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가 22일 의사들과 만나, 윤석열 정부에서 발생한 의정 갈등에 "무조건 사과드린다"고 자세를 낮췄다. 의과대학 정원 확대 필요성에는 침묵한 김 후보는 "하느님 다음으로 의사를 가장 중요한 분으로 생각하고 살아왔다"며 연신 의료계 입장에 보조를 맞췄다.
김 후보는 이날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의협)를 찾아 회장단과 간담회를 갖고 "이렇게 훌륭한 의사 선생님들과 우리 정부가 서로 이렇게 의견이 안 맞을까"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자리에는 김택우 의협 회장,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국민의힘에서는 의사 출신 안철수·인요한·서명옥 의원 등이 자리했다.
김 후보는 "당연히 마음이 맞아야 하는데 그동안 잘못됐다"며 "좋은 청년들이 '나 못 해 먹겠다'고 하는 걸 보고 굉장히 가슴이 아팠다"고 의대생 휴학과 전공의 파업 등을 언급했다.
그는 "소중한 인재들이 공부를 못할 정도까지 만들었다. 무조건 사과드린다"며 "정부의 책임 있는 국무위원 한 사람으로서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했다. 김 후보는 의정 갈등 장기화 국면에서 윤석열 정부 고용노동부 장관이었다.
그러면서 김 후보는 "의사 선생님 한두 명이 아니라 거의 다 문제 제기하는 건 문제가 있는 것"이라며 의료계에서 문제삼은 의대 증원 문제를 에둘러 언급했다. 그는 "전원이 뭉쳐서 이렇게 말하는 건 우리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바꿔야 한다"며 "의사들이 더 정말 잘 일할 수 있게 하는 게 정부 역할"이라고 했다.
이어 "제가 대통령이 된다면 의료 정책은 의사 선생님 말을 들어서 하겠다. 안 듣고 일방적으로 하는 건 옳지도 않고, 민주주의 원리에도 어긋난다"며 "가장 전문성 있는 분들이 가장 반대하는 이런 일들로 많은 국민이 피해 입게 하는 건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했다.
다만 김 후보는 다수 국민이 찬성한 의대 정원 증원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거론하지 않았다. 김 후보는 오히려 "제가 대통령이 되면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했는데,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의대 증원 '후퇴'를 시사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김택우 의협 회장은 "의료 현실과 교육 여건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정책은 고스란히 국민 건강 피해로 돌아온다는 사실을 우리는 이미 뼈저리게 경험하고 있다"며 "전문가를 배제한 무리한 정책 추진이 어떤 결과를 초래했는지 후보가 너무도 절감할 걸로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의료 회복과 '원점 재논의'를 공약으로 제시했다고 믿는다"고 화답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