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지난회 바로 가기 : 알고도 가는 길 ⑥)
못 외우겠어요!
역사 공부를 좋아하는 분들은 해당 사항이 없지만, 고민은 역시 '역사' 하면, 머리가 아픈 분들에게 쏠리게 마련이다. '역사'에 고개를 젓는 이유는 대부분 '머리가 아파서'다. 외울 것이 많다는 것이다. 관직, 이름, 연도 등등. 공감한다. 역사 공부를 업으로 삼고는 있는 필자도 그러한데, 일반 독자들은 어떠하겠는가.
나는 학과 강의든 특강이든 맨 먼저 꼭 공지하는 게 하나 있다. 그것은 바로 '내가 말하는 연도는 나중에 반드시 확인하고 인용하라'는 것이다. 그렇다. 난 이상하게 연도나 사람 이름을 외우지 못한다. 30년 넘게 역사학을 전공하고 있지만, 실로 내가 기억하는 사건의 발생연도는 몇 개 되지 않는다. 나는 주자(朱子 송나라 주희(朱熹))라는 학자를 존경하는데, 그 이유 중 하나는 그 분의 생몰(生沒) 연도가 기억하기 좋기 때문이다. 1130~1200.(주자 당대에는 이 서기(西紀) 연도가 사용되지 않았다. 연도 역시 인식의 방편이다.)
오죽하면 매 학기 시작할 때면 맨 먼저 하는 일이 사진 달린 출석부를 출력하여 매일 서너 번씩 이름을 소리 내어 낭독하는 것이다. 이렇게 한 달은 해야 50명 정도 되는 학생들의 이름과 얼굴을 기억한다. 내 기억력이 나쁘다는 말을 하는 게 아니다. 이런 기억력을 가지고도 역사 공부를 할 수 있다는 걸 말하려는 것이다. 물론 손이 고생하긴 한다. 글을 쓸 때면 늘 연표나 인명사전을 뒤적여 확인해야 안심이 되므로 불편하고 효율성이 떨어진다.
물론 여전히 박람강기(博覽强記), 널리 읽고 기억을 잘하는 것이 역사 공부를 할 때 매력적인 장점임은 사실이다. 그렇더라도, 필자의 경우를 너무 일반화하는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실상 역사공부나 취미는 '외워야 한다'는 통념은 과장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한다. 나의 이런 의심에는 근거가 없는 게 아니다.
'모든' 역사라는 신화
이렇게 생각해보자. 시장에 있는 모든 물건을 알아야 내가 필요한 물건을 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우리는 전체를 알아야 역사를 안다고 생각해오지 않았는가? 세계사를 배워야 인류의 역사를 아는 것이고, 국사를 배워야 조선인의 역사를 안다고 생각하지 않았는가? 그래서 각 대학 역사학과마다 고대부터 현대사까지 쭉 교수를 뽑아놓고, 각 시대마다 균등하게 쭉 상품(커리큘럼)을 늘어놓고 고객(학생)들에게 다 알아야 한다고 강요하지 않았는가 말이다.
단언컨대, 이렇게 전체를 아는 역사는 가능하지도 않을뿐더러 바보 같은 짓이다. 이름하여 전체론적 오류(holist fallacy). 역사가의 증거는 항상 불완전하고, 관점은 항상 제한되게 마련이다. 역사학도는 '모든' 주제나 사건이 아니라, '어떤' 주제나 사건에 관심을 갖는다. 인간의 역사에 대한 자연스러운 호기심 또는 관심을 아예 전체론적 오류로 만들어버린 대표적인 학자는 내가 보기에 헤겔이다. 그의 1822~1831년 역사 강의를 묶은 <역사철학 강의> 서론을 보자.
"식물의 배아가 그 속에 나무의 전체 성질, 과실의 맛과 형태를 포함하고 있는 것처럼, 정신의 최초 발자취 역시 이미 역사 전체를 잠재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동방 제국의 사람들은 정신(das Geist) 또는 인간이, 그 자체로서 자유라는 것을 알지 못한다. 그들은 이것을 알지 못했기 때문에 현실에서 자유롭지 않다. 그들은 다만 한 사람만의 자유라는 것을 알고 있었을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같은 자유는 단순한 자의 횡포, 둔감 또는 단순한 하나의 자연적 우연, 또는 자의에 불과한 열정이다. 따라서 이 한 사람은 전제군주이지 자유로운 성인은 아니다.
