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언론인들의 일반기업체 사외이사 겸직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일고 있다. 언론계 일각에서는 “윤리강령에도 어긋날 뿐만 아니라 자칫 논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를 금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는 반면, 당사자들은 “개인 사생활을 간섭하는 지나친 선명주의”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전·현직 언론인 사외이사 50여명, 이사회 참석률은 저조**
언론인의 사외이사 겸직 문제는 지난 2000년과 2004년 미디어비평전문지 <미디어오늘>이 모두 두 차례에 걸쳐 이에 대한 문제점을 정면으로 다뤄 언론계의 논란대상이 된 바 있다. 그러나 당시 언론계는 이 문제를 심도 깊게 고민하지 못하고 각사 규정에 따르는 것으로만 결론을 내린 뒤 논쟁을 마무리했다.
한겨레신문은 3일자 1면, 4면에 실은 기사를 통해 이 문제에 다시 불을 지피고 나섰다. 한겨레신문이 한국상장회사협의회·코스닥법인·공사 등에 등록돼 있는 현직 언론인 사외이사 명단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현재 모두 20명의 언론인이 대기업·공사의 사외이사로 활동하고 있었다. 이를 전·현직으로 범위를 확대해 보면 50여명이 사외이사로 등재돼 있었다.
또 한국상장회사협의회가 매년 사외이사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전·현직 언론인 사외이사의 수는 지난 2000년 14명이었던 것이 2004년에는 2.3배가 증가한 32명으로 크게 늘어나 있었다.
현직 언론인 사외이사를 직책별로 구분해 보면 대표이사 사장이 6명으로 가장 많았고, 주요 경영간부는 6명, 주필·논설위원 4명, 편집국장·사회부장·정치부장·광고국장이 각 1명씩이었다. 특히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이사를 맡고 있는 노모 K일보 사장의 경우 지난 2003년 3월부터 의류업체인 신원의 사외이사를 맡고 있었고, 마찬가지로 신문윤리위원인 김모 C일보 광고국장도 아시아나항공의 사외이사로 활동하고 있었다.
한겨레신문은 “현직 언론인을 사외이사로 뽑은 기업들이 대부분 대기업이거나 공사라는 점은 이들 언론사가 이러한 관계 속에서 기업체로부터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에 놓여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더군다나 이들은 기업들로부터 매달 1백만원~3백만원의 활동비를 받고 있지만 기업지배구조개선지원센터가 분석한 지난 2003년도 이사회 참석률을 보면 언론인 사외이사들은 11개 직군 가운데 가장 낮은 평균 67.4%의 참석률을 보이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한겨레신문은 또 이들 언론인들이 대체적으로 경제신문 또는 경제부 출신으로, 관련 기업의 주식을 소유하고 있거나 기업과 관련한 기사·광고 등을 다른 기업과 비교해 지면에 많이 게재하고 있다는 점을 문제삼았다.
20명의 현직 언론인 사외이사 가운데 10명은 경제신문 또는 경제부 출신이었으며, 민모 H경제 주필은 자신이 사외이사로 있는 중소기업은행의 주식 8백47주를 갖고 있었고, 지역의 K일보 백모 사장과 민모 D일보 상임감사 등은 각각 사외이사로 있는 관련기업의 결산·주주총회 등의 각종 공고를 자사 지면에 싣고 있었다. 이밖에 J신문은 박모 사장이 사외이사로 있는 KT와 관련한 기사를 동종지인 <디지털타임스>에 비해 3배 정도 많이 지면에 실었다.
***“윈-윈 전략” VS “언론 비판·감시기능 저해”**
한겨레신문의 이번 보도에 대해 관련 당사자들과 기업들은 한결같이 “사회현상을 객관적으로 살피는 언론인의 전문성을 높이 샀기 때문”이라고 강변했다.
사외이사인 한 언론사 관계자는 3일 오전 <프레시안>과의 전화통화에서 “기업들은 언론인을 사외이사로 기용할 경우 보다 폭넓은 외부 비판을 수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살릴 수 있고, 기자 또한 기업들의 내밀한 얘기를 들을 수 있어 서로간에 ‘윈-윈 전략’적인 측면이 강하다”며 “이미 회사에 보고를 하고 공식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문제 삼는 것은 지나친 편견”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다른 언론사 중견기자는 “개인 생각과는 무관하게 불필요한 오해를 살 소지가 높고, 비판·감시기능을 가진 언론계 전체에도 득이 되지 않는 만큼 윤리강령 등을 세밀하게 손질해서라도 이를 막아야 한다”며 “윤리강령의 경우 이미 각 사 자율에 맡기는 것은 무의미하다는 결론이 난 만큼 언론노조·기자협회 등 대표적인 언론 현업단체들이 토론회 등을 통해 의견을 수렴한 뒤 언론계 전체에 준용되는 윤리강령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언론사 가운데 구성원들의 외부활동까지 규정하는 구체적인 윤리강령과 실천요강을 마련해 놓고 있는 곳은 한겨레신문과 KBS EBS 등에 그치고 있다.
한겨레신문은 “우리는 정부기관 등 외부기관의 사업 및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외부기관의 사업 및 활동에 참여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는 윤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고 돼 있다. KBS는 “방송업무와 관련해 이해가 상충될 수 있는 사회활동이나 영리행위에는 관여하지 않는다”고 못박았고, EBS는 “어떠한 경우에도 외부기관에 정규, 비정규적으로 고용돼 대가를 받고 용역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명시해 놓고 있다.
***<현직 언론인 사외이사 명단>**
이름 및 소속 현재 직책 해당 회사 선임일
김○○, C일보 광고국장 아시아나항공 2003. 3. 21
박○○, J신문 사장 케이티 2004. 3. 12
이○○, D일보 논설위원 대유디엠씨 2003. 12. 3
정○○, D닷컴 사장 금호산업 2004. 3.
민○○, D일보 감사 경방 2003. 2.
노○○, J일보 논설위원 우리금융지주 2004. 3.
고○○, K신문 미디어전략연구소장 한국도로공사 2002. 3.
최○○, M일보 사회부장 프레스코 2003. 3.
노○○, K일보 사장 신원 2004. 3.
정○○, S일보 편집국장 한국토지공사 2002. 3.
조○○, S일보 정치부장 한국석유공사 2003. 3.
백○○, K일보(지) 사장 금호종합금융 2003. 6.
민○○, H경제 주필 중소기업은행 2002. 3.
홍○○, M신문 사장 코리안리재보험 2003. 6.
박○○, S경제 논설위원 하이닉스반도체 2004. 3.
이○○, 월간K 사장 한국수자원공사 2004. 7.
박○○, YH 감사 현대산업․한국제지 2003. 3.
김○○, KD일보(지) 상무 대한석탄공사 2004. 7.
김○○, Y방송 상근감사 대우건설 2004. 3.
김○○, DTV 전문위원 동양화재 2004. 6.
**자료출처 :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지)는 지역의 준말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