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4월 19일 20시 28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러시아, 이란산 '자폭 드론'으로 공격…"이란, 미사일도 공급 가능"
美, 이란 추가 제재 검토…이란, 무기 공급 전면 부인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등에 자폭 드론 공격을 감행한 것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1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키이우 등 우크라이나 도시 여러 곳에 러시아가 드론 공격을 퍼부었고 민간인 최소 8명이 숨졌다고 우크라이나 당국이 밝혔다. 비탈리 클리치코 키이우 시장은 이날 러시아의 자폭 드론 공격이 이른 아침 출근
전홍기혜 기자
2022.10.18 06:46:24
포퓰리즘 넘어 푸틴 닮은 '권위주의', 서방 세계 잠식할까
WP "선거 불복 풍조는 권위주의 지름길…'탈진실' 타고 집권하지만 결과는 '무능·부패'"
최근 이탈리아에서 파시스트 무솔리니를 찬양한 경력이 있는 조르자 멜로니가 총리에 오를 것이 확실시 되고 이달 말 대선 결선을 앞둔 브라질에선 자이르 보우소나루 현 대통령이 선거 결과에 불복하려는 움직임을 이미 보이고 있으며 다음 달 중간선거가 예정된 미국에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선거 불복 주장을 받아들이는 정치인들이 대거 공화당 후보로 나섰다. &l
김효진 기자
2022.10.17 18:45:48
친러 벨라루스, 참전하나?…러, 벨라루스에 9000명 병력 파견
벨라루스 "러시아군 도착, 연합군으로 국경 방어"
러시아가 동맹국인 벨라루스에 9000명 미만의 병력을 파견하자 벨라루스가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발레리 레벤코 벨라루스 국방부 국제군사협력부장은 16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우리 국경을 보호할 지역연합군으로서 러시아군이 벨라루스에 주둔하게 될 것"이라며 "주둔하는 인원은 9000명을 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
2022.10.17 07:45:07
바이든 "푸틴은 이성적, 그러나 완전 잘못 계산했다"
키이우 공습 이후 언론 인터뷰에서 밝혀…러시아 "미국과 대화 거부하지 않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대해 "이성적"이지만 우크라이나 침공은 "완전히 잘못 계산한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이하 직함 생략)의 발언은 전날 아침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등 전국 10여개 지역에 80여발의 미사일로 공격해 최소 19명이 사망하고 100명 이상이 부상당한 일이 발생한 뒤
2022.10.12 07:22:25
푸틴, 보복 인정 "더 가혹 대응"…유엔 "민간인이 가장 큰 희생" 러시아 비판
우크라 수도 키이우 등에 미사일 84발 공격, 최소 14명 사망·100명 가까이 부상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각) 오전 우크라이나 전역에 가해진 미사일 공습이 보복 대응이라고 인정했다. 푸틴 대통령(이하 직함 생략)은 이날 오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안보회의에서 우크라이나가 8일 크림대교를 공격해 "자기 자신을 국제적 테러리스트 조직과 같은 자리에 뒀다"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대규모 공습을 했다"고 밝혔다
2022.10.11 06:07:14
푸틴, 크림대교 폭발 보복…우크라 키이우 등에 75발 미사일 발사
우크라 "공습으로 8개 지역 11개 기반시설 피해"…전날엔 자포리자 아파트 등 폭격
러시아가 10일(현지시간) 최근 크림대교 폭발에 대한 보복 공격으로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 등 8곳에 미사일 75발을 발사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크림대교 폭발 사건을 "테러 행위"로 규정한 뒤 이날 아침 우크라이나에 무차별 공격을 감행했다. 푸틴 "크림대교 폭발은 우크라이나의 테러 행위" 러시아 크렘린궁(대통령궁)
2022.10.10 15:17:45
푸틴 지지자들 "내가 러시아 국방장관이었으면 자살"…군 지휘부 혼란
푸틴, 국방장관 희생양 삼나…러시아, '자국 영토' 주장 자포리자 폭격
러시아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이 불리하게 진행되자 내부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최근 러시아군의 패전에 대한 비판의 화살을 세르게이 쇼이구 국방장관에게 의도적으로 돌려 정치적 희생양으로 삼으려 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6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가 합병한 헤르손주의 키릴 스트레무소프
2022.10.07 09:55:55
바이든 머쓱케 한 OPEC+ 대규모 감산…"사우디, 러시아 편에 선 것"
감산으로 유가 오르면 러에 이득…EU 유가상한제·바이든에 대한 불만 표출한 '정치적 결정' 의혹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를 포함한 비 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OPEC+)'가 대규모 감산을 선언하면서 유가 상승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번 감산 결정은 유럽연합(EU)의 석유 가격 상한제 합의 직후 이뤄지며 정치적 결정이라는 의혹을 샀다. OPEC을 이끄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번 감산으로 사실상 러시아 편에 섰
2022.10.06 17:40:49
푸틴, 자포리자 핵발전소 국유화 지시…우크라이나 반발
러시아, 발전소장 추방 후 운영권 접수…IAEA 사무총장 러시아 방문 예정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점령지에 위치한 자포리자 핵발전소를 러시아 연방자산으로 만드는 법령에 사인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이하 직함 생략)은 이날 '자포리자 지역의 원자력 사용 관련 대통령령'을 발표했다. 푸틴이 지난 9월 30일 합병을 선언한 우크라이나 자포리자 지역에 있는 자포리자 핵발전
2022.10.06 11:23:14
우크라軍 연이은 수복…서방 언론 "러 핵 장비 부서 열차 우크라 방향 이동"
우크라 점령지 일단 합병해 놓고 국경선 "협의 중"이라는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점령지에 대한 합병조약에 서명한 데 이어 러시아 상·하원이 연이어 조약을 승인했지만 러시아 쪽은 정확한 국경선이 어디인지는 "협의 중"이라며 얼버무렸다. 우크라이나군의 이 지역 탈환이 계속됨에 따라 영토 경계선 설정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합병으로 러시아가 이 지역 탈환 시도를 '영토 침해'로 규정해 핵 공격
2022.10.04 16:1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