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1월 23일 21시 58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전근대의 민족주의와 근대의 민족주의 (2)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73> 민족주의의 근대주의적 해석 비판 ⑨
중세 말 스코틀랜드인의 아브로스 선언 전근대 민족주의의 한 예로 아브로스(Arbroath) 선언을 살펴보자. 이것은 1320년에 스코틀랜드인들이 작성한 것으로 중세말의 민족의식과 민족주의적 태도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아주 희귀한 자료이다. 이것은 당시 잉글랜드
강철구 이화여대 교수
전근대의 민족주의와 근대의 민족주의 (1)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72> 민족주의의 근대주의적 해석 비판 ⑧
결국 문제의 핵심은 개념의 문제이다. 민족과 민족주의를 좁은 개념으로 규정하느냐 보다 넓은 개념으로 규정하느냐의 문제이다. 그런데 이렇게 좁은 개념으로 규정하면 편리하기는 하나 그것이 민족이나 민족주의의 생성이나 발전의 전체 과정 가운데 일부를 부당하게 저평
19, 20세기의 민족주의 발전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71> 민족주의의 근대주의적 해석 비판 ⑦
프랑스혁명은 민족주의가 성장하는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혁명을 통해 민족주권과 민족의 자율성이 주장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제 이론상으로는 민족 전체가 충성의 대상이 될 수 있었으므로 이 시기에 근대적 민족주의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한다. 그럼에도 이
프랑스혁명과 근대적 민족주의의 시작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70> 민족주의의 근대주의적 해석 비판 ⑥
근대 민족주의는 프랑스혁명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민족 개념은 이미 1770년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루소의 <사회계약론>의 영향으로 민족의 개념이 사회계약의 원리와 결합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민족은 이제 인민의 자발적인 선택에 의한
민족과 민족주의는 언제 생겼나 (3)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69> 민족주의의 근대주의적 해석 비판 ⑤ - (3)
15세기 말 프랑스인의 정체성은 '가장 기독교적인' 프랑스왕의 백성이라는 점, 프랑스어를 말하고 쓰는 것, 프랑스 영토, 살리 법, 고대로부터의 문화적 전통, 프랑스 정치제도에 대한 자부심 같은 것에 있었다. 그리고 그 핵심은 무엇보다도 왕 개인이었다. 이
민족과 민족주의는 언제 만들어졌나? (2)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68> 민족주의의 근대주의적 해석 비판 ⑤ - (2)
근대 초 민족형성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종교이다. 유럽은 16세기 초에 마르틴 루터에 의해 종교개혁이 시작되며 커다란 내적 갈등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유럽사회가 신교와 구교로 갈라져 서로 경쟁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각 나라에서 국내적으로 큰 정치, 사
민족과 민족주의는 언제부터 만들어졌나?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67> 민족주의의 근대주의적 해석 비판 ⑤ - (1)
근대주의자들은 민족이나 민족주의가 중세시대에 존재했을 가능성을 대체로 부인한다. 그것을 18세기 말 이후 근대의 산물로 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근대 시기에 민족이나 민족주의 비슷한 것이 있더라도 그 의미를 매우 과소평가한다. 따라서 근대주의를 비판하기 위
민족주의의 근대주의적 해석은 무엇인가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66> 민족주의의 근대주의적 해석 비판 ④
근대주의적 해석은 민족주의 이데올로기가 주장하는 기본적 원리들을 대체로 그대로 받아들였던 기존 해석에 대한 불만으로 생겨난 것이다. 그러나 또한 2차대전 이후 많은 식민지들이 해방되며 '민족 내지 국가형성'이 사회과학자들의 중요한 관심사였던 1960년대를
민족주의를 보는 관점들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65> 민족주의의 근대주의적 해석 비판 ③
오늘날 민족주의 이론에서 가장 본질적인 논쟁점은 민족과 민족주의가 언제, 어떻게 생겨났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 문제가 중요한 것은 최근에 등장한 근대주의적 해석이 민족과 민족주의를 근대의 산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민족과 민족주의를 근대적인 현
민족, 민족적 정체성, 민족주의
[강철구의 '세계사 다시 읽기']〈64〉민족주의의 근대주의적 해석 비판 ②
우리가 민족, 민족주의와 같은 단어들을 일상적으로 사용하기는 하나 그 의미를 정확하게 알고 구분해서 쓰지는 않는다. 일반인만 그런 것이 아니라 학자들 가운데에도 그런 사람들이 있다. 그래서 같은 현상을 설명하며 여러 단어들을 뒤섞어 혼용한다. 또 같은 단어를 매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