자유의 의식이 최초로 생긴 것은 그리스인에게서이고, 따라서 그들은 자유인이었다. 그러나 그리스인은 또 로마인과 마찬가지로 자유라는 것을 알고 있던 데 불과하다. 인간 자체가 자유라는 것을 알지 못했다. 플라톤도 아리스토텔레스도 이것을 알지 못했다. 그래서 그리스인은 노예를 소유했고 그들의 생활 전체 및 그들의 빛나는 자유의 유지는 노예제도와 연결되어 있었다.
게르만 여러 민족이 비로소 그리스도교 영향을 받고서야 인간이 인간으로서 자유이고, 정신의 자유야말로 인간의 본질을 이룬다는 의식에 도달하였던 것이다. (…) 요컨대 세계사란 자유의 의식의 진보를 의미하는 것이며, 이 진보를 그 필연성에서 인식하지 않으면 안 된다."(<역사철학 강의>(김종호 옮김, 삼성출판사 펴냄, 1990) 서론 중. 이해하기 쉽도록 번역을 조금 수정하였다.)
'어떤' 사실만 알면 된다
▲ 전체론의 오류를 퍼뜨린 헤겔. '중국에 대해 알고 있던 것은 중국이 존재한다는 사실뿐'이었던 그는 '동양에는 한 사람만 자유로웠다'고 단언할 정도로 용감하기도 했다. |
우리는 헤겔의 역사철학 전체를 논의할 이유도, 시간도 없다. 오늘의 주제는 사실의 의미를 탐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오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주제에 관해서만 다시 확인해보기로 하자. 러셀이 <서양철학사>(최문홍 옮김, 집문당 펴냄, 1982)에서 한 말을 들어보자.
"헤겔이나 다른 많은 철학자들의 견해에 의하면, 이 우주의 한 부분의 성격 역시, 다른 부분이나 혹은 전체에 대한 관계에 의해 근본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한다. 그래서 전체에 대한 그 부분의 위치를 설정하지 않고서는 어떤 부분에 대해서도 올바로 진술할 수 없다는 것이다. 전체에 대한 어떤 부분의 위치란 다른 부분에 의존해 있으므로 전체에 대한 그 부분의 위치에 대한 참된 진술은 동시에 전체에 대한 모든 다른 부분의 위치를 정하게 될 것이다. 이리하여 참된 진술은 오직 하나밖에는 없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전체의 진리 이외에는 진리가 없게 마련이다." (<서양철학사> 936, 939쪽)
다 알아야 한다는 콤플렉스를 심어준 헤겔은 불행하게도 다 알지 못했다. 또 앞으로도 그런 사람은 없을 것이다. 만일 역사학자가 오직 전체 진리만을 말하겠다고 약속했다면 그는 영원히 침묵하겠다고 약속한 것과 같다. 그리고 그는 영원히 전체 진리를 말하지 못하는 자신을 경멸하며 살아야 할 것이다. 아니면 헤겔처럼 모르면서 아는 척하든지. (이상의 서술은 필자의 <신동아> 2012년 12월호 및 2013년 4월호, '역사기록, 그 진실과 왜곡 사이' 원고에서 부분 발췌한 것입니다.)
결국 역사 공부는 자신이 관심 있는 주제나 사건을 탐구하는 데서 시작하여 거기서 끝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대로 된 역사학과라면, 역사학개론, 사료비판, 역사기록과 서술에서 고전이 된 훌륭한 역사서로 커리큘럼을 짜면 된다. 모든 시대에 교수를 배치하는 대신, 이런 커리큘럼을 담당할 교수를 뽑으면 된다.
근대 역사학에서 말하는 '국사(國史)'는 19세기 국민국가와 함께 탄생했다. 그래서 조선의 '국사'와 요즘 말하는 '국사'는 다르다. 전자는 과거를 차곡차곡 정리한 일기 같은 저장기억이고, 후자는 국민국가의 정체성을 위한 기능기억이다. 전자가 본연의 역사라면, 후자는 정치의 시녀를 자처한 역사이다. 국사편찬위원회가 진정한 역사연구기관이 되려면 거기서 주관하고 있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폐기해야 하는 이유이다. 국가기관이니까 해도 되나?
