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재 가자지구 휴전안에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긍정적 입장을 표명하고 이스라엘도 협상 대표단 파견을 밝히며 장기간 교착됐던 휴전 협상 타결에 대한 기대가 커졌다. 다만 이스라엘이 하마스 쪽 수정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힘에 따라 최종 타결까지 난항이 예상된다.
5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총리실은 휴전 회담을 위한 이스라엘 대표단을 6일 카타르로 파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동시에 전날 전달된 "하마스가 변경하려고 하는 사항"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못 박았다.
이스라엘의 대표단 파견은 전날 하마스가 미국의 '60일 휴전안'에 "긍정적" 응답을 한 데 따른 것이다. 4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하마스는 해당 제안에 대한 "긍정적" 입장을 중재자들에 전달했고 "이 틀을 이행하기 위한 협상에 즉시 돌입할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제안한 60일 휴전안의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로이터>는 해당 휴전안에 하마스가 요구해 온 영구 휴전 협상 개시에 대한 내용이 명시돼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스라엘이 거부 의사를 밝힌 하마스의 수정 요구 사항도 공개되지 않았다. 이스라엘 매체 <타임스오브이스라엘>은 중재에 관여한 소식통에 따르면 하마스는 영구 휴전에 대한 협상이 합의에 이를 때까지 계속돼야 한다는 내용이 휴전안에 포함되기를 원한다고 보도했다. 하마스는 또 유엔(UN)과 국제구호단체들의 인도적 지원이 완전히 복구돼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고 한다. 매체는 하마스가 이스라엘군이 지난 3월 휴전이 깨지기 전 위치로 물러나야 한다고도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때문에 협상 타결이 지연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로이터>는 하마스 연계 무장 단체의 한 팔레스타인인 관계자가 인도적 지원, 이스라엘군의 명확한 철수 일정 등 여러 우려 사항이 여전히 남아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도 하마스와 가까운 소식통에 따르면 하마스는 휴전이 영구 종전과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 철군으로 이어질 보다 명확한 보장을 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주 백악관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를 만나 가자지구 휴전을 압박할 것으로 예상돼 생각보다 이르게 휴전 발표가 나올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가디언>은 자사가 확인한 협상 초안에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휴전을 발표한다는 내용이 있어 네타냐후 총리 방문 중에 이러한 발표가 이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휴전 기대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 폭격을 강화하며 희생자는 연일 늘고 있다. 5일 카타르 알자지라 방송은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 북부 가자시티의 주거용 건물과 학교를 폭격해 9명이 숨졌다고 전했다. <AP> 통신은 가자지구 남부 칸유니스의 나세르 병원에 따르면 피난민이 몰린 지중해 연안 알마와시 지역도 이스라엘 공습을 맞아 팔레스타인인 의사와 그의 세 자녀를 포함해 7명이 숨졌다고 보도했다.
<AP>는 나세르 병원에 따르면 구호품을 받으러 온 주민 사상자가 연일 발생 중인 이스라엘과 미국의 지지를 받는 가자인도주의재단(GHF)의 가자지구 남부 라파 배급소 2곳 인근에서 각 8명, 1명이 숨졌다고 전했다. 이 단체가 지난 5월 말 구호품 배급을 시작한 뒤 한 달간 배급소 인근에서 500명 넘는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스라엘군의 발포 증언이 이어지고 있고 이 단체 근무자들이 주민들을 향해 발포한다는 내부 고발도 보도된 상태다.
5일 알자지라는 지난 24시간 동안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군 공격으로 팔레스타인인 74명이 숨졌다고 집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