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1월 10일 19시 17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200년 만에 끝나고 있는 '서세동점'의 시대
[김기협의 자본주의 이후]<3> 이젠 '자본주의 이후'를 고민할 때
농업문명 발생 이후 유라시아 대륙 중위도지대가 문명 발전의 주무대가 되었다. 기술 수준이 유치한 단계에 있던 초기 농업에는 자연 식생이 너무 왕성한 아열대 지역도, 태양광이 적은 고위도 지역도 적합하지 않았다. 중위도의 온대 지역을 따라 대륙 동쪽 끝에서 서쪽 끝까지 지형 조건이 적합한 곳에 여러 초기 문명이 자리 잡았다.초기에는 문명 간 접촉이 원활하지
김기협 역사학자
DJ정부의 햇볕정책…"싸우지 않고 적을 이긴다"
[김기협의 냉전 이후]<57> 햇볕정책 추진 위한 임동원의 포석
김대중 대통령의 취임과 동시에 외교안보수석을 맡은 임동원은 5년 동안 어느 직책에서든 대북정책의 사령탑 노릇을 했다. 특히 정권 출범 초기 IMF 사태로 인해 대통령이 경제문제에 전념해야 할 상황이었기 때문에 임동원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했다.그러나 김대중의 깊은 신뢰는 임동원의 활동에 든든한 발판이 되었을 것이다. 임동원은 외교안보수석실의 기존 인원
'근대화'는 유토피아를 향한 길이었던가?
[자본주의 이후]<1> '근대화'를 절대시한 정책 노선 반성해야
연재를 시작하며문명사 공부를 통해 키워온 생각 가운데 정책 판단에 참고가 될 만한 내용을 정리해 달라는 부탁을 새정치민주연합 홍익표 의원에게 받았습니다. 이에 응해 다음의 8가지 주제에 관해 정리한 생각을 프레시안 독자들께 내놓습니다. 앞으로 프레시안 지면을 통해 소개될 연재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1 '근대화'는 유토피아를 향한 길이었던가?2 신자유주의
4년여가 걸린 김정일 후계 승계, 이유는?
[김기협의 냉전 이후]<56> '선군정치'는 후계 승계 과정 보장 장치였다
동구공산권의 붕괴와 소련의 해체가 북한에 심각한 위기를 가져왔다는 사실은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을 정도로 당연한 일이었다. 이 위기에는 군사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이 있었다. 가장 중요한 동맹국들이 사라지거나 극도로 위축되어 있는 상황에서 수십 년간 계속되어 온 미국과 남한의 위협 앞에 아무 보호막 없이 노출되었다. 그리고 미국과 남한이 전반적 위기를 이용해
"이인호 KBS 이사장, '나와바리' 벗어난 건 반갑지만…"
[김기협의 페리스코프] 뉴라이트의 목적, '진보와의 경쟁' 아닌 '합리적 보수' 봉쇄
나는 40대 초반에 강단을 떠난 후 지금까지 20년간 독학(獨學)을 하며 지냈다. 이 글을 발표할 때도 "역사학자"라는 수식어가 내 이름에 붙겠지만, 내게 합당한 타이틀인지 늘 불안한 마음이다. 역사학자의 자세를 내가 잘 지켜온 것인지 객관적으로 확인할 길이 없기 때문이다.강단에 남아있었다면 이렇게 불안한 마음이 들 여지가 별로 없었을 것이다. '역사학 교
분단의 내재화와 '대통령 김대중'의 등장
[김기협의 냉전 이후]<54> 김대중과 임동원의 만남
1990년을 전후한 '공산권 붕괴'를 당시 사람들이 충격적으로 받아들인 것에 비하면 세상이 그렇게까지 바뀐 것은 아니라는 생각을 그 후 여러 가지 일을 겪으며 떠올리게 되었다. 그러나 이제 돌아보면, "역사의 종말" 같은 네오콘의 환상적 승리감이 너무 들뜬 것이었기 때문에 그에 대비해 현실의 냉엄함을 깨닫게 된 것일 뿐이지, '동구공산권 붕괴'는 정말 큰
정부는 주민투표 '주인' 아니라 '하인'이다
[김기협의 페리스코프] 주민투표 한 번으로 '비핵국' 된 오스트리아, 삼척 투표 묵살하는 한국 정부
692메가와트 규모의 츠벤텐도르프 원자력발전소는 오스트리아 최초의 핵발전소로 1972년 4월 착공해서 1978년 가을까지 140억 실링(지금 돈으로 약 10억 유로)을 들여 완공이 됐다. 그러나 이 발전소는 가동되지 못했다. 1978년 11월 5일의 주민투표에서 원자력의 평화적 사용을 위한 법안이 근소한 차이로 부결되었기 때문이다. (50.5% 대 49.5
YS, '잃어버린 5년'을 잃어버린 이유
[깁기협의 냉전 이후]<53> 식민성 버리지 못한 집권세력, 남북관계 '잃어버린 5년' 만들다
남북 분단체제는 해방 직후 미-소의 분단 점령으로 틀을 짜기 시작해서 1948년 8~9월 남북의 정부 수립으로 완성되었다. 큰 틀은 그 후 66년이 지난 지금까지 지켜지고 있다. 그러나 그 실제 양상은 적지 않은 변화를 겪어 왔고, 동구공산권 붕괴 직후인 1990년대 초반도 한 차례 큰 변화의 계기였다. 어떤 변화였던가, 분단체제 성격 변화의 큰 흐름 속에
대북 강경파와 유화파를 모두 화나게 한 YS
[김기협의 냉전 이후]<52> 1995년 대북 쌀 지원과 '인공기 게양' 사건
북한과의 관계에 대한 여러 미국 관료-학자-언론인의 회고에서 김영삼의 정책 결정 기준에 관한 일치된 견해가 있다. 국내 여론에 민감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여론에 억지로 영합하려 한다 해서 꼭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김연철이 냉전의 추억(후마니타스 펴냄) 251쪽에서 김영삼 정권 시기의 남북관계를 요약한 대목에 지지율 추이가 언급되어 있다.정권별로 남북회
김영삼, 아Q의 '정신 승리'가 부러웠나?
[김기협의 냉전 이후]<51> 북미관계에서 '골칫덩어리' 된 YS정부
1994년 10월의 북-미 제네바 기본합의에 대한 남한 정부의 불만은 북미관계의 개선이 남북관계의 진전과 관계없이 이뤄진다는 데 있었다. 1993년 6월 고위급 북미대화가 시작된 이래 김영삼 정부는 북미 간의 어떤 합의에도 남북대화 진전을 조건으로 연계시키도록 미국 측에 계속 요구했다. 스스로는 북한과의 관계개선에 애쓰지 않으면서 이런 요구를 한다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