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1월 24일 05시 02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민족과 민족주의는 언제 만들어졌나? (2)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68> 민족주의의 근대주의적 해석 비판 ⑤ - (2)
근대 초 민족형성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종교이다. 유럽은 16세기 초에 마르틴 루터에 의해 종교개혁이 시작되며 커다란 내적 갈등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유럽사회가 신교와 구교로 갈라져 서로 경쟁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각 나라에서 국내적으로 큰 정치, 사
강철구 이화여대 교수
2009.02.20 14:16:00
민족과 민족주의는 언제부터 만들어졌나?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67> 민족주의의 근대주의적 해석 비판 ⑤ - (1)
근대주의자들은 민족이나 민족주의가 중세시대에 존재했을 가능성을 대체로 부인한다. 그것을 18세기 말 이후 근대의 산물로 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근대 시기에 민족이나 민족주의 비슷한 것이 있더라도 그 의미를 매우 과소평가한다. 따라서 근대주의를 비판하기 위
2009.02.03 14:30:00
민족주의의 근대주의적 해석은 무엇인가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66> 민족주의의 근대주의적 해석 비판 ④
근대주의적 해석은 민족주의 이데올로기가 주장하는 기본적 원리들을 대체로 그대로 받아들였던 기존 해석에 대한 불만으로 생겨난 것이다. 그러나 또한 2차대전 이후 많은 식민지들이 해방되며 '민족 내지 국가형성'이 사회과학자들의 중요한 관심사였던 1960년대를
2008.12.30 08:20:00
민족주의를 보는 관점들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65> 민족주의의 근대주의적 해석 비판 ③
오늘날 민족주의 이론에서 가장 본질적인 논쟁점은 민족과 민족주의가 언제, 어떻게 생겨났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 문제가 중요한 것은 최근에 등장한 근대주의적 해석이 민족과 민족주의를 근대의 산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민족과 민족주의를 근대적인 현
2008.11.28 14:57:00
민족, 민족적 정체성, 민족주의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64〉민족주의의 근대주의적 해석 비판 ②
우리가 민족, 민족주의와 같은 단어들을 일상적으로 사용하기는 하나 그 의미를 정확하게 알고 구분해서 쓰지는 않는다. 일반인만 그런 것이 아니라 학자들 가운데에도 그런 사람들이 있다. 그래서 같은 현상을 설명하며 여러 단어들을 뒤섞어 혼용한다. 또 같은 단어를 매우
2008.11.19 08:06:00
민족주의는 한국사회의 문제아인가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63> 민족주의의 근대주의적 해석 비판 ①
근대주의자들이 만들어낸 '상상의 공동체'니 '발명된 전통'이니 '사회공학'이니 하는 단어들이 지식인들의 상투어가 되어 있고 민족주의는 모든 악덕의 대명사가 되고 있다. 그러나 잘 생각해보자. 서양 강대국들 사람들의 입장과 한국인의 입장이
2008.10.31 15:11:00
아직도 끝나지 않은 식민주의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62> 식민주의와 그 역사적 유산 ⑥
식민지 해방과 제3세계의 억압 아시아, 아프리카, 카리브 지역에서 탈식민화는 1960년대에 대부분 끝났다. 2차대전 후에 전 세계적으로 식민지 해방운동이 광범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과거의 식민국가들은 이제 제국을 유지하는 데 정치, 경제적으로 너무 비용이 많이 들
2008.09.04 11:28:00
고유문화의 해체와 식민지 문화의 형성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61> 식민주의와 그 역사적 유산 ⑤
결과적으로 식민지인들은 인격을 가진 인간으로서 존재할 수 없게 된다. 자신의 인간적인 존엄성을 지킬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심리상태를 거부하고 스스로의 주인이 된다는 것은 바로 죽음이나 형벌을 의미하게 된다. 그것은 식민체제에 대한 도전이기 때문이다.
2008.08.29 08:41:00
식민사회와 '정치적 협력자'의 문제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60> 식민주의와 그 역사적 유산 ④
식민세력이 들어오며 식민지의 전통적인 사회 구조도 무너지게 되었다. 새로 유럽인들이 지배계급으로 등장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새로이 복잡한 사회구조가 만들어졌다. 이것은 중남미의 경우 특히 더 그렇다. 유럽인, 원주민, 아프리카에서 들어온 흑인 노예들이 뒤
2008.08.27 09:26:00
식민지의 경제적 착취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 <59> 식민주의와 그 역사적 유산 ③
아메리카에 식민지를 처음 건설한 스페인 왕실이 계속 관심을 가졌던 것이 귀금속의 착취였던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식민지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처음부터 경제적 착취이다. 정착식민지의 경우 식민자들은 원주민들로부터 토지를 아예 강탈했으니까 이야기할 것조차 없다.
2008.08.22 09:2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