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4월 06일 17시 38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인권운동가로 산다는 것
[인권으로 읽는 세상] 지속가능한 인권운동의 조건을 묻다
직업란을 써야 하거나, 무슨 일을 하는지 누군가 물어볼 때 곤혹스럽다. '인권활동가'로 정체화하며 살아가지만, 직업이 신원의 보증처럼 요구될 때는 안정적인 일로 여겨질 것 같지 않아 난감하다. 인권단체에서 일한다고 하면 '좋은 일 한다'는 얘기를 듣곤 하는데, 인권활동이 '좋은 일'로 표현되는 게 불편하다. 2019년 한 해 동안 인권활동가들이 함께 '지속
민선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
2019.12.12 22:23:31
기업이 돈 벌기 위해 만든 '데이터 3법'
[인권으로 읽는 세상] 데이터가 아닌 정보인권이다
지난 11월 29일 개인정보보호법과 신용정보법이 국회 본회의에 상정되지 않고 법제사법위원회에서 계류되자 산업계에서는 미래 산업에 대한 국가 경쟁력이 뒷걸음질 칠 수 있다는 우려를 쏟아내고 있다. 이들이 앓는 소리를 내고 있지만 정보통신망법을 포함한 소위 '데이터 3법'의 통과에 가장 앞장서는 세력은 정부와 국회다. 지난 10월 문재인 대통령은 데이터 3법의
몽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
2019.12.06 09:27:17
집은 상품이 아니라 인권!
[인권으로 읽는 세상]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 주거권 실현의 시작
"한국은 자산이나 상품이 아니라 인권으로서 주거 개념으로 인식을 전환해야 한다." 2018년 5월, 한국주거권 실태 조사 당시 UN 주거권 특별보고관의 발언이다. 가장 기본적 권리 중 하나인 주거권을 실현하기 위해 올해 10월 계약갱신청구권과 임대료상한제 등의 도입을 요구하며 주택임대차보호법개정연대가(이하 개정연대) 출범했다. 그런데 일부 언론에선 이런 요
대용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
2019.11.29 08:13:25
"홍콩의 오늘은 세계의 내일"
[인권으로 읽는 세상] 홍콩의 민주주의, 우리 앞에 당도한 질문
홍콩 이공대를 완전 봉쇄한 경찰, 물러서지 않겠다는 시위대. 실탄, 최루탄, 물대포가 시민을 겨눌 때마다 한국에서는 어떤 기억이 소환되고, 사람들은 화염병과 벽돌에 어떤 간절함이 담겼던가 기억해낸다. 홍콩 소식에 많은 사람들이 마음을 졸이는 요즘 대학가를 중심으로 대자보가 붙고 훼손되는 사건도 반복되고 있다. 홍콩 민주화 시위는 이미 한국에 당도했다. 그러
미류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
2019.11.20 14:44:07
세월호에 '특수단' 다시 꺼낸 검찰을 보는 마음
[인권으로 읽는 세상] 끝까지 진실을 포기하지 말자는 다짐이 필요하다
검찰이 세월호 참사 전면 재수사와 특별수사단 설치를 전격 발표했다. 검찰은 이례적으로 대규모 전국구 '강력' 수사단을 꾸렸다. 법무·검찰 개혁위원회가 서울중앙지검의 특수부 등 직접 수사부서의 비대한 규모를 대폭 축소해야 한다고 권고한 지 한 달 만에 검찰 스스로 개혁 과제와 배치되는 결정을 한 셈이다. 이를 두고 검찰이 현 검찰개혁 국면을 타개할 정치 셈법
가원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
2019.11.15 14:42:38
노동기본권 무시하는데 '좋은일자리'?
[인권으로 읽는 세상]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의 문제점
"5월 광주가 민주주의의 촛불이 됐듯이 광주형 일자리는 경제 민주주의의 불씨가 될 것." 지난 1월 광주형 일자리 투자 협약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이다. 2014년부터 광주시가 추진해 온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현대차와 투자협약을 체결해 본 궤도에 오르자 정부는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 확산을 공식화했다. 10월에는 현대중공업 조선소와 한국
정록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
2019.11.07 15:26:52
공정한 입시가 공정한 사회를 만들 거라는 환상
[인권으로 읽는 세상] 줄을 '잘' 세우라? 줄 세우지 말라!
'조국 사태'에서 불거진 자녀 입시 특혜 논란으로 '공정한 입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입시 비리 의혹이 꼬리를 물면서 국회에서는 여야 할 것 없이 경쟁적으로 국회의원과 고위공직자 자녀의 대학입시 전수조사 법안을 만들겠다고 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교육에서의 불공정'을 바로 잡겠다는 의지를 밝히며 정시 확대를 주요방향으로 한 대입제도 개편을 제시했다. 공론
2019.10.31 14:45:40
공수처 논란에 정작 '시민'은 없다
[인권으로 읽는 세상] 검찰의 정치 권력화 막아야
두 달간 한국 사회를 뜨겁게 달궜던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자신을 '검찰 개혁의 불쏘시개'라고 칭하며 사퇴했다. 조국 전 장관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검찰이 보였던 집요한 인지·표적 수사에 대한 공분까지 더해지며, 남은 과제인 검찰 개혁으로 관심이 쏠리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검찰 개혁을 위해서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이하 공수처) 설치가 무엇보다 우선이라고 피
어쓰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
2019.10.23 17:25:55
'불법 체류 외국인=범죄자'라는 인종혐오
[인권으로 읽는 세상] 10월 20일 전국이주노동자대회에 함께 하자
우연이었을 게다. 9월 24일,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불법 체류 외국인 수를 감축할 수 있는 근본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지시했고, 김해의 이주노동자 아누락 씨는 법무부의 단속을 피해 달아나다가 목숨을 잃었다. 그런데 정말 우연이기만 했을까. 법무부 장관의 지시는 그 며칠 전 발생한 뺑소니 사고에 대한 응답이었다. 운전자가 '불법 체류 외국인'
2019.10.17 12:09:30
톨게이트 노동자들이 특권을 바란다고?
[인권으로 읽는 세상] 공공부문 정규직화 정책 3년, 노동자의 권리는?
촛불 이후 세월호가 올라오고, 남북 정상이 다시 만날 때만큼이나 한국사회가 정말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만든 장면이 있다. 비정규직 제로시대 선언. 대선 직후인 2017년 5월 12일, 신임 대통령의 첫 행보였다. 인천공항은 1만 명이 넘게 일하지만 정규직은 1000명뿐인 비정규직 중심의 고용구조를 지닌 공공기관이다. 대통령이 바로 그 곳에서 비정규직
2019.10.04 14:4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