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11월 01일 19시 11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내가 前 대통령이 될 일은 없다" 호언했던 독재자는 왜?
[최재천의 책갈피] <독재자는 어떻게 몰락하는가> 마르첼 디르주스 글, 정지영 번역
"내가 자이르(Zaire)의 전(前)대통령으로 알려지는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자이르의 독재자 모부투 세세 세코의 말이다. "독재자가 된다는 것은 결코 내려설 수 없는 트레드밀에 갇히는 것과 같다. 한순간이라도 방심했다가는 트레드밀에서 떨어져 다치고 만다. 한번 트레드밀에서 떨어진 독재자는 결코 그 자리에 다시 올라설 수 없다... 그런데
최재천 법무법인 헤리티지 대표 변호사
2025.10.04 14:41:07
누구도 뒤에 남겨두지 않으려면 '시선의 폭력'을 거두라
[프레시안 books] <장애학의 시선>
약자를 향한 내 사회적 관대함의 시험대, 내가 조금 양보한 이익과 편리를 뿌듯함으로 교환하는 대상. 장애인에 관한 비장애인의 선의는 마땅히 이렇게 발현되는 거라고 무의식이 말한다. 장애인단체의 지하철 시위를 너그럽게 용인하는 언론 프레임도 대체로 그 언저리다. 장애 이슈를 섹스와 젠더, 기후위기, 노동의 문제와 결부해 논하자면 여간 골치 아픈 게 아니다.
임경구 기자
2025.10.04 10:50:00
사적이어서 더 혁명적인, '5중 소수자' 프리다 칼로의 절규
[손호철의 벽화 기행] 6. 프리다 칼로의 '또 다른 혁명'
"나는 악몽이 아니라 현실을 그릴 뿐이다."(프리다 칼로. 1907~1954) '소수자의 소수자의 소수자의 소수자의 소수자'. '주변부의 주변부의 주변부의 주변부의 주변부.' 멕시코 화가 프리다 칼로를 한마디로 이야기하라면, 나는 이렇게 정의하고 싶다. 칼로는 멕시코라는 주변부(소수자) 출신이다. 게다가 여자이니 '소수자의 소수자', '주변부의 주변부'
손호철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2025.10.02 06:44:24
'제국의 위안부' 박유하 교수에 대한 '출판공로상' 결정을 비판한다
[기고] 박유하의 수상은 위안부 할머님들에 대한 모욕이다
1. 뉴스를 보고 개탄의 심정이 솟구쳐 몇 자 적지 않을 수 없다. 대한출판문화협회가 '제국의 위안부'를 쓴 박유하 교수에게 한국출판공로상 특별공로상을 수여한다는 것이다. 박 교수 책이 지닌 다대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나는 애초에 책과 저자에 대한 사법적 판단을 반대했다. 책에 나오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주관적 왜곡과 특히 저급한 연구 방법론이 <
김동규 동명대 교수
2025.10.01 13:29:44
잭슨 폴록의 스승이 공업용 페인트로 벽화를 그린 까닭
[손호철의 벽화 기행] 5. '혁명적 풍운아' 시케이로스
"우리의 근본적인 미학적 목표는 예술적 표현을 사회화하고 우리의 부르주아적 개인주의를 씻어내는 것, 이젤 회화의 타성을 몰아내고 기념물 공공 벽화 예술에 헌신하는 것, 여러 세기 동안 모욕당해온 원주민들, 장교들에 의해 교수형 집행인으로 강요되어 온 병사들, 부자들에 의해 채찍질을 당해온 농민과 노동자들에게로 방향을 바꾸는 것이다."(다비드 시케이로스. 1
2025.09.30 06:28:43
우리 시대의 천재, 올리버 색스의 글을 만나다
[최재천의 책갈피] <디어 올리버> 올리버 색스·수전 배리 글, 김하현 번역
"디어 올리버Dear Oliver" 그렇게 편지는 부쳐지고, "디어 수Dear Sue" 그렇게 답장은 도착한다. 두 사람 사이에 편지가 시작되었을 때 수전 배리는 50대였고 올리버 색스는 70대였다. 수는 마운트홀리요크칼리지의 신경생물학과 교수였고, 올리버는 신경학 병례집으로 이름을 떨친 신경학자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였다. 둘의 발걸음이 우편함 앞에 멈
2025.09.28 19:58:32
광장은 닫혔지만 청년 여성들의 정치는 멈추지 않는다
[프레시안 books] 이슬기 <우리는 우리가 놀랍지 않다>
지난해 12월 3일, 연말을 맞아 좀처럼 뭉치기 어려웠던 타사 또래 기자들과 서울 여의도의 한 호프집에 모여 근황을 나눴다. 웃고 떠들며 맥주를 들이붓던 시간도 잠시, 정치팀에 속한 기자들이 대통령 특별담화를 챙긴다며 주섬주섬 노트북을 꺼냈다. "고생 정말 많다" 다독이며 대화를 이어간 지 5분이나 지났을까, 대뜸 한 기자가 "으악" 소리를 지르더니 이렇게
박상혁 기자
2025.09.28 18:57:27
'거짓 해방자'를 예술로 고발한 거장의 작품 세계
[손호철의 벽화 기행] 4. '고독한 천재' 오로스코
"대중은 설탕과 꿀과 사탕을 좋아한다. 당뇨병 예술을, 설탕을 많이 칠수록 상업적으로 성공한다. (…) 항상 시대의 흐름과 주류에 맞서야 한다. (…) 오류나 과장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강한 목소리로 사고하는 과감성, 결과를 두려워하지 않고 자신이 진리라고 믿는 것을 선포할 수 있는 과감성이다. 누군가 절대적 진리를 갖게 되기를 기다린다면 그
2025.09.25 05:58:02
미국이 트럼프에 강렬한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진짜 이유는?
[최재천의 책갈피] <도둑맞은 자부심> 앨리 러셀 혹실드 글, 이종민 번역
미국 위스콘신주에 제인스빌이라는 동네가 있다. GM공장 덕분에 평화로운 중산층의 삶이 가능했다. 그런데 GM공장이 폐쇄됐다. 도시는 신빈곤층 지역으로 쇠락하고 말았다. 2019년 한겨레 이세영 부장이 번역한 에이미 골드스타인의 <제인스빌 이야기>는 일자리의 위기가 어떻게 삶의 위기로 전환되는지를 고통스럽게 증언한다. 켄터키주의 파이크빌이라는
2025.09.23 13:23:22
'예술의 신' 디에고 리베라, 그러나 '짐승' 같은 이면
[손호철의 벽화 기행] 3. '벽화의 황제' 리베라는 왜 프리다 칼로에게는 최악이었나?
"예술가는 그 무엇보다도 심층까지 근본적으로 인간적인 한 명의 인간이다. 만일 예술가가 인류가 느끼는 모든 것을 느끼지 못한다면, 예술가가 자신을 잊어버리고 자신을 희생할 때까지 사랑할 수 없다면, 그가 마법의 붓을 내려놓고 억압자에 대항하는 투쟁으로 향하지 않는다면, 그는 위대한 예술가가 아니다." (디에고 리베라. 1886~1957) "하하하". '멕
2025.09.23 05: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