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가 8.15 광복절 특별사면 7일 만에 혁신당으로 공식 복귀하고 당 혁신정책연구원장에 지명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에선 사면 이후 조 전 대표가 내놓은 메시지와 관련해 "(사면에 대한) 대통령의 부담이 상당했을 텐데 이 부분의 평가를 박하게 하는 게 아니냐"라는 등 불편한 기색을 내비쳤다.
한준호 민주당 최고위원은 21일 문화방송(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조 전 대표의 최근 메시지를 두고 "하고 싶은 얘기가 많으실 것"이라면서도 "사면과 관련해서 'N분의 1' 발언이라든지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는 (민주당 내) 불편해 하시는 분들이 계신걸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조 전 대표가 대통령 국정지지율 하락에 대한 본인 사면의 영향을 두고 'N분의 1'에 불과하다는 취지로 말한 데 대해 꼬집은 것이다. (☞ 관련기사 : 조국, '청년에 사과' 요구에 "사과한다고 2030이 마음 열겠나") 한 최고위원은 "사면 자체에 대해서는 대통령의 부담이 상당했을 텐데 이거를 (조 전 대표) 스스로 받아들일 때 이 부분의 평가를 박하게 하는 게 아니냐 이런 느낌"이라고 설명했다.
같은 당 박용진 전 의원도 이날 한국방송(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조 전 대표의 최근 메시지들을 두고 "어쨌든 정치인이니까 자꾸 의사를 밝히고 인터뷰를 하고 행동을 하고 보폭을 넓혀 나가려고 하는 건 어쩔 수 없다"면서도 "그러나 조금 메시지가 더 잘 가다듬어지고 본인이 대단히 비중 있고 영향력 있는 정치인이라고 하는 걸 잘 아실 테니까 거기에 맞게 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박 전 의원은 특히 "본인 스스로 조국혁신당도 범여권으로 묶이는 걸 거부하지 않으니까 (본인이)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부담되지 않도록 이렇게 (행동) 하시는 것도 되게 중요할 것 같다"고 지적했다. 역시 조 전 대표가 사면 직후 청년세대의 민심과 관련해 "제가 몇 번의 사과를 한다고 2030이 마음을 열겠나"라는 등의 발언을 남긴 일은 비판한 것이다.
박 전 의원은 민주당과의 합당 여부로 주목받고 있는 혁신당 상황에 대해 "조국의 행보보다 더 중요한 게 조국혁신당의 운명이다. 제3당으로 계속 갈 건가 아니면 민주당과 합당할 건가", "수권 정당으로 가기 위한 노력을 할 건가, 아니면 늘 민주당의 보조 정당으로 남을 건가. 그걸 분명히 해주셔야 된다"는 등 압박성 메시지를 내기도 했다.
박 전 의원은 "혁신당이 윤석열과의 후퇴 없는 투쟁 열심히 해준 건 잘했다고 생각하고 고맙게 생각한다"면서도 "그런데 그거 말고 경제적으로 국민의 먹고사는 문제에 혁신당은 어떤 비전을 가지고 있나", "대한민국의 미래, 외교, 안보, 국방과 관련된 독특한 자신들만의 비전은 뭔가"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합당 여부) 빨리 이걸 정리하지 않고 그냥 지방선거 때 분위기 봐서 독자 후보를 낼 수도 있고 민주당과 정치적인 거래도 할 수 있고 이거는 아주 어떻게 보면 후진 정치, 이류 정치, 하류 정치로 가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서도 "혁신당이 '나는 수권 정당이다. 우리는 수권 정치 세력이다. 그렇게 갈란다' 하고 민주당과의 경쟁을 선언하고 가든지, 이거를 빨리 정리해 주시지 않고 계속 '조국의 미래가 뭐다' 이렇게 얘기하면 그냥 1인 정당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
한편 혁신당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조 전 대표의 복당을 최종 의결했다. 김선민 혁신당 대표 권한대행은 "조 전 대표는 지난해 12월 12일 대법원 확정판결로 당원 자격 상실 252일 만에 당과 당원 곁으로 돌아왔다"며 "조국혁신당은 이제 조국 전 대표와 함께 다시 시민의 곁으로, 완전한 내란종식과 사회권 선진국을 실현하는 길을 걸을 것"이라고 환영했다.
김 대행은 이날 최고위에서 조 전 대표를 당 혁신정책연구원장으로 지명하기도 했다. 혁신당 정책연구원장은 당 대표의 지명 후 이사회가 임명토록돼 있어, 당은 22일 이사회를 열어 조 전 대표의 연구원장직 임명 여부를 논의·의결할 예정이다.
또한 혁신당 측은 지난 20일부터 이날까지 이틀간 진행한 전 당원 투표 결과 현 지도부 임기 단축과 조기 전당대회 개최에 대한 당원들의 추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투표 안건인 '당 대표 권한대행·최고위원 전원 임기 단축 및 조기 전당대회 개최'에 투표자 98.36%가 찬성했다. 당은 내주 중 전당대회준비위원회를 꾸려 전당대회 날짜를 확정할 계획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