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1월 22일 19시 05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박인규
inkyu@pressian.com
서울대학교를 나와 경향신문에서 워싱턴 특파원, 국제부 차장을 지내다 2001년 프레시안을 창간했다. 편집국장을 거쳐 2003년부터 대표이사로 재직했고, 2013년 프레시안이 협동조합으로 전환하면서 이사장을 맡았다. 남북관계 및 국제정세에 대한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연재를 계속하고 있다. 현재 프레시안 상임고문을 맡고 있다.
CIA 최초의 성공적 비밀공작...이란의 석유 국유화를 막아라
[전쟁국가 미국·4강-③] "세계를 지배하려면 에너지를 지배하라"
한국전쟁을 계기로 미국은 군사력의 절대적 우위를 확보했다. 그 결과는 군사적 일방주의였다. 외교나 협상 대신 군사력에 의한 일방적 강제가 대외정책의 핵심 수단이 된 것이다. 그 첫 사례가 1953년 8월 중앙정보국(CIA)의 이란 모사데크 정권 전복이다. 이는 미국 최초의 비밀공작이었고, 이후 아이젠하워 행정부 8년 동안 48개 국가에서 170차례의 비밀공
박인규 프레시안 편집인
"군산복합체가 미국의 민주주의를 침해하고 있다"
[전쟁국가 미국·4강-②] 워싱턴 룰의 형성과 지속
"미국은 미국인 대부분이 알고 있는 것보다, 혹은 그들이 알고 싶은 것보다 훨씬 빈번하게 해외에서 벌어진 폭력에 관여해 왔다, 때로는 공개된 군사배치이기도 했고 때로는 유엔이나 나토와의 공동작전이기도 했지만, 독자적이고 은밀한, '어두운' 작전인 경우도 많았다. 냉전 중의 소련, 냉전 후의 러시아가 그랬듯이 미국 역시 대리전이나 무기판매, 독재정권에 대한
'압도적 우위' 미국의 역설...베트남 속으로 빨려들어가다
[전쟁국가 미국·4강-①] 압도적 우위의 위험
한국전쟁은 냉전의 역사(1947-1989년)에서 첫 번째 중대한 변곡점이었다. 한국전쟁을 빌미로 한 대대적 재무장으로 미국의 군사력이 소련을 압도했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은 전략 핵무기 부문에서 거의 절대적 우위를 확보했다. 소련에 대한 미 군사력의 압도적 우위는 대략 한국전쟁이 끝나는 1953년부터 미 지상군이 베트남전쟁에 투입되는 1965년까지 지속됐다
인류 역사 최강자 미국, '빨갱이 공포'를 내면화하다
[전쟁국가 미국·3강-⑨] 현존위험위원회(CPD)와 반공군사주의
공화당의 반격과 CPD의 대응 1951년 1월 5일 아이젠하워는 유럽연합군 최고사령관으로서 현지 실태 조사를 위해 유럽으로 떠난다. 같은 날 공화당 출신의 전 대통령 허버트 후버는 미군의 유럽 추가 파병은 "또 다른 한국전쟁을 초래"할 것이라며 나토 결성을 강력 반대한다. 후버는 공군과 해군력만으로 미국을 지킬 수 있다면서 유럽이 스스로를 지킬 의지가 있음
'위기를 팝니다' 미국의 '죽음 행상꾼'들
[전쟁국가 미국 3강·⑧] 현존위험위원회(CPD)와 반공군사주의
1950년, 야당인 공화당이 국내 빨갱이 사냥에 골몰해 있는 동안 집권 민주당은 대외 패권의 확보 방안을 고민하고 있었다. 1950년 4월 작성된 NSC-68은 핵전력 및 재래식 군사력의 대폭 강화를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두 달 후 발발한 한국전쟁을 계기로 미국은 대대적 재무장에 돌입할 수 있었고 1952년 말이 되면 영구 전쟁국가로 탈바꿈한다. 국방 예산
미국의 광풍 "유엔 설립자도 IMF 기획자도 빨갱이다"
[전쟁국가 미국·3강-⑦] 닉슨-매카시를 앞세운 후버의 빨갱이 사냥
1947년 3월 26일 존 에드가 후버 FBI 국장이 하원 비미국행위위원회(HUAC)에 출석해 공개 증언을 했다. 연방공무원 충성도 심사가 시작된 지 닷새가 지난 후였다. 트루먼 대통령은 전 해 11월 중간선거에서 14년 만에 다수당이 된 공화당과 후버의 압력에 못 이겨 충성도 심사를 수용했다. FBI 국장의 의회 공개 증언은 이례적인 일이었다. 중대한 노
매카시즘이 아니라 후버리즘이다!
[전쟁국가 미국·3강-⑥] 존 에드가 후버와 반공군사주의
미국 역사학자 엘렌 쉬레커는 매카시즘에 대해 "FBI는 반공 성전, 즉 빨갱이 사냥의 가장 중요한 행위자"였다면서 "1970년대 이후 정보공개법에 의해 FBI 문서들이 공개되면서 비로소 우리가 알게 된 FBI 활동의 실상을 1950년대에 알았다면 '매카시즘'은 '후버리즘'으로 불렸을 것"이라고 말한다. 사실 매카시즘의 주역은 매카시가 아니었다. 제1의 주역
매카시즘, 미 대외정책을 동결시키다
[전쟁국가 미국 3강·⑤] 매카시즘과 반공군사주의의 확립
"미국도 소련처럼 정치적 숙청을 감행" 매카시즘의 부정적 유산은 넓고도 오래 지속됐다. 1950년 2월 그의 첫 폭로 이후 매카란국내안보법, 이민및국적법(1952년), 공산주의통제법(1954년) 등 악법들이 잇달아 제정됐고, 의회에는 기존 하원 비미국행위위원회에 더해 상원 국내안보소위원회(1950년)와 상원 영구조사소위원회(53-54년 매카시 위원장) 등이
매카시의 등장과 미국 정치의 암흑시대
[전쟁국가 미국·3강-④] 매카시즘과 반공군사주의의 확립
1950년 2월 9일 위스콘신주 상원의원 조셉 매카시는 웨스트버지니아주 휠링의 공화당 여성클럽 연설에서 종이 몇 장을 흔들면서 "여기 내 손에 205명의 명단이 있습니다. 공산당원이라는 사실이 국무장관에게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국무부에서 일하면서 미국의 대외정책을 입안하는 사람들의 명단입니다"라고 주장했다. 미국의 대외정책이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입안되
매카시즘, 미 노동인구의 20%를 사상 검증
[전쟁국가 미국·3강-③] 매카시즘과 반공군사주의의 확립
미국의 1차 대전 참전은 민주주의 수호가 명분이었다. 2차 대전 참전은 일본의 진주만 기습이 결정적 계기였다. 진주만 기습은 1930년대 이후 강화돼온 미 국민의 고립주의, 반전 정서를 단숨에 무너뜨렸다. 그렇다면 냉전에 대한 국민적 지지는 어떻게 확보했을까? 전쟁이 끝난 후 5년도 안 돼 새롭고도 기나긴 전쟁(냉전)에의 돌입을 미 국민이 순순히 받아들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