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1월 10일 17시 06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임대근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및 중국어통번역학과 교수이다. 중국 영화, 대중문화, 문화 콘텐츠 전문가로 활동하면서 강의와 번역, 글쓰기 등을 실천하고 있다. 중국영화포럼 사무국장을 맡고 있으며, 아시아에서 대중문화가 어떻게 초국적으로 유통되고 소비되는지에 관한 문제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중이다.
탕수육은 왜 탕수육일까?
[임대근의 시시콜콜 중국문화] 중화 요리의 세계: 요리 이름 읽는 법
"금강산도 식후경"이란 말을 중국어로 옮긴다면 '민이식위천(民以食爲天)'이 가장 그럴 듯한 표현이 아닐까 싶다. 역사책 사기에 나오는 이 말은 "백성은 밥으로 하늘을 삼는다"는 뜻이다. 사람에게 먹는 일은 그만큼 중요하다. 일찍부터 먹고 사는 일에 대한 깨달음을 얻었던 중국인은 찬란한 음식 문화를 발전시켜왔다. 중국 음식은 바다 건너 우리에게까지 전해져 많
임대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베이징 시간은 '베이징 시간'이 아니다?
[임대근의 시시콜콜 중국 문화] 베이징은 지금 몇시인가?
중국은 넓다. 조금 넓은 정도가 아니라 꽤 넓다. 세계의 모든 나라 중에서 러시아, 캐나다, 미국에 이어 4위의 면적을 자랑한다. 그마저도 캐나다, 미국과는 근소한 차이일 뿐이고 러시아만 1.8배 정도 크다. 러시아를 제외한 전체 유럽과 맞먹는 크기다. 남북한을 합한 한반도 면적에 비하면 약 43.5배, 남한 면적에 비하면 100배 정도가 크다. 중국 국토
중국 사람에게 '지갑'을 선물하지 마세요!
[임대근의 시시콜콜 중국 문화] 중국인과 관계를 맺는 첫걸음, 선물
중국인과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선물을 주고받는 일도 흔해졌다. 선물은 지역과 국가를 막론하고 인간관계를 맺는데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문화다. 중국도 예부터 선물을 주고받는 일을 중요하게 여겨왔다. 예에 관한 고대 중국의 기록인 예기에는 "예란 오고 가는 것을 중시한다. 한쪽에서 보냈으나 다른 쪽에서 오지 않으면, 예가 아니다"라는 말이 일찍부터 등장했
중국이 <쿵푸 판다> 싫어하는 이유는?
[임대근의 시시콜콜 중국 문화] 잘못 불려진 ‘판다’의 중국어 이름
중국이 선물한 판다 한 쌍이 한국에 도착했다. 아이바오(愛寶)와 러바오(樂寶)라는 예쁜 이름을 가진 암수 한 쌍이다. 판다는 동글동글한 얼굴, 까만 눈자위, 오동통한 몸매, 마치 색깔을 맞춰 옷을 차려입은 듯한 흑백의 조화에다 동작마다 귀여운 아이 같은 모습을 하고 있어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동물이다. 판다는 키가 1.2~1.8미터에 이르고 체중은 80~1
中 오성홍기, 누가 만들었나?
[임대근의 시시콜콜 중국 문화] 국민 통합의 상징, ‘오성홍기’의 역사
중국의 국기는 '오성홍기(五星紅旗)'라고 부른다. 붉은 바탕에 별이 다섯 개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 이름은 국기가 만들어지고 난 한참 뒤에 붙여졌다. 공식적으로 국기가 만들어진 건 1949년, '오성홍기'라는 이름이 붙은 건 1954년 중국 헌법이 처음으로 공포되면서부터다. '오성홍기'는 특이하게도 한 평범한 '인민'에 의해 만들어졌다. 국민당과의 사투
쯔위가 흔든 대만 국기, 누가 만들었나?
[임대근의 시시콜콜 중국 문화] ‘청천백일기’는 어떻게 대만의 국기가 되었나?
흔히 '청천백일기'라고 부르는 대만(타이완) 국기의 공식 명칭은 '청천백일만지홍기(晴天白日滿地紅旗)'이다. 최근 한국에서 활동하는 대만 출신 아이돌 가수 쯔위가 방송 프로그램에서 이 국기를 흔들었다고 해서 문제가 됐다. 정작 본방송에는 전파를 타지 않았음에도 같은 대만 가수 황안(黃安)이 관련 소식을 전하면서 사건이 커지기 시작했다. 크게는 대만과 중국이
중국어의 핵심, 말놀이
[임대근의 시시콜콜 중국 문화] 중국어에 해음이 발달한 까닭
중국의 언어 문화 가운데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가 '해음'을 잘 활용한다는 것이다. '해음'은 비슷하거나 같은 발음을 가진 한자들의 뜻을 서로 교차해서 그 의미를 연상하는 방식이다. 이 때문에 예부터 다양한 길흉화복에 대한 상징이나 금기와 같은 관습이 전해내려 오고 있다. 하지만 이런 관습은 비단 중국어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세상 어떤 언어라도 비슷한 발
“공자님 이사 갑니다”는 무슨 뜻일까?
[임대근의 시시콜콜 중국 문화] 중국어의 언어 유희, 헐후어(歇後語)
중국어에서 해음(諧音) 현상은 일상생활 곳곳에 뿌리내려 있다. 해음이란 완전히 같거나 비슷한 발음을 가진 글자들의 뜻을 서로 바꾸어 연상하는 방법이다. 속담이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다. 중국어에도 우리말처럼 많은 속담들이 있다. 속담은 말을 활용해서 상징이나 은유적 의미를 전달하는 방법이다. 그만큼 해음 현상이 더 깊이 파고 들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박쥐'가 왜 복을 상징할까? 코끼리는 왜?
[임대근의 시시콜콜 중국 문화] ‘해음’으로 푸는 중국 그림 코드
우리나라 옛 가구나 민화를 보면 박쥐 문양이 들어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학이나 봉황 같은 고상한 동물들은 그렇다 해도 왜 하필 박쥐일까? 한자를 즐겨 쓰던 관습에서 비롯된 일이다. '박쥐'는 한자로 '편복(蝙蝠)'으로 적는다. 이 때 '복(蝠)'이 복을 뜻하는 '복(福)'과 발음이 같아서 빚어진 일이다. 예컨대 장수를 나타내는 '수(壽)' 자나 '복(福
"중국 사람은 '6'을 좋아하고 '114'를 싫어합니다"
[임대근의 시시콜콜 중국 문화] 중국인이 싫어하는 숫자들
중국어의 '해음(諧音)' 현상에 따른 문화적 관습은 중국인이 좋아하는 숫자, 싫어하는 숫자에서도 분명히 드러난다. 해음이란 발음이 같거나 비슷한 글자를 일컫는 말이다. 이로 인해 중국인의 수많은 길흉과 금기가 생겨났다. 중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숫자는 널리 알려진 대로 6이다. 6은 중국어로 '리우'라고 읽는데, '순조롭다'는 뜻을 가진 한자 '류(溜)'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