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조선왕조 500년 자존심' 전라감영 복원으로 바라본 역사와 전주의 미래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조선왕조 500년 자존심' 전라감영 복원으로 바라본 역사와 전주의 미래

ⓒ전주시

조선왕조 500년 동안 전주의 자존심을 지킨 전라감영이 드디어 복원됐다.

조선시대 당시의 완전한 모습은 아니지만 전라감사가 업무를 본 선화당 등 핵심 건물들이 옛 위용을 웅장하게 드러냈다.

전라감영은 조선시대 전라도를 관할한 관청. 전라감영 복원을 계기로 전라감영의 역사를 되짚어보고, 전주의 미래를 담아본다. <편집자주>

▲전라감영, 나주가 아닌 전주에 왜

전라도는 '전주'와 '나주'를 합친 말이다. 전라감영이 나주가 아닌 전주에 설치된 이유는 세종실록에 나와 있다.

세종실록에는 평안도 평양감영과 전라도 전주감영, 강원도 원주감영, 황해도 해주감영 등이 모두 서울에서 가까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기록이 있다. 전주가 나주보다 한양에서 가까웠던 게 그 이유라는 것이다.

전주가 교통의 요지이자 생산물이 풍부했다는 것도 이유. 선조실록에 "감영을 설립할 곳으로 나주는 하도(下道)에 치우쳐 있어 온편치 못하고 전주는 상도(上道)에 치우쳐 있긴 하지만, 영남과의 접경이 멀지 않으며 호서와도 가깝고 물력(物力)도 나은 듯하다"라는 기록이 있다.

조선왕조의 발상지라는 것도 전주에 전라감영이 설치된 또 다른 이유도 있다. 전주는 전주이씨 시조인 이한(李翰) 등 태조 이성계의 선조들이 살았던 곳이다. 비슷한 예로 함경감영이 있다. 함경감영은 함흥에 설치됐다 영흥을 거쳐 다시 함흥으로 옮겨졌는데, 함흥은 태조가 살았던 곳이고, 영흥은 태조가 태어난 곳이다.

함경감영의 예에서 볼 수 있듯, 다른 감영들이 임진왜란 등의 이유로 터를 이리저리 옮긴 것과 달리 전라감영은 조선왕조 500년 내내 전주에서 떠나지 않았다. 전주의 위상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500년 통치, 그리고 한국전쟁 당시 폭발사고

전라감영에는 전라감사가 업무를 보고 휴식을 취한 선화당과 연신당, 감사 가족들이 지낸 내아와 내아 행랑, 비서실장 격인 예방비장이 일하는 응청당, 보좌관 격인 비장들의 집무실인 비장청 등이 있었다.

또 관찰사의 심부름꾼이자 전주대사습놀이 주역으로 알려진 통인들 대기소인 통인청, 약재를 다루는 심약당, 법률을 다루는 검률당, 한지를 만드는 지소, 책을 출간하는 인출방, 진상품 부채를 만드는 선자청도 있었다.

전주는 1896년 전라도가 전북과 전남으로 나뉘고 제주가 분도하면서 쇠퇴하기 시작했다. 전라감영은 1951년 한국전쟁 중 폭발사고로 완전히 사라졌다. 전라감영이 사라진 지 1년 뒤인 1952년 감영 자리에 전북도청사가 들어섰다.

▲전라감영, 복원으로 옛 위용 활짝

전라감영 복원 논의는 전북도청사 이전 계획이 확정된 지난 1996년 시작된 것으로 거슬러올라간다.

전라감영은 도청사가 철거된 뒤 지난 2017년부터 104억 원이 투입돼 한국전쟁 중 폭발사고로 사라진 지 약 70년 만에, 복원 논의가 시작된 지 20여년 만에 그 자태를 다시 드러냈다.

새로 태어난 전라감영에는 웅장한 외관과 우아한 곡선의 팔작지붕이 돋보이는 선화당과 내아, 내아행랑, 관풍각, 연신당, 내삼문, 외행랑 등 7동의 핵심건물이 들어섰다. 선화당 내부에는 1884년 전라감영을 방문한 미국 공사관 무관인 조지 클레이튼 포크(George Clayton Foulk)의 사진자료를 재현한 6폭의 디지털 병풍이 있다.

선화당 동쪽에는 관찰사가 민정과 풍속을 살피던 누각인 관풍각이, 선화당 북쪽에서는 200년 된 회화나무가 서 있다. 회화나무 근처에는 관찰사가 휴식을 취하던 연신당, 관찰사 가족들이 지내던 내아와 내아행랑이 있다. 다가공원에 있던 전라감사 선정비도 이곳으로 옮겨졌다.

▲전주의 자긍심, 전주의 미래

전라감영 복원은 단순히 선화당 등 핵심건물 복원의 의미를 넘어선다 옛 전북도청사 부지였던 전라감영 터가 단지 조선시대의 전라감영 부지일 뿐만 아니라 통일신라 때부터 1300여 년간 관청 자리였음을 보여주는 유물이 다수 출토됐다. 전라감영 터가 적어도 1300년 동안 주변을 통치했던 중요한 곳이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전라감영 복원을 계기로 가야와 백제, 후백제, 동학농민혁명 등 찬란한 역사를 바탕으로 새로운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전주시는 전라감영을 전주의 미래가 담긴 핵심공간으로 만든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전라감영 진상품을 손수 만드는 체험 교육과 전통음악 공연도 하고, 전주대사습놀이 무대도 만들기로 했다. 특히 한옥마을과 풍패지관(객사) 등을 연결하는 관광벨트 구축을 통한 구도심 활성화에도 공을 들인다는 계획이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