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4월 11일 15시 58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태양광 해악' 외치는 '농촌 경관 보존론'은 온당한가?
[초록發光]: 태양광 경관의 누명
농사를 지을 것인가, 태양광을 지을 것인가. 재생에너지 확대 과정에서 그간 수없이 들어왔던 질문이다. 지구를 걱정하는 사람들에게 재생에너지와 농촌의 경합은 아픈 손가락 같은 것이다. 재생에너지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에너지 부정의가 반복되고 있음은 부인하기 어렵다. 하지만 이 부정의는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우리는 좀 더 멀리 볼 필요가
박선아 인류세연구센터 박사후연구원
2023.07.05 14:11:28
정부 하반기 카드는 실거주 의무 폐지 추진·종부세 완화 연장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발표…세출 제한돼 효력 미지수
종합부동산세가 2020년 수준으로 완화된다. 분양가 상한제 적용 주택의 실거주 의무는 폐지 추진된다. 다주택자와 고가 주택 소유자의 부담이 경감되는 주택시장 추가 규제 완화책이 발표됐다. 정부는 하반기 경기 개선을 위한 여러 지원책을 발표했지만 세출을 줄인다는 당초 목표 하에서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오기는 어려우리라는 평가다. 분양시장 추가 완화… 실거
이대희 기자
2023.07.04 16:38:39
역전세난 대책으로 결국 '임대인 대출 규제 완화' 카드 나왔다
정부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발표… "가계부채 문제 더 키울 것"
예상대로 정부가 역전세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임대사업자의 대출 규제를 완화해주기로 했다. 이는 주택 대출 시장 위험을 궁극적으로는 더 키우는 정책이라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4일 정부는 '2023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며 이 같은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정부의 하반기 경제정책 가운데 주거와 관련한 세부 항목을 보면, 정부는 이달 말부터 1년
2023.07.04 15:15:59
물가상승률 2%, 석유제품 하락 기저효과로 21개월來 최저
근원물가 상승률 3%대까지 떨어져…"기존 전망 다소 웃돌 것"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약 2년여 만에 2%대로 떨어졌다. 석유류 가격 하락의 기저효과가 반영됐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3%대로 떨어졌으나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컸다. 4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 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1.12(2020년 100)를 기록해 전년동월대비 2.7% 상승했다. 물가상승률이 2%대로 떨어진
2023.07.04 11:16:24
은행대출 연체율, 코로나19 시기 수준으로 상승
금감원, 기준금리 인상 영향에 "코로나19 이전으로 회귀"
은행 대출 연체율이 코로나19 위기 당시까지 올라갔다. 기준금리 인상 영향으로 정상화하는 과정이라는 분석이다. 3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4월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잠정)' 자료를 보면, 올해 4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37%였다. 전월말(0.33%) 대비 0.04%포인트 올랐으며 전년동월(
2023.07.03 15:44:15
부산엑스포 경제효과 61조? 29조라던 '평창'도 빚에 허덕인다
[복지국가SOCIETY] 평창올림픽 29조원도 미지수인데…다시 생각해 보는 부산 EXPO
최근 신문에는 연일 부산 엑스포(EXPO)를 홍보하는 전면 광고가 등장한다. 결정권이 없는 우리 국민들에게 부산 EXPO 유치를 독려하는 것이 무슨 효과가 있는지 의문이지만, 적어도 언론은 부산 EXPO를 적극 활용하여 광고 수익 창출을 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윤석열 대통령이 부산 EXPO 유치를 위해 영어로 발표를 했다는 것이 언론 보도의 전면을
이상구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운영위원장
2023.07.03 14:04:58
국민 300만명 '빚 갚느라 생계 어렵다'…175만명은 '원리금 상환 > 소득'
가계대출 1977만명, 1인 평균 93334만원…전체 DSR 40.3%로 추산
현재 약 300만 명의 가계대출자는 원금과 이자를 갚느라 최소한의 생계를 이어가기도 힘겨운 상태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더구나 이 가운데 175만 명은 아예 소득보다 원리금 상환액이 더 많아 소비 여력이 완전히 '제로(0)'인 것으로 추정된다. '코로나19 시대' 3년을 거치면서 부동산·주식 등 자산 투자와 생활고 등으로 가계대출이 크게 불어난 데다
연합뉴스
2023.07.02 15:26:35
서울 역전세 심화 우려…"1년반만에 20% 하락도"
"연말까지 현재와 비슷하거나 더 빠질 것"
올 하반기 '역전세' 심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이미 서울 일부 지역은 평균 전세가가 최고점 대비 많게는 20% 가까이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가가 지난해 2월 정점을 찍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당시 맺어진 전세계약이 만기가 되는 내년 2월까지 전세가 하락 폭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2일 부동산R114가 서울 가구당 평균 전세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23.07.02 15:02:09
월급쟁이 지갑으로 서울에서 내집 마련 어렵다
임노동자 가구 주택 소유율, 서울이 유일하게 50% 못 미쳐
서울 임금노동자의 주택 소유율이 전국 지자체에서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집값을 임금 노동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현실을 보여주는 지표로 풀이된다. 30일 통계청이 전날 발표한 '행정자료 연계로 살펴본 주택 소유 현황 분석' 자료를 보면, 2021년 기준 서울 임금노동자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47.9%였다. 이 비율이 과반에 미치지 못한 지자체
2023.06.30 13:22:39
윤석열 정부 하반기 기조는 경기 진작 위한 금융 완화?
가계부채 위험 더 커질 우려… "재정정책 쓸 때"
"물가 상승세가 확연히 둔화한다." "수출‧투자 촉진 및 내수·지역경제 활성화 등 '경제활력 제고'에 매진하겠다." 28일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 모두발언으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다음주로 예고된 구체적인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이 이번 회의 결과를 바탕으로 그려진다. 내용은 명확히 제
2023.06.29 15:3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