'학문의 골짜기(文谷)'라는 호
문곡 김수항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말할 수 있다. 애당초 문곡을 통해 본 조선 중기라고 우리의 논의를 제한했을 때부터 조선 중기의 '모든 사실'을 전제로 하지 않았던 것이다. 문곡을 통해보는 로드 뷰(road-view)라고 했거니와, 역사란 원래 로드 뷰인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우리는 문곡에 대한 '어떤' 사실만 알면 얼마든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흥미롭게도 이 말은 문곡에 대해 어떤 사실은 꼭 알아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범위는 우리가 어떤 일을 하든 그 분야에서 꼭 알아야 하는 정보 이상을 넘어가지 않는다. 정말이다!
혹시 필자가 김수항이라고 했다가, 문곡이라고 했다가 하여 혼동이 있는 분도 있을지 모르겠다. 문곡은 김수항의 호(號)이다. 이름을 함부로 부르기 불편해서 호라는 게 생겼으리라. 문곡은 '글 골짜기', '학문의 골짜기'라는 뜻이 된다. 대개 호는 주인공이 살던 지명이나 경전의 글귀에서 따오는 경우가 많다.
죽은 다음에 조정에서 내려주는 시호(諡號)라는 것이 있는데, 거기에 문(文) 자가 들어가면 영예로 친다. 그래서 퇴계 이황은 시호가 문순(文純), 즉 '학문이 순정하다'는 뜻이고, 율곡 이이는 문성(文成), 곧 '학문이 완성하였다'는 뜻이다.
무신(武臣)은 충(忠) 자가 들어가면 영예로 치는데, 이순신 장군의 시호가 충무(忠武)라는 사실을 떠올리면 쉽게 이해가 간다. 비슷한 예로, 의병장이었던 김덕령(金德齡) 장군의 시호는 충장(忠壯)이었다.
문곡은 호에도 '문' 자가 들어갔지만, 그의 시호도 문충(文忠)으로 문 자가 또 들어간데다가 무신의 영예인 충 자까지 겸하였다. 아마 조선시대에 문형(文衡), '학문의 저울'이라고 불렸던 대제학을 지냈기 때문에 문 자가 시호에 들어갔으리라. 충 자가 들어간 것은 몇 차례에 걸쳐 우리가 다룬 그의 죽음과 관련이 있다. 희빈 장씨의 득세와 함께 시작된 사화(士禍)인 기사환국(己巳換局), 기사년(1689, 숙종15)에 일어난 변칙과 혼란의 상황에서 '목을 내놓고 했던 직언'을 기리는 글자로 충을 택했을 것이다.
'구지'라는 자(字)
친한 친구 사이에서는 자(字)를 부른다. 대개 어른이 되는 관례(冠禮)를 치르면서 자를 짓게 되는데, 문곡의 자는 구지(久之)였다. 자는 호보다 조금 가볍고 편한 느낌을 준다.
김수항의 자가 구지가 된 까닭은 그의 이름 때문일 것이다. 수항, 목숨 수(壽), 늘(항상) 항(恒)이다. 이 항 자에서 빌려와 '오래 간다'는 뜻의 구(久) 자를 가져다 자를 지었다. 지(之) 자는 별 의미 없이 글자 수를 맞추기 위한 구색이다.
이런 방식으로 문곡의 큰형인 곡운(谷雲) 김수증(1624~1701)과 작은형 퇴우당(退憂堂) 김수흥의 자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김수증의 자는 연지(延之)이고, 김수흥의 자는 기지(起之)이다. 김수증의 증(增) 자가 늘어난다는 뜻이니까 뜻이 비슷한 연(延), 늘어질 연 자를 쓴 것이고, 김수흥의 흥(興) 자가 일어난다는 뜻이니까 뜻이 비슷한 기(起), 일어날 기 자를 쓴 것임을 알 수 있다.
당시 사람들이야 자나 호를 부르는 것이 풍습이었으니까 그렇다 치고, 필자처럼 기억력이 좋지 않거나 역사는 외우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은 이름 외에 자나 호까지 외워야 하는 것이 끔찍한 장벽일 수도 있다. 그래도 위와 같이 호나 자를 짓는 이치를 알면 기억하는 데 적잖이 도움이 된다.
