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1월 23일 11시 01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미국 입양된 한국 아이, 시신으로 발견된 이유?
[문학예술 속의 반미] 광주항쟁의 영향과 미국
V. 광주항쟁의 영향과 미국, 1980~1992 4. 1980년대 문학과 미국 1980년대엔 '반미 문학'이란 말이 등장했다. 수많은 개인적 반미 문학작품 이외에 이러한 작품을 모아 편집한 책도 나타났다. 김상일이 1988년 편집해 펴낸 반미 소설선은 1940년대 발표된 채만식과 최정희의 단편소설부터 1980년대 발표된 유순하와 박석수의 중편소설까지 10편
이재봉 원광대 정치외교학 교수
'美國'이 '米國'으로 불린 사연?
[문학예술속의 반미] 광주항쟁의 영향과 미국
V. 광주항쟁의 영향과 미국, 1980~1992 3. 1980년대 노동운동 및 생활문화운동과 미국 1980년대 민중문화운동의 발전과정에서 주목할 만한 현상은 공장 노동자들이 다양한 문화 활동에 적극적이고 폭넓게 참여했다는 점이다. 1987년 6월항쟁 이후 공장 노동자들은 한국 사회개혁의 중심세력으로 등장했다. 앞에서 소개한 1984년 창립된 '민중문화 협의
미국, 80년대 학생운동 세력에 "버릇없는 녀석들"
V. 광주항쟁의 영향과 미국, 1980~1992 2. 1980년대 민중운동과 미국 전두환에 대한 미국의 지원은 그가 대통령 자리에 오른 뒤 더 강화되었다. 1980년대 초의 몇 가지 사례만 꼽는다. 첫째, 1981년 2월 전두환은 이제 막 취임한 레이건 대통령에게 초청받은 최초의 외국인 지도자가 되었다. 전두환은 한국에 대한 미국의 군사 및 경제 원조뿐만
전두환 쿠데타 이후, 미국은 어떤 역할을 했나
[문학예술 속의 반미] 미국, 광주 시민들과 전두환 군부 중재 거부한 까닭은?
V. 광주항쟁의 영향과 미국, 1980-1992 1. 1980년대 한국 정치와 미국 (1) 1978년 12월 박정희가 종신 대통령에 당선됨으로써 유신체제 2기가 시작되었다. 그는 고무도장 같은 선거인단 투표에서 99.9%의 지지를 얻었다. 그러나 국회의원 선거에서 의원 숫자는 여당이 많이 차지했지만, 야당인 신민당이 박정희의 민주공화당보다 더 많은 지지를
박정희가 뽑은 의원이 미국 비난한 까닭?
[문학예술 속의 반미] 1970년대 문학예술 속의 추한 미국
IV. 1970년대 문학예술 속의 추한 미국 9. 1970년대 요약 1970년대는 한국 정치에서 암흑의 시대였다. 박정희는 기존 반공법과 국가보안법에 덧붙여 긴급조치법을 발동하며 이른바 "한국적 민주주의"를 펼쳤다. 이 억압적인 유신체제는 정부는 물론 동맹국인 미국에 대한 어떤 종류의 비판도 금지했다. 따라서 미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문학예술 작품에 묘사
농민들 수탈했던 '외곡귀'의 정체는?
IV. 1970년대 문학예술 속의 추한 미국 5. 1970년대 미술과 미국 미술 분야에서 민족주의는 1970년대 중반 다시 고양되었다. 미술평론가 원동석은 1975년 다른 나라들과 평등한 관계를 실현함으로써 민족의 자주권을 성취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민족 문화의 독립을 강조했다. 1979년엔 젊은 미술인들이 두 개의 진보적 미술 단체를 비밀리에 조직했다.
반미 운동가는 왜 시인이 돼야 했나
IV. 1970년대 문학예술 속의 추한 미국 4. 유신체제에서의 반미 시 유신체제 아래서 많은 민주화운동 활동가들은 시인이 되었다. 민주화운동의 일환으로 민족주의나 반미주의를 고취하는 시를 썼다. 시는 박정희 군사독재 정권에 대한 투쟁의 유용한 도구가 되었던 것이다. 김지하는 1974년 감옥에 있으면서 담시 분씨물어(糞氏物語) 를 발표했다. 그해 7월 긴급
"'양색시'에게 빚 받으러 간 그 남자는…"
IV. 1970년대 문학예술 속의 추한 미국 3. 1970년대 소설 속의 미국 막걸리 한 잔 마시면서 세상 살기 어렵다는 푸념을 해도 어디론가 끌려갔던 1970년대의 암울한 유신체제 아래서는 미국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소설조차 발표되기 어려웠을 것이다. 이런 터에 재미있으면서 문학성도 뛰어난 기지촌 소설 한 편이 발표되었다. 한국문학 1974년 8월호에 실
박정희, '반미' 카드 꺼내든 이유?
IV. 1970년대 문학예술 속의 추한 미국 2. 1970년대 평론 속의 미국 1976년 한국과 미국 정부 간의 긴장이 고조되자 여당 정치인들과 친정부 지식인들은 미국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기 시작했다. 정부 차원에서 반미주의를 대미 외교를 위한 도구로 삼는 '도구적 반미주의' (instrumental anti-Americanism)의 표출
말로만 '인권외교', 카터 방한이 욕먹은 이유
IV. 1970년대 문학예술 속의 추한 미국 1. 1970년대 한국 정치와 한미 관계 1961년 5월 군사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는 독재정치를 지속적으로 강화했다. 1969년 10월 대통령을 세 번 할 수 있도록 헌법을 고쳤다. 이른바 '3선 개헌안'이다. 1971년 4월 대통령선거에서 당선되긴 했지만 투표와 개표에 엄청난 부정이 저질러졌으니 야당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