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4월 23일 06시 03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소수자 공동체에선 차별이 적을까?"
[인권오름] "'같은 편'에게 당하는 차별이 더 아프다"
역지사지 易地思之라는 말이 있다. 입장을 바꾸어 놓고 생각하면 그 사람이 이해된다는 말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많은 사람들이 차별적인 언어와 행동을 할 때에는 그 뒤편으로는 무지 혹은 편견, 오해가 숨어 있다고 생각한다. 역지사지라고, 그렇기 때문에 소수자들이
박기호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사무국장
2009.10.23 13:40:00
"잊을 수 없는 그 천장"
[인권오름] "집에 관하여"
가난에 대해서 모르지는 않는다. 1980년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나는 우리 집이 그토록 가난하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돌아가신 다음 해에는 추석도 없었다. 다른 집들은 명절 준비로 붐비는데 엄마는 어두워진 후에야 들에서 돌아왔고 늦은 저녁을 먹은 후 피곤한 잠에 빠져들
류미례 다큐멘터리 감독
2009.10.21 08:54:00
UN 심의에서 거짓말한 MB정부
[인권오름] "UN보고서 작성 과정에 민간이 관심 가져야"
돈이 없고, 구매력이 없으면 사람다운 삶을 살 수 없는 걸까? 대답은 '아니다'이다. 더 정확히 말하면 '그래서는 안 된다'는 게 인권의 요청이요, 인권의 답이어야 한다. 많은 사람들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 없어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적절한 주거에서
명숙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
2009.10.14 18:25:00
"기계도 과열되면 정비하는데…"
[인권오름] 대형마트 파견직 노동자에겐 프라이버시는 없다
요즘 어느 동네를 가도 네모반듯한 건물의 대형 할인마트를 볼 수 있다. 수많은 소비자들은 각 코너마다 앞치마, 머리에 흰 수건, 위생장갑을 끼고 손은 쉴 새 없이 움직이면서도 고객을 불러 모으는 멘트를 멈추지 않는 판촉사원들, 물품 진열대 앞에 끊임없이 박스와 자루
유유리 인권운동사랑방 활동가
2009.10.05 07:40:00
"용산 참사 가해자에게 법적 책임 묻기 위해서는…"
[인권오름] "강제퇴거 규제하는 제도·문화 갖춰야"
용산 참사가 발생한 지 7개월이 지났지만 이들을 사망하게 한 개발의 구조적 원인과 세입자들의 주거권은 가시화되지 못하고 있다. 지금도 개발정책은 지속되고, 세입자들은 자기가 살고 있었던 곳보다 열악한 곳으로 떠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피해는 확실하나 가해자에게 책
최은아·연정·미류 인권운동사랑방 활동가
2009.09.11 15:26:00
"'커밍아웃'을 아시나요?"
[인권오름] "커밍아웃은 넘쳐나지만…"
'커밍아웃'을 일단 글자 그대로 풀어보자. '커밍아웃[coming out]'은 '벽장 밖으로 나오다. [to com out of the closet]'라는 표현에서 나온 것으로 개인이 처음으로 자신의 성적 지향 또는 성별 정체성을 인정하고, 긍정적으로 인식하며, 이 사실을
2009.08.27 10:31:00
"가장 많이 듣는 질문, 그러나 가장 답하기 어려운…"
[인권오름] 국경에 갇힌 이주노동자 인권
2010년 최저임금 결정과 최저임금법 개악 시도 얼마 전 2010년 적용할 최저임금이 결정되었다. 자본의 삭감안이 제출되었고, 특히 올해 최저임금 투쟁은 최저임금법 개악과 맞물려 있어 저임금 노동자들의 투쟁이 더욱 집중되었다. 하지만 그 결과는 2.75% 인상이라는 사
이상재 한국이주노동자인권센터 활동가
2009.08.12 09:10:00
"HIV정량검사, 결국 돈 때문이었구나"
[인권오름] 에이즈 감염인 치료권 외면하는 질병관리본부
HIV RNA정량검사는 면역검사, 내성검사와 더불어 HIV/AIDS감염인의 건강상태를 진단하고, 치료효과를 판단하기위해 반드시 '필요'한 검사이다. 정량검사와 면역검사결과는 에이즈치료제 복용을 언제 시작할지, 치료가 잘 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 약물치
권미란 HIV/AIDS인권연대 나누리+활동가
2009.07.24 09:33:00
투한 씨 이야기
[인권오름] 최저임금의 보호도 벗기려는 현실에서
지난 봄 어느 일요일 오후, 아침부터 술을 마셨는지 벌게진 얼굴로 베트남인 투한 씨가 센터를 찾아왔다. 술기운을 빌어서인지 투한 씨 목소리가 높다. 월급봉투를 손에 쥐고 "이거 문제 있는 거 아니에요? 이거 어떻게 할 수 없어요?" 만나면 떠나간 여자 친구와 새로 만나
2009.07.16 10:22:00
국가가 '노인요양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인권오름] 노인장기요양보험 실행 1년에 부쳐
시작할 때부터 우려가 많았던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실행된 지 1년이 지났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시민사회단체들이 지적했던 '수요공급 정책의 실패'와 '요양노동자들의 열악한 노동조건 및 요양보험의 높은 비용'과 '부족한 예방서비스' 의 문제점들
이재영 인권운동사랑방 활동가
2009.07.10 18:4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