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4월 25일 07시 00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윤 대통령의 '물가 안정' 헛된 구호로…술값·화장품값·유제품값 줄줄이 인상
11월부터 생필품 가격 대폭 상승
11월부터 맥주와 소주 가격이 오른다. 화장품 가격도 오른다. 가공식품 가격 인상도 예정됐다. 31일 하이트진로는 11월 9일부터 소주 브랜드 참이슬 후레쉬와 참이슬 오리지널 출고가를 6.95% 인상한다고 밝혔다. 소주, 맥주 다 인상 인상 대상은 360밀리리터(㎖) 병 제품과 1.8ℓ 미만 페트류다. 담금주와 1.8ℓ 이상 제품, 일품진로는 인상 대
이대희 기자
2023.10.31 15:57:35
4분기 외식업계 경기 전망 '팬데믹 수준'으로 회귀
4분기 전망지수 83.85…거리두기 해제 이전 이후 최저
외식업계의 올 4분기 전망 수준이 근래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수준으로 돌아갔다. 3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산하 식품산업통계정보 사이트 '더외식'에 따르면 aT가 지난 달 15~27일 국내 음식점과 주점 등 외식업체 30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업체의 4분기 외식산업 경기전망지수는 83.85로 나타났다. 이는
2023.10.31 09:57:56
다음주 산업활동동향-외환보유액 통계 등 관심
정부부처 중대 발표 집중…수출입 실적, 물가 동향 발표도 예정
이달 마지막 날인 오는 31일 통계청이 '9월 산업활동동향' 지표를 발표한다. 지난달 발표에서 5개월 연속 이어진 소비 감소세가 4.3% 증가로 반전된 것을 확인했다. 9월에도 소비 증가세가 이어질 지가 주요 관심사다. 생산 지표가 9월에는 반전할 수 있을지도 지켜볼 필요가 있다. 8월에도 생산 감소세는 이어졌다. 수출 실적의 핵심인 반도체 역시 뚜렷한
2023.10.29 12:47:20
은행 대출금리 줄줄이 인상…대출 증가세 안 잡혀
5대 은행 가계대출 한달새 2.5조 급증
국내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 인상 행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5대 은행의 가계대출은 근래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29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26일 현재 684조8018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 말(682조3294억 원)보다 2조4723억 원 증가한 수치다. 이 같은 증
2023.10.29 12:22:23
'고물가 시대' 대응하는 세계 트렌드는 '임금 인상'…단, 한국은 빼고
[경제뉴스N시선] 노동자 임금 지키기 나선 해외 사례들
며칠 전 버스에서 뒷자리 승객 2명이 나누는 대화를 들었다. 승객1 "버스요금은 왜 올리고 XX이야?" 승객2 "버스가 적자라잖아…." 승객1 "아, 우리도 적자라고." 승객1의 화난 마음에 공감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라 생각한다. 통계상으로도 노동자 실질임금이 마이너스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올해 1~7월 노동자 1인당 월평균 임금 총액이
안진이 더불어삶 대표
2023.10.27 16:55:45
'총선 눈치보기'?…'연금개혁' 정부안, '모수 개혁'은 없었다
정부 공식 안에 보험료율 인상 목표 담았지만…숫자는 제시 안해
윤석열 정부가 핵심 국정과제로 꼽아 왔던 '연금개혁'의 대략적인 방향을 제시할 정부 안이 나왔다. 보험료율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정부 입장이 명시화했고, 나이가 많을수록 보험료율을 더 부담해야 한다는 방향성도 나왔다. 27일 보건복지부는 이기일 제1차관 주재로 올해 제3차 국민연금심의위원회를 열어 '제5차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안)'을 심의·확정했다. 이번
2023.10.27 15:32:29
53조 규모 역대급 '세수펑크' 원인 절반이 '법인세 감세'
[2023국정감사] 법인세 감세 혜택은 152개 초거대기업에 집중
59조 원 규모에 달하는 역대급 '세수펑크' 사태의 핵심 원인이 정부의 법인세 감세 정책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27일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기획재정위원회)은 국세청이 제출한 '2018년~2022년 과세표준별 법인세 결정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줄어든 국세수입 중 법인세 감소분이 40%를 넘었다고 밝혔다. 아울러 법인세 감세 혜택은 대기업에
2023.10.27 10:56:11
'상저하고' 어디 갔나…기업 체감경기 8개월來 최악
10월 전 산업 업황 BSI 70…비제조업 업황은 9개월 만에 최저
기업 체감경기가 8개월 만에 최악 수준이 됐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0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 조사 결과를 보면, 이달 전 산업 업황 BSI는 전월 대비 3포인트 하락한 70에 그쳤다. 이는 지난 2월(69) 이후 8개월 만에 최저 기록이다. 지난 여름을 지나며 내리 하락세를 이어가던 전 산업 업황 BSI는 9월
2023.10.26 17:54:30
3분기 GDP 성장 기여도 민간 0.5%p, 정부 0.2%p
성장 발목 잡던 정부 소비 기여도, 3개 분기 만에 플러스 전환
3분기 경제성장률이 0.6%로 집계됐다. '상저하고'를 기대한 정부 목표치에는 미치지 못했다. 그간 경제성장률을 발목잡던 정부소비의 성장률 기여도는 3개 분기 만에 플러스 전환했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자료를 보면, 3분기 GDP 실질 성장률(속보)은 전 분기 대비 0.6%였다. 1분기(0.3%)와 2분기(0.6
2023.10.26 12:59:35
한국 '좀비 기업' 비율 사상 최대
기업 수익성↓, 부채 의존도는↑… 부채비율 7년래 최고
한국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하고 부채 의존도는 더 커졌다. 번 돈으로 이자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좀비 기업'은 기업 10곳 중 4곳을 넘어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연간 기업경영분석 결과' 자료를 보면, 지난해 한국의 비금융 영리법인기업 매출액영업이익률은 직전해 5.6%에서 1.1%포인트 떨어져 4.5%로 낮아졌다
2023.10.25 18: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