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년 11월 10일 20시 32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협동현상과 떠오름
[최무영의 과학이야기] <9> 과학의 발전과 시대정신 <하>
협동현상과 떠오름 다음으로, 혼돈과 함께 중요하게 인식된 문제로 '협동현상cooperative phenomena'을 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감각기관으로 경험할 수 있는 대상들은 많은 수의 구성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리는 원자나 분자 하나하나를 보지는
최무영 서울대 교수
정보와 엔트로피
[최무영의 과학이야기] <8> 과학의 발전과 시대정신 <중>
유신 시대는 아주 질서정연한 사회였습니다. 말하자면 나찌(Nazis) 정권에서 독일이나 군국주의 시대의 일본에서 볼 수 있듯이 독재 사회나 전제 군주 사회는 질서정연합니다. 그런 사회가 과연 좋은 사회일까요? 그런 사회는 쉽사리 붕괴할 수 있습니다. 유신이 10. 26 사건
고전물리학과 현대물리학
[최무영의 과학이야기] <7> 과학의 발전과 시대정신 <상>
현대 사회에서 과학을 응용해서 얻은 이른바 첨단기술―우스운 용어지만―의 핵심은 대부분 이 둘 중 하나입니다. 여러분이 즐겨 쓰는 휴대전화, 컴퓨터 등 전자기술도 양자역학에서 출발했고, 떠들썩했던 배아복제, 유전자 조작 식품 등 유전공학 기술도 양자역학에 기인한
정상과학과 과학혁명
[최무영의 과학이야기] <6> 과학적 지식 <하>
과학 활동의 성격 그러면 이제 주제를 바꾸어서 '과학 활동'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앞에서도 강조했지만 과학 활동의 주체는 당연히 인간입니다. 이는 의심의 여지없이 그림 5: 에셔, ≪하늘과 물≫ 명백하지요. 그런데 인간은 앞에서도 말했듯이 로빈슨 크루소처
보편 이론체계와 대칭성 깨짐
[최무영의 과학이야기] <5> 과학적 지식 <중>
좋은 이론 일반적으로 어떤 현상을 설명하려고 할 때 여러 가지 이론이 있을 수 있는 겁니다. 그러면 그 중에서 어떤 이론을 선택해야 할까요? 취사선택의 기준은 무엇일까요? 위의 예에서 우리는 왜 지구중심설을 버리고 태양중심설을 택했을까요? 둘 다 현실성에서는 문제
좋은 이론이란?
[최무영의 과학이야기] <4> 과학적 지식 <상>
지난 강의에 우리는 과학적 사고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과학적 사고가 어떤 성격을 가지고 있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 배웠는데 이번 강의에서는 과학적 지식에 대해 생각해 보지요. 지난 강의 마지막에서 과학적 지식의 성격을 논의했는데 여러 가지 다양한 단편적 지식들을
과학적 사고란?
[최무영의 과학이야기] <3> 과학이란 무엇인가 <하>
과학적 사고의 첫째 요소는 기존지식에 대해서 '의식적으로 반성'하는 것입니다. 갈릴레이의 경우에는 무거운 것과 가벼운 것이 같이 떨어진다는 것이 기존지식인데, 이를 다시 성찰한 것이죠. 특정지식과 달리 보편지식에 대해 의식적으로 반성하는 것은 쉬운 일이
과학은 아름답다
[최무영의 과학이야기] <2> 과학이란 무엇인가 <중>
이러한 문화유산의 아름다움에 관련해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앞서 말했듯이 과학이 문화유산의 근간이고, 특히 과학도 아름다움을 추구한다는 사실입니다.과학이라 하면 아름다움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여겨지지만 사실 과학은 상당히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학문입니다. 과학
과학은 물질적 번영을 위한 도구일 뿐인가?
[최무영의 과학이야기 <1>] 과학이란 무엇인가 <상>
연재를 시작하며 현대사회에서 자연과학의 중요성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습니다. 자연과학은 인간 자신을 포함한 전체 우주를 대상으로 연구하면서 "신비로운" 자연 현상의 이해를 추구하는 정신문화이지만, 한편으로는 이른바 "과학기술"의 바탕으로서 에너지, 컴퓨터와 통신 등 전자기술, 병의 진단 및 치료, 유전공학 등 물질문명을 낳았습니다. 물론 이에 따른 부정적
최무영 서울대 교수, 물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