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4월 05일 23시 00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박흥수
2호선 지하철 사고, '무서운 진실'이 숨어 있다
[기고] 우리 사회의 또다른 세월호, 방치할 것인가
5월 2일 서울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에서 지하철 추돌사고가 발생했다. 세월호 충격이아직 생생한 가운데 서울 한복판 지하철 역의 추돌 사고 소식은 시민들의 가슴을 또 한번 철렁 내려앉게 했다. 운영기관인 서울메트로는 "신호연동장치의 데이터 값 변경 이후발생한 오류로 잘못된 신호가 표시되었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열차 운행의 기본적 전제이자 가
박흥수 사회공공연구원 철도정책객원연구위원
프랑스에서 그들은 철도 국영화를 외쳤다…왜?
[달리는 철도에서 본 세계]<27>프랑스 오르세역과 신촌역
1820년대에서 1870년대까지 영국과 미국이 산업혁명의 파도를 타고 기계문명을 꽃 피우는 동안, 프랑스는 엄청난 산통을 겪고 있었다. 때문에 산업화 초기, 프랑스에서의 철도 건설은 지지부진했다. 1789년 7월 14일 바스티유감옥 공격사건으로 상징되는 대혁명은 1830년 7월 혁명과 1848년 2월 혁명까지 반전의 반전을 거듭하면서 이어졌다. 영국에서 처
손해배상 소송, 영국 정치를 뒤흔들다
[달리는 철도에서 본 세계] <26>19세기 영국, 21세기 한국
2013년 12월 철도노조는 23일간 파업을 벌였다. 철도노조 역사상 최장기 파업이었다. 이명박 정권의 철도 민영화 정책을 이어받아 추진된 수서발 KTX 분리 시도에 맞서, 노동자가 사용할 수 있는 마지막 수단인 파업을 동원했다. 정부와 철도공사의 대응은 무더기 징계와 어마어마한 액수의 손해배상 청구였다. 불법 파업이라는 이유 때문이다. 철도공사는 손해배상
이명박 전 대통령이 철도 파업 때 대노했던 이유는?
[달리는 철도에서 본 세계]<25> 미국과 한국의 철도, 그리고 '공공체제'
세계 최고 철도의 나라는 어디일까? 철도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가까운 일본이나 유럽의 독일, 프랑스를 꼽는다. 철도를 평가하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다. 선로의 길이, 복선 노선의 비율, 전철화의 정도, 고속화 정도, 정시 운행률, 쾌적함, 수송분담률, 수익성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유럽의 철도 전문가들은 스위스철도를 우수한
열차가 입 맞춘 곳에서 '제국' 미국은 시작됐다
[달리는 철도에서 본 세계]<24> 철도와 미국
동쪽과 서쪽에서 각각 출발한 UP(Union Pacific Railroad, 유니온퍼시픽레일로드), CP(Central Pacific Railroad, 센트럴퍼시픽레일로드)는 온갖 역경을 헤치고 철도를 놓으며 점점 가까워졌다. 두 회사 간의 거리가 줄어들수록 경쟁은 치열해졌다. 유타주 어딘가에서 철도가 만나는 지점이 결정될 것으로 보이자, 두 철도회사는 총
'죽은 링컨', '죽은 인디언' 위에서 철도는 움직였다
[달리는 철도에서 본 세계]<23> 미국의 대륙횡단철도
남북전쟁의 전환점이 된 전투는 "민중을 위한, 민중에 의한, 민중의 정부"라는 링컨의 연설로 유명한 게티스버그 전투였다. 1863년 7월 1일부터 3일까지 이어진 전투에서 리(Robert E. Lee) 장군이 이끄는 7만5000여 명의 남군은 펜실베니아주의 게티스버그에서 북군과 운명적인 결전을 치르게 된다. 리 장군은 북군과의 정면대결을 통해 빠른 승리를
인천공항철도 매각, 그 뒤에 숨은 진짜 의미는?
[기고] '아전인수' 국토부, 다음 목표는 어느 노선인가
경쟁 체제 도입이라는 명분 아래 추진된 수서발 KTX 분리는 한국 철도 산업이 민영화로 가는 첫 단추라고 필자는 밝혀왔다. 민영화 도미노 게임의 첫 '블록'인 수서발 KTX가 쓰러지자, 이제 다음 '블록'인 인천공항철도(현 코레일공항철도)가 넘어가려 하고 있다. 인천공항철도는 철도 분야에 시도된 '제1호 민간 투자 사업'이다. 한국 최초의민영 철도였다. 그
만리장성 쌓은 중국 노동자, 철도로 시에라네바다를 넘다
[달리는 철도에서 본 세계]<22> 미국 대륙횡단철도와 중국인 노동자들
19세기 중반 미국의 대기업은 모두 철도 회사였다. 남북전쟁 이전부터 볼티모어 앤 오하이오, 뉴욕 센트럴, 펜실베니아, 일리노이 센트럴, 미시건 센트럴 등 산업 중심지 동북부에서 확산되는 철도망을 책임졌던 기업들이었다. 그 무렵 대륙횡단 철도의 양대 산맥인 센트럴 퍼시픽 레일로드(CP)와 유니언 퍼시픽 레일로드(UP)가 등장했다. 이전의 기업들은 새로 등장
로비스트 탄생 시점은 미국의 '철도 전쟁'
[달리는 철도에서 본 세계]<21> 남북전쟁과 철도
1861년, 남북전쟁이 시작될 무렵 연방의 정규균 병력은 1만6000명에 불과했다. 이 중 상당수는 서부에서 인디언을 내몰고 백인 정착지를 보호하는 일에 전념하고 있었다. 남군과 북군은 전쟁에 소요될 젊은이들을 새로 불러 모아야 했다. 1861년 7월, 의회는 지원병 모집을 승인했다. 통상적인 복무 기간이 3개월에 불과했던 것에 비해, 새로 모집되는 지원병
미국판 '추노'와 링컨의 '이중 전쟁'…아메리카 '폭발'
[달리는 철도에서 본 세계]<20> 링컨, 남북전쟁, 그리고 대륙횡단철도
1860년대 미국은 역사상 가장 큰 전환점을 맞게 된다. 거대한 역사의 소용돌이를 일으킨 상징적 인물은 1860년 11월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한 링컨이었다. 링컨의 대통령 당선은 연방으로 이뤄진 미국이라는 나라가 건국 이후부터 파생시켜 왔던 여러 갈등들을 폭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링컨의 당선으로 흑인 노예해방 문제가 첨예한 쟁점으로 떠오르자, 노예해방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