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7월 23일 20시 31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女의사는 男의사보다 25% 적게 번다
[서리풀 연구通] 의사의 성별 임금격차
2년 반 전에도 서리풀연구통에서 의사의 성별 임금격차에 대한 프랑스의 연구 사례를 소개한 적이 있다 (관련기사: ). 오늘 소개할 논문은 미국에서 의사들의 급여가 성별에 따라 초봉부터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 그리고 그 격차가 어떻게 더 벌어지고 지속되며 누적격차는 얼마나 되는지를 심층적으로 보여주는 연구이다 (논문 바로가기 : ). 연구자들은 전체 미
정승민 시민건강연구소 회원
올림픽은 생활체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을까?
[서리풀 연구通] "다양한 인구 구성원이 여러 종목을 하는 것이 미디어에 노출돼야"
지난 8일 '2020' 도쿄올림픽이 막을 내렸다. 시작은 할 수 있을까 싶었고, 코로나19 상황이 이렇게 심각한데 올림픽 개최를 강행하는 것이 맞는 것인지를 비롯한 여러 비판이 있었지만, 막상 시작하니 올림픽 경기를 보며 잠시나마 장기화된 코로나19의 괴로움을 잊고 스포츠 경기의 쾌감을 느낄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동안 올림픽은 엘리트 체육인을 위한 축제
지역 상황에 맞는 코로나19 방역 대책이 필요하다
[서리풀 연구通] 지역별로 민감성 및 회복력 지표 만들어야
최근 코로나19 유행이 점차 심각해지면서, 언론에서 이를 다루는 방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필자가 살고 있는 강원 지역은 열흘 연속으로 거리두기 1.5단계 기준인 1일 10명 이상 확진자가 발생 중이다. 인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확진자가 많은 편이고 의료 여건도 취약하지만 언론의 관심은 주로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다 보니 뉴스를 통해서 우리 지
코로나 경제 위기, 긴축재정은 불평등을 심화한다
[서리풀 연구通]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 정책'이 중요한 이유
코로나 팬데믹 자체도 큰 문제이지만, 포스트 코로나 세계에 발생할 문제들, 특히 경제 충격의 여파가 매우 우려스럽다. 이미 많은 전문가들이 코로나 이후 불평등이 심화될 것이라고 경고를 보냈다.(☞ 관련 기사 : ) 우리는 2008년의 글로벌 금융위기가 사람들에게 미친 영향을 기억하고 있다. 이때의 교훈을 짚어보는 것은 다가올 경제 위기의 영향을 대비하는 데
"방역 당국과 시민의 정치적 동맹이 필요하다"
[서리풀 연구通] 감염병 대유행 상황, '소통 재난' 겪지 않으려면…
요즘 TV에서 가장 자주 보이는 얼굴은 유명 연예인도 아니고, 곧 있을 총선의 주요 인사도 아닌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일 것이다. 정부는 국내 첫 코로나19 환자 발생 시점부터 매일 중앙방역대책본부를 통해 국내 감염 발생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이런 발 빠른 움직임은 지난 2015년 메르스 유행 당시 부적절했던 위기소통으로부터 깨달은 교훈이기도 하다. 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