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1월 23일 16시 03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10만 명 먹여 살린다'는 그 천재는 누구인가?
[공작의 꼬리 경쟁·12] 차등화를 통한 분배의 양극화
차등화 성장의 주장은 보상 동기에 근거한 것이다. 그리고 보상 동기를 자극하는 방법으로 차등화의 간극을 높여야 한다고 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잘 사는 사람을 더 잘 살게 하고, 가난한 사람을 더 상대적으로 가난하게 함으로써 더 높은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
서상철 캐나다 윈저 대학 교수
서남표는 어떻게 카이스트를 좀 먹었나?
[공작의 꼬리 경쟁·11] 차등화 보상 동기와 근원적 동기
차등화 성장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차등적 금전적 보상을 통하여 일의 동기 제공을 해야 한다고 한다. 업무 실적이 좋으면 월급을 올리거나 진급을 시키고, 나쁘면 급여를 깎거나 심지어 퇴직을 시키는 당근과 채찍을 들 수 있다. 당근과 채찍은 보상 동기 제공이라는 점에는
죽어가는 카이스트의 6만 원짜리 아인슈타인들
[공작의 꼬리 경쟁·10] 카이스트의 미래는 없다
카이스트(KAIST)는 미래의 아인슈타인과 같은 과학자를 양성하는 한국 최고의 연구·교육 기관으로 한국 최고의 교수진과 영재들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몇 달 사이에 이 학교의 학생 세 명이 짧은 간격을 두고 자살한 사건을 뉴스를 통해 들었다. 그 중의 한 학생인 '로
IMF로 행복해진 사람들 vs 불행해진 사람들
[공작의 꼬리 경쟁·9] 1997년 외환 위기
1997년은 한국 경제에 커다란 변혁이 발생한 해이다. 그 전까지는 한국에 존재한 경쟁 논리 또는 시장 논리는 이 역사적 사건에 비하면 점진적으로 사회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이었다. 경쟁과 효율을 중시하는 시장 논리는 주로 미국에서 공부한 경제학자들에 의하여 도입
MB의 '747' 공약이 실패한 진짜 이유는?
[공작의 꼬리 경쟁·8] 일인당 국민소득 : 4만 불 뒤에 숨어 있는 것들
한국에서 가장 중요한 숫자 하나를 들라면 그것은 일인당 국민소득일 것이다. 이것만큼 빈번히 신문이나 방송에 자주 나타나는 숫자는 없을 것이다. 그 숫자 변화로 우리가 실적을 평가하고, 그에 따라 다른 나라와 비교도 하여 등수도 매기고, 그에 따라 국가의 선진성과 후
'보이지 않는 손'이 보이지 않는 이유는…
[공작의 꼬리 경쟁·7] 기업을 위한 자유
시장주의자들은 경제 주체들이 자신들의 이기적 목적인 이윤이나 효용의 극대화를 자유롭게 추구하도록 놔두면 모든 것이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하여 조정되어 사회 전체의 효율을 최대로 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경제 주체의 자유로운 경제 활동
동사무소 민영화? 청와대도 사기업에 넘긴다면…
[공작의 꼬리 경쟁·6] '완전 경쟁'은 없다
시장에서 분업을 통한 효율 증가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어떤 의사가 농부의 부러진 다리를 고치는 대가로 쌀을 받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만약 시장이 없어 서로의 거래가 불가능하다면. 즉 의사는 직접 농사를 지어야 하고, 농부는 다리가 부러지면 스스로 치료해야 한다.
회장님의 진심 "재벌의 단가 후려치기, 뭐가 문제야?"
[공작의 꼬리 경쟁·5] 시장은 절대적으로 효율적인가?
경제 이론에서 이상적인 상태로서 완전 경쟁 상태를 가정한다. 이 가정이 중요한 이유는 시장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시장을 통한 자원 배분이 효율적이다"라는 이론의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이론은 현실 경제와는 큰 괴리가 있다는 점은 알아야 한다. 그러한 이론
재앙 속에서 가장 이기적으로 행동하는 직업은?
[공작의 꼬리 경쟁·4] 경제학자가 가장 이기적이다
인간이 이기심은 타고나는 유전적인 것인가 아니면 환경이나 교육의 영향을 통하여 변화하는 것인가? 어느 사회에서 경제 논리를 강조하여, 사회가 더 경쟁적으로 되어야 하며, 이기적 행위가 필요한 것이고 사회 전체에 도움이 되는 좋은 것이라고 교육 받으면, 사람들은 더
재앙 속에서 빛난 日 이타심…인간은 이기적인가?
[공작의 꼬리 경쟁·3] 이기심과 이타심
인간의 본성을 경쟁으로만 파악하는 것의 한계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오랜 세월을 거쳐 형성된 우리의 본성을 이해하려면 몇 백 년이라는 짧은 세월을 통한 인류의 삶보다는 몇 만 년 인류가 지내온 삶을 봐야할 것이다. 인간의 본성을 경쟁적이라고 정의하는 것은 아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