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1월 22일 23시 02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아프면 투표도 못하는 사회?
[서리풀 연구通] '투표 접근성' 보장해야
수많은 언론이 하루가 멀다 하고 최신 의학 기술이나 '잘 먹고 잘 사는 법'과 관계있는 연구 결과를 소개합니다. 대표적인 것이, "하루에 ○○ 두 잔 마시면 수명 ○년 늘어나" 같은 것들입니다. 반면 건강과 사회, 건강 불평등, 기존의 건강 담론에 도전하는 연구 결과는 좀처럼 접하기 어렵습니다. 프레시안과 시민건강증진연구소는 '서리풀 연구통通'에서 매주 금
윤창교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18.06.01 14:07:15
우린 '기술 기반 성폭력'에 노출돼 있다
[서리풀 연구通] '디지털 성폭력' 적극 대처해야
팥수수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18.05.26 13:29:06
지방 소멸은 건강 문제다
[서리풀 연구通] 박탈된 지역 환경, 건강 형평성에 악영향
민동후 시민건강연구소 영펠로우
2018.05.19 13:21:26
인공관절과 할머니들의 봄날
[서리풀 연구通] <엄마의 봄날>은 과연 할머니의 희망일까?
류한소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2018.05.11 11:08:52
독박육아, 여성 건강권은 어디로?
[서리풀 연구通] 성 평등이 건강 사회로 이끈다
조효진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
2018.04.27 17:35:37
"섹시한 복장의 간호사가 검진?" 일본을 흔든 이 논문
[서리풀 연구通] 과학의 이름으로 차별 재생산하기
역사적으로 과학은 잘못된 믿음과 우상을 파괴하는 역할을 해왔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 인간은 진화의 산물이다, 이런 것들이 대표적 사례이다. 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들도 많았다. 나치의 우생학은 홀로코스트 학살의 중요한 과학적 근거가 되었고, 골상학은 인종차별과 성차별을 합리화하는 도구였다. 이들 문제는 과학적 발견이 사회적으로 해석되는 과정에서 벌어진
김성이 시민건강연구소 연구원
2018.04.20 16:28:43
손석희의 푸념은 옳았을까?
[서리풀 연구通] 한국이 환경 피해자라고?
한반도의 미세먼지가 언제부터 이렇게 심각한 수준이었는지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어느덧 미세먼지 예보와 그 건강 피해는 매우 중요한 일상 뉴스가 되었다. 이런저런 대책들도 많이 제시되고 있다. 안타깝게도 지금까지는 그 어떤 대책도 흡족하지 않다. 많은 사람들이, 한국은 전 세계적 환경 오염의 피해자, 특히 세계의 공장이라는 중국이 배출하는 대기오염의 가장 큰
연두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
2018.04.13 15:31:54
또 다른 차별, '질병력'
[서리풀 연구通] 질병 기록으로 인한 차별, 사라져야
국내 건강보험 정책에서 보장성 강화의 주요 잣대 중 하나는 "암"과 관련된 본인부담금이다. 많은 나라에서 "암과의 전쟁"이라고 칭하는 데서 알 수 있듯, 질병의 중증도나 사회적 비용 측면에서나 암은 중요한 질병이다. 이런 관심과 의학적 기술발전 덕에, 암의 진단율과 치료율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관련 기사 : 암 발생 4년 연속 감소…생존율은
두레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
2018.04.08 13:31:06
암환자가 호스피스를 꺼린 까닭
[서리풀 연구通] 의료 이용 결정에 영향 미치는 복잡한 요인들
환자가 회복을 위한 치료를 그만두고 병고를 덜어주는 케어에 집중하는 경우가 있다. 회복이 불가능하고 사망에 임박한 환자들이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이용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이는 통증을 조절하고, 환자와 가족의 심리적 어려움을 돕는 등 삶의 질을 높여준다. 호스피스 전문기관을 이용한 사별 가족들의 만족도(93%)가 일반 암 치료기관을 이용한 경우(58%
김정우 시민건강증진연구소 회원
2018.03.30 05:31:02
남자는 왜 여자보다 일찍 죽을까?
[서리풀 연구通] 유해한 남성성의 건강 비용
"남자들은 별로 잘 살고 있지 않습니다. 우리는 죽이고 죽으라면서 그들을 전쟁터에 보냅니다. 그들은 영화의 한 장면을 흉내 내면서 자신의 남자다움을 증명하기 위해 고속도로 한가운데 누워 있습니다. 그들은 중년의 나이가 되고 얼마 안 있어 심장 마비로 죽고, 남자답게 술을 마시고 담배를 피우다가 간과 폐의 질병으로 죽고, 대략 여성들보다 네 배 많은 비율로
김새롬 시민건강증진연구소 연구원
2018.03.25 13: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