14
'5년 후 10배 오를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는 방법은?
[신간] <5년 후 10배 오를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라> 이해진·이시문 글, 헤리티지북스
코로나19를 거친 후 수차례 격변을 거친 바이오 시장이 최근 새로운 모습으로 떠오르고 있다. 트럼프발(發) 관세 공포가 전 세계 시장을 흔들고 있는 상황에서 어떤 바이오 기업에 투자를 해야 할까. <5년 후 10배 오를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라>(이해진·이시문 글, 헤리티지북스)는 격변하는 시장 속에서도 향후 빅바이오텍으로 탄탄하게 성장할 국내
프레시안 문화
2025.03.25 17:46:39
이건 사진집일까, 수학책일까, 역사의 기록일까?
[최재천의 책갈피] <지우지 마시오> 제시카 윈 글, 조은영 번역
아름다운 책을 만났다. 아름다운 책은 생각과 추억의 실타래를 끌어당긴다. "수학자는 화가나 시인처럼 패턴을 만드는 사람이다." (수학자 G.H 하디) 패턴은 칠판에 표현된다. 그래서 칠판과 (이제 한국에서 생산하는 하고로모)분필은 수학자가 일할 때 가장 자주 쓰는 방식이자 도구가 된다. "음악가가 제 악기와 사랑에 빠지듯 수학자는 제 칠판을 사랑한다."
2025.03.22 11:17:17
금융이 우리 사회 '진보'와 만날 수 있을까
[프레시안 books] <부자 은행, 가난한 사회>
금융의 가장 큰 특징은 이중성을 갖는다는 점이다. 금융이 생산적인 부문과 연계를 맺을 때는 산업 발전, 고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금융이 부동산 담보대출과 같은 비생산적인 부문과 연계를 맺을 때는 사회적인 금융자원의 낭비, 부동산 투기, 자산 불평등의 확대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당연히 금융자원이 생산적인 부문을 지원하는
이대희 기자
2025.03.22 09:0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