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11월 14일 23시 58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사업계획서부터 마케팅까지…한기대 창업지원 성과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지원기관 선정…창업동아리 등 도와
한국기술교육대학교가 진행 중인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성과를 보이고 있다. 한기대는 올해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주관하는 ‘과학벨트 창업성장 지원사업’에 선정됐다. 대학 기술과 자원을 활용해 창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창업 아이템 검증해 창의적 아이디어가 제품화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돕는다. 16일 한기대 산학협력단과 취창업지원팀에 따르면 현재 재학생 창업
장찬우 기자
2023.11.16 11:16:17
더 편해지고, 빨라지는 대전시 교통약자 이동 서비스
'사랑나눔콜' 호출 시간 단축·대상자 확인 간소화 등 내년 2월부터 편의성 높인 지원체계 시범운영
대전시 교통약자 이동 지원 서비스가 대폭 향상될 전망이다. 교통약자 이동지원플랫폼 '사랑나눔콜' 호출 시간과 민간 인공지능(AI) 배차 대기시간 단축, 이용 대상자 확인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편의성을 높인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기로 하면서다. 시는 16일 내년 2월부터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카카오모빌리티가 구축하는 교통약자 이동지원 플랫폼과 사랑나눔콜을
박정하 기자
2023.11.16 11:13:49
대전 보문산 케이블카·전망타워 조성 민간 사업자 재공모
대전시 "케이블카 우선 설치한 뒤 전망타워 건설 계획"...내년 1월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대전시는 보문산 케이블카·전망타워 조성사업 공모 내용을 변경해 다음 달 29일까지 민간 사업자를 재공모한다고 15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당초 민간사업자가 케이블카·전망타워를 모두 설치하는 내용으로 지난달 30일까지 민간사업자를 공모했지만 1개 업체만 단독으로 공모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해당 업체의 공모 내용을 사전 검토한 결과 의무사항이었던
2023.11.15 16:28:14
2억 5000만원 체납 등 고액·상습 체납자 214명 명단 공개
대전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1000만 원 이상 체납자 공개
대전시가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 등이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 체납자 214명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15일 시에 따르면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 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로, 지난 10월까지 명단공개 대상자에게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이동근 기자
2023.11.15 15:41:59
[속보]세종시 전국 최초 대중교통 월 정액권 도입
내년 9월부터 월 5만 원 한도 ‘세종 이응패스’ 시행 …버스노선 확대·배차간격 단축 병행, 공영주차장 요금 현실화 및 승용차 부제 운행 추진
<프레시안>이 심층보도를 통해 세종시의 버스 무료화 정책에 대한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한 가운데 세종특별자치시가 전국 최초로 월 정액권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제도를 도입하기로 해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2023년 10월23일, 24일, 26일자 대전세종충청면> 최민호 세종시장은 15일 세종시청 정음실에서
김규철 기자
2023.11.15 13:45:43
보령시·중국 청포구 제6차 자매도시 교류 연장 체결
양 도시 간 우호 증진과 교류 활성화 기대…내년 보령머드축제 방문 등 미래 협력
충남 보령시 김동일 시장이 지난 14일 중국 상해시 청포구를 방문하면서 제6차 자매도시 교류 연장체결을 하고, 오는 2028년까지의 양 도시 간 교류 일정을 확정했다. 이번 중국 청포구 방문단에는 한중친선협회 권혁영 회장과 장옥선 부회장 등도 함께했다. 보령시와 청포구는 지난 1999년 4월 처음 자매결연을 맺은 후 행정·문화예술·축제 관광 등 다양한
이상원 기자
2023.11.15 12:10:39
충남도, 고액·상습 체납자 577명 명단 공개
체납액 총 234억 원…성명·주소·체납액 등
충남도가 15일 고액 체납자 577명의 명단을 도·시군 누리집, 위택스 등에 공개했다. 공개 대상은 체납 발생일로부터 1년 이상 1000만 원 이상 체납자로 공개 항목은 성명, 주소, 체납액 등이다. 이번 명단 공개 체납자 577명 중 지방세 체납자는 513명, 지방행정제재·부과금 체납자는 64명이다. 체납액 규모는 총 234억 원으로 지방세 192억
2023.11.15 12: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