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기념재단이 18일 거행된 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대해 "5.18 가해자인 군인이 무기를 들고 서 있는 기념식을 누가 무엇 때문에 준비한 것이냐"며 문제를 제기했다.
재단은 이날 기념식을 마친 뒤 성명을 내고 "가·피해자 고려가 없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재단은 "5.18은 계엄군의 살인 진압에 맞서 죽음으로 민주주의를 지켜낸 사건"이라며 "이번 정부 기념식에서 묵념 당시 쓰인 곡은 '죽은 군인을 위한 노래'였고, 헌화 도우미도 제복을 입은 군인이었다"라고 지적했다.
특히 "기념식 무대 좌우에 배치된 무장한 군인이 입은 군복은 지난 12.3 비상계엄 당시 국회로 출동한 계엄군의 것과 같았다"며 "5,18 기념식이 가해자 군인을 위한 것인가"라고 규탄했다.
아울러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기념사는 5.18 헌법전문 수록 등 5.18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그 어떤 내용도 없었다"며 "이러한 이유로 강력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마지막으로 "정부는 기념의 대상과 민주화운동의 발생 경위, 가·피해자에 대한 고려를 통해 기념식을 준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