참고삼아 예를 들어보자. 세조의 찬탈에 저항하여 한양을 버리고 은둔했던 지사(志士)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은 이름부터 재미있다. 시습(時習), <논어>의 첫머리에 나오는 "배우고 제때 익히면 엄청 즐겁다[學而時習之, 不亦說乎!]"라는 구절에서 글자를 따다가 이름을 지은 것이다. 매월당의 자는 열경(悅卿)인데, 경은 듣기 좋으라고 쓴 글자이고, 이 자의 포인트는 열(悅) 자에 있다. '불역열호'라고 할 때, 설(說) 자를 열로 읽는데, 이 글자가 기쁠 열(悅)과 같은 글자이다. 매월당이 자를 열경으로 한 것은 '시습'이라는 이름을 가져온 전거에서 짝을 맞춘 것이다.
문곡에 대한 '어떤' 정보
처음 만나는 남녀가 호구(戶口) 조사부터 하는 경우가 많듯이, 호구 조사는 서로를 이해하는 데 기초자료가 된다. 상대방이 시공간적으로 어디에 놓여 있는지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가계도(家系圖)는 대상 인물에 대한 간략한 좌표를 보여준다.
▲ 가계도 출처 : <안동김씨세보 安東金氏世譜>(화상사 펴냄, 1982). |
위의 표는 김수항의 가계도이다. 할아버지인 김상헌까지만 보여주었다. 아들 6명에 대한 얘기는 지난 호에서 했으므로 참고만 하면 된다. 당장은 대략 김상헌부터 김수항의 어린 시절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하니까, 기억해둘 사실은 몇 개 되지 않고 그때그때 가계도를 참고하면 사건의 전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할아버지에 대한 추억
차차 느끼게 되겠지만 문곡은 아버지 김광찬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고, 대개 할아버지 김상헌에 대한 언급이 많다. 많을 뿐 아니라, 그의 글 곳곳에서 할아버지의 영향력이 눈에 띤다. 셋째 아들 삼연(三淵) 김창흡이 편찬한 문집 <문곡집> 맨 앞에 실린 글이 문곡이 15살 되던 해인 계미년(1643, 인조22)에 지은 '할아버님이 중국에 가신 것을 그리워하다[憶王父西行]'라는 시이다.
할아버님이 중국으로 가신 후 王父西行後
해가 벌써 세 번이나 바뀌었기에 星霜已變三
하늘가의 이별이 괴로우니 天涯離別苦
슬하에서 받던 사랑 그립구나 膝下憶分甘
밤이면 꿈은 늘 북으로 가고 夜夢長歸北
가을이라 기러기 또 남으로 향하거늘 秋鴻又向南
까마귀 머리 아직 희어지지 않았으니 烏頭猶未白
어느 날에나 떠나간 말이 돌아올까? 幾日返征驂
(까마귀 (……) 않았으니 : 전국시대(戰國時代) 연(燕)나라 태자 단(丹)이 진(秦)나라에 볼모로 잡혀가 귀국을 요청하자, 진왕(秦王)이 말하기를 "까마귀가 희게 되고 말에 뿔이 난다면 돌아갈 수 있으리라."라고 답하였는데, 실제로 그런 현상이 일어나 태자는 귀국할 수 있었다고 한다. <논형論衡 감허感虛>)
이 시는 병자호란(1636, 인조15) 뒤 청나라와 화친(和親)에 반대했다는 이유로 심양(瀋陽)에 잡혀가 있던 할아버지를 생각하며 지은 시이다. 이제 문곡의 할아버지 청음 김상헌부터 얘기를 풀어가 보자. 문곡에 태어나던 시절의 조선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되고, 문곡이 어려서 어떤 생각을 하게 되었을까를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대략 30년 정도의 기간인데 알아야 할 정보는 몇 가지 안 된다.
계축옥사 : 1613(광해군5) 광해군과 북인이 인목대비의 친정아버지 김제남(金悌男)이 영창대군을 앞세워 역모를 꾸몄다고 모함하여 일으킨 숙청. 이듬해 영창대군은 증살(蒸殺)된다.
인조반정 : 1623(광해군15) 궁궐공사, 거짓 옥사(獄事)로 민생을 파탄내고 정치를 어지럽힌 광해군을 쫓아내고 선조의 손자 능양군(綾陽君 인조)을 옹립한 사건
정묘호란, 병자호란 : 1627년, 1636년에 후금(청)이 조선을 침략하여 벌어진 전쟁.
▲ 청음 김상헌의 묘소. 문곡의 어린 시절은 청음을 빼고 말하기 어렵다. 물론 당시 조선 사람이나 사회를 이해할 때도 청음은 반드시 거쳐야할 인물이다. ⓒ오항녕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