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1월 21일 18시 01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가정부가 영화배우를 '취향'이 아니라고 거절한다면 누가 믿겠나"
[안치용의 노벨문학상의 문장] 하인리히 뵐,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
“그녀 같은 가정부가 영화배우 같은 사람을 거절한다고 하면, 그것도 윤리적인 이유에서가 아니라 취향을 이유로 거절한다면, 누가 그녀의 말을 믿겠는가?”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하인리히 뵐, 박리나 옮김, 민음사) 하인리히 뵐의 소설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의 이 구절은 사회에 만연한 성적이고 계급적인 고정관념과
안치용 인문학자, ESG연구소장
독일 통일의 교훈, 국가 성쇠는 리더들의 능력에 달렸다
[독점이냐 쏠림이냐, 포용과 분권이냐] 독일 통일과 동·서방국가들과의 통합 정책: 서독 정치 지도자들을 위주로
독일은 제2차 세계대전에 패배하고, 전범국으로 연합국(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에 의해 1945년에 점령되었다. 이 연합국은 점차 패권을 두고 경쟁했다. 이는 냉전으로 이어졌다. 그 결과 세계는 양분화되었고, 독일은 분단되어 1949년에 독일연방공화국(서독)과 독일민주공화국(동독)이 건설되었다. 독일은 1990년 10월 3일에 평화 통일을 이루었다. 평
김해순 전 독일 괴테대 교수
세상을 헤쳐 나가는 힘
[세상을 바꾸는 힘, 나눔] <민들레의 영토> 이해인 수녀
국내외 정세가 불안합니다. 서로를 향한 미움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주위를 둘러보면 남모르게 내 소중한 것을 나누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들 덕분에 우리 사회는 미래의 희망을 꿈꿀 수 있습니다. 나눔은 힘이 셉니다. 작은 결심, 조그만 행동이지만 태풍이 되어 사회를 바꾸기 때문입니다. 푸르메재단이 한국 최초로 어린이 전문 재활병원을 세운 것도, 단단
백경학 푸르메재단 상임대표
'미국 일변도' 윤석열 정부, 외교에서 '이것'을 주목해야 한다
[독점과 쏠림이냐, 포용과 분권이냐] 미‧중 전략 경쟁과 한국의 외교안보
국제정치는 힘과 이익, 명분의 세계이다. 각국 지도부는 다양한 이익들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며 명분과 힘을 활용한다. 이런 맥락에서 1970년대 초 닉슨행정부는 주적인 소련을 이이제이 전술로 견제한다는 세계전략적 이익을 위해 공산국가인 중국과 관계를 정상화하고 연대했다. 그러나 소련이 해체되자 중국은 1996년 러시아와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미국의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의사 수? 문제는 영리화된 의료 시스템이야!
[독점과 쏠림이냐, 포용과 분권이냐] 한국 의료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
의대 증원 여부를 놓고 한국 사회가 들썩이고 있다. 지금까지 18년 동안 의대 증원이 1명도 이루어지지 못했다. 수차 의대 증원의 시도가 있었으나 실패했고, 다시 지난 문재인 정부에서 450명 정도를 증원하려 했으나, 의사 집단의 반대에 부딪혀 성사되지 못했다. 현 정부에서 애초에 2000명 증원하고자 했으나, 현재 1450명 정도로 축소 조정했고, 의사
최자영 한국외국어대 겸임교수, 의학 박사
한강 작가와 김건희 여사의 공통점은?
[안치용의 노벨문학상의 문장] 한강, <채식주의자>
나는 모르고 있었다. 저 여자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고 있었다. 갑자기 그런 생각이 들었다. -<채식주의자>(한강, 창비) 뉴스에 두 여자 밖에 안 보인다. 저녁이든 점심이든 사람들을 만나도 두 여자 이야기뿐이다. 두 사람은 한강 작가와 김건희 여사다. 어느 쪽의 비중이 더 높은지는 함께한 사람의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 함께 비교해서 두 사람
"개인보다 팀으로 성장하는 혁신 교육"
제1회 혁신대학 서밋, 제주에서 열려…
팀기업가 정신 등 다양한 혁신 대학 프로그램을 알리는 '제1회 혁신 대학 서밋(Innovative University Summit)'이 지난 10일부터 이틀간 제주도 서귀포시에서 열렸다. 넥스트 챌린지가 주최한 행사는 미국, 영국, 핀란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일본 등 해외 혁신 대학 다수가 참가해 각 대학의 혁신 교육 사례를 공유하는 네트워
이명선 기자
멍청함을 깨닫는 인간만이 멍청하지 않다
[안치용의 노벨문학상의 문장] 도리스 레싱, <앨프리드와 에밀리>
"난 정말 멍청한 여자야. 그걸 이제야 알았어." "다행히 우리 대부분은 그렇게 고통스럽게 자신의 멍청함을 깨닫진 않는데, 참 불쌍하셔라." -<앨프리드와 에밀리>(도리스 레싱, 민은영 옮김, 문학동네) ‘문학의 얼굴을 바꾼 작가’로 평가받는 레싱의 생애 마지막 작품인 이 소설에 나오는 주인공 에밀리의 대화이다. 소설의 두 주인공 앨프리드와 에
'대학 위 대학' 그랑제꼴? 프랑스 그랑제꼴에 대한 오해와 진실
[독점과 쏠림이냐, 포용과 분권이냐] 한국에 잘못 알려진 프랑스의 대학 교육 실상
프랑스는 유럽에서도 독특한 고등교육 제도를 지닌 나라다. 따라서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아왔고, 그만큼 오해도 적지 않다. 우리 사회에서도 마찬가지다. 대학(Université) 이름을 없애고 숫자로 표기하여 서열을 없앤 이른바 ‘대학 평준화’는 프랑스 고등교육 시스템에 대한 한국 사회의 가장 대중적인 이미지다. 한편, 대학과 별도로 운영되는 그랑제꼴(Gra
이민경 대구대학교 교수
연쇄살인범의 해피엔딩을 그린 '도덕적 스릴러'
[안치용의 노벨문학상의 문장] 올가 토카르추크, <죽은 이들의 뼈 위로 쟁기를 끌어라>
“인간의 정신은 우리가 진실을 보는 것을 막기 위해 발달된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우리로 하여금 그 메커니즘을 직시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말이다. 정신은 우리 주변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우리가 절대 이해하지 못하게 만들어 주는 방어체계다. 우리 뇌의 용량이 어마어마하다지만, 정신의 주된 임무는 정보를 걸러내는 것이다. 지식의 무게를 모조리 짊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