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4월 21일 21시 58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도스토옙스키, 톨스토이, 숄로호프…지금도 가슴이 뛴다
[최재천의 책갈피] <러시아의 문장들> 벨랴코프 일리야 글
"러시아는 머리로 이해할 수 없고/ 평범한 척도로는 측정할 수 없다./ 러시아는 그 자체로 특별하므로/ 그저 러시아를 믿을 수밖에 없다." (표도르 튜체프 <러시아는 머리로 이해할 수 없다>) 어린 시절 러시아 문학이 러시아를 이해하는 전부였다. 누구나 그러했듯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레프 톨스토이, 미하일 숄로호프... 지금도 가슴이 뛴다.
최재천 법무법인 헤리티지 대표 변호사
2025.03.15 19:27:50
확률형 아이템, 유럽은 어떻게 규제할까?
[게임필리아] '카더라' 많은 국내 정보, 나라마다 다른 규제 현실
확률형 아이템? 최근 게임업계에서 확률형 아이템 이야기가 많이 거론된다. 확률형 아이템이란, 말 그대로 확률적으로 보상을 획득할 수 있는 아이템을 말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뽑기"(또는 "가챠")라고 보면 되는데, 구체적인 법률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게임산업진흥법 제 2조 11항] "확률형 아이템"이란 게임물 이용자가 직접적·간접적으로 유상으
박솔잎 알토대학교 연구원
2025.03.15 18:34:56
'운 vs. 재능' 논쟁에 종지부를 찍고 싶습니까?
[최재천의 책갈피] <어떤 일은 그냥 벌어진다> 브라이언 클라스 글, 김문주 번역
세상은 운일까 노력일까. 삶은 결정론일까 비결정론일까. 인간의 자유의지는 어디까지 통하는 걸까.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은 설명이 가능할까. 원인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는 분명할까. "수업을 듣고 있는 일란성 쌍둥이가 있다. 한 명은 창 밖을 내다보다 날아가는 새 한 마리에 정신을 빼앗긴다. 한 명은 선생님이 설명하는 어떤 시에 흠뻑 빠져들어 평생토록
2025.03.08 15:08:08
미키 17, 낯설지만 귀여운 봉준호 감독의 해피엔딩 세계
[이동윤의 무비언박싱] <미키 17>
끊임없이 반복해 죽어야만 하는 직업을 가진 청년의 이야기. <미키 17>은 자연스럽게 현대 사회의 노동권 문제를 거론한다. 야심차게 개장한 마카롱 가게가 폭망하고 거액의 빚에 쪼들려 지구를 떠나 극한 직업을 택할 수밖에 없던 미키의 전사前史는 현재를 살아가는 MZ 세대들의 극한 상황을 빗댄다. 인간 복제에 대한 윤리적인 문제 제기와 종교적 파시즘
이동윤 영화평론가
2025.03.01 20:36:39
"삼성은 존경할 만한 상대가 아니라 위협적인 상대요"
[최재천의 책갈피] <TSMC 세계 1위의 비밀> 린훙원 글, 허유영 번역
과거를 읽는 이유는 과거에서 교훈을 얻으려는 거다. 역사는 반복되기 마련이다. 역사가 아니라 인간의 본성이 반복되기 때문이라는 이도 있지만. 미래를 읽는, 예측하는 이유는 미래에 대한 불안 때문이다. 예측을 통해 준비하려는 거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읽어야할 시대는 바로 당대다. 오늘이다. 어제도 내일도 아닌. 그래야 아침에 나갈 때 우산을 가지고 갈지 양산
2025.03.01 16:59:02
청화백자로 돌아보는 인류문명사
[프레시안 books] <세계문화 바꾼 청화백자>
청화백자. 백자에 청색 코발트 안료로 무늬를 그려 넣은 화려한 도자기다. 중국에서 1320년대 후반에 탄생한 양식이니 이제 탄생 700주년을 앞두고 있다. 한국에서는 15세기경부터 본격화해 조선 말기까지 만들어졌다. 청화백자의 존재 자체가 한반도가 세계와 교류했음을 보여준다. 과거 회회청(回回靑)으로 불린 코발트는 이슬람권이 원산지여서 전량 수입해야 했기
이대희 기자
2025.03.01 12:58:19
국가의 기억상실증을 획책하는 사람들의 기억은?
[안치용의 노벨문학상의 문장] 파트릭 모디아노 <어두운 상점들의 거리>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이냐고 (그가) 나에게 물었다. "나요? 추적할 일이 하나 있어요." "추적할 일…?" "예. 나의 과거를 추적하는 일 말입니다…." 그가 미소를 지었다. "당신이 언젠가는 과거를 되찾게 될 거라고 늘 생각했어요. 나는 그것이 정말 그럴 만한 가치가 있는 건지 잘 모르겠어요…." 그는 되들아보지도 않고 한걸음에 나갔다. 나는 공허함을 느
안치용 인문학자, ESG연구소장
2025.02.23 11:02:35
여기 인류의 운명을 바꾼 100가지 식물이 있다
[최재천의 책갈피] <100가지 식물로 읽는 세계사> 사이먼 반즈 글, 이선주 번역
2011년 어느날 큰 애가 다니던 초등학교 5학년 교실. "우리 할아버지 직업은 OO다." "우리 할아버지는 OOO다." (아버지가 아닌) 할아버지에 대한 논쟁이었다는게 흥미롭다. 가만히 듣고만 있던 우리 아이가 끼어들었다. "우리 할아버지는 농부다. 농부가 얼마나 중요한 줄 알아." 그렇게 논쟁은 끝났단다. 우리는 목축보다는 농업의 시대를 살아왔다.
2025.02.22 13:14:11
SH 갤러리, 코이즈미 료 개인전 'A RAY OF LIGHT' 개최
후쿠시마서 작품 활동…3월 8일까지 SH 갤러리 서울서 전시
"나는 몇 번이고 물감을 쌓아 올립니다. 규칙성과 우발성, 색채의 요소를 통해 빛을 회화에 가둡니다." SH 갤러리 서울이 올해 첫 전시작가로 코이즈미 료(Koizumi Ryo, 小泉 遼)를 선택했다. 일본 후쿠시마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코이즈미 료는 자연과 선(禪), 만다라, 순환성 등 동양적 사유의 탐구를 작업에 반영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철학
유동주 문화전문기자
2025.02.21 07:58:24
한양대에서 한겨레신문사까지…리영희 스승과의 26년 인연
[다시! 리영희] 리영희 스승과의 만남
스승 리영희 선생과의 만남은 내 삶의 이정표였다. 리영희란 이름은 70~80년대 당시 의식 있는 대학생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었다. 그러나 박정희 정권과 전두환 신군부의 탄압에 수감생활을 오래 하셨기 때문에 선생의 강의를 직접 듣는다는 것은 하늘의 별 따기처럼 어려웠다. 그런 면에서 난 운이 좋은 사람이다. 한양대학교 사회대학 신문방송학과 학부와 한양대 언
김연수 한양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겸임교수
2025.02.21 06:3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