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경인방송 “내일 고별방송”, 구성원들 “그럴 순 없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경인방송 “내일 고별방송”, 구성원들 “그럴 순 없다”

여야의원·인천시의회 의장단 “전파송출 중단 안될 일” 성명

경인방송(iTV) 회사측이 오는 31일 오전 11시 30분 고별방송을 끝으로 정파에 들어간다고 밝히자 구성원들을 비롯한 인천지역 시민단체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이번 움직임에는 여야 의원 56명과 인천지역 기초의회 의장단 등도 가세하고 있어 주목된다.

***“씻긴 물과 함께 아이까지 버리려 하나”**

경인방송 회사측은 29일 오후 각 언론사에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31일 오전 11시 10분부터 20분 동안 녹화된 고별방송 프로그램을 송출한 뒤 정파에 들어갈 예정”이라며 “해당 프로그램은 방송위의 결정 소개, 시청자 인터뷰, 경인방송 7년 발자취, 현 사태 요약, 박광순 대표이사 직무대행의 고별사 등으로 진행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구성원들은 “사업자에 대한 퇴출 결정이 정파로 이어져서는 안된다”며 회사측의 일방적인 고별방송 송출을 강력 비난하고 나섰다. 이번에는 여야 의원들과 인천지역 기초의회 의장단도 구성원들과 같은 목소리를 냈다.

열린우리당, 한나라당, 민주노동당, 민주당, 자민련 등 모두 56명의 여야의원들은 29일 오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우리는 방송위의 결정이 경인방송 지배주주인 동양제철화학이 국민의 재산인 방송사를 운영할 만한 비전과 능력을 갖추지 못했다는 우리 사회의 엄중한 심판이라고 평가한다”며 “그로 인해 경인방송의 전파송출 중단과 나아가 1천3백만명에 이르는 경인지역 시청자들의 볼 권리 박탈로 이어져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여야의원들은 또 “현행 방송법은 재허가 추천 거부 이후에 대한 처리 절차와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지만 방송위와 정통부, 문광부 등 관련 부처가 신속하게 제도를 보완하고 문제해결에 나선다면 경인방송은 진정 시청자를 위한 방송사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라며 “관계부처가 ‘씻긴 아이를 목욕물과 더불어 내버리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인천지역 기초의회 의장단도 경인방송의 전파송출 중단만은 막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의장단은 29일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방송위는 대주주의 투자의지 결여 등 재무건전성의 불확실성을 이유로 재허가 추천을 거부했지만 결국 제도적 미비로 인해 지역민들만 엄청난 피해를 입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며 △방송위, 문광부, 정통부, 경인방송 법인 등은 지역민들의 시청권 박탈을 막아야 하며 △방송위와 관계당국은 신규채널 사업자 선정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조속히 발표하고 최단기간 안에 건전한 새 사업자를 선정해야 하고 △동양제철화학은 방송장비 등 방송관련 모든 자산을 신규 사업자에게 매각해 신속하게 방송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구성원에 희생 강요하면 더 큰 재앙 불러들이는 꼴”**

한편 경인방송노조와 인천지역 시민단체, 한국언론정보학회, 양대 노총, 언론 현업·시민단체 등은 29일 오후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긴급 토론회를 갖고 경인방송의 진로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양문석 전국언론노조 정책위원은 “지배주주의 부도덕성과 무능력으로 인해 구성원들이 일방적으로 희생을 당해야 한다면 내부 구성원들은 앞으로 지배주주의 전횡이나 독선 또는 무능력, 방송사유화에 대해 아예 입을 다물어야 할지도 모른다”며 “이는 재허가 절차의 필요성을 언급한 방송법 정신에도 부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방송위의 보신주의적 유권해석이라는 비판도 피해 갈 수 없을 것”이라고 성토했다.

원용진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경인방송이 이 지경에까지 이른 것은 궁극적으로 같은 민영방송사인 SBS에게 과잉 권리를 주어 네트워크를 넓히도록 한 것에서 기인한다”며 “현 시점에서 경인방송은 지역성을 살리는 가운데 외주전문채널로 변환하는 방안을 심도 깊게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김승수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시민참여-개방형 민영방송’이라는 새로운 지역방송 모형을 제시하기도 했다. 김 교수는 “노무현 정부의 정책이념이 국민 참여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지역 시청자, 방송종사자, 기업, 외주제작사 등이 방송사 지분에 고루 참여해 편성의 50%는 자체제작으로 충당하며 지역정보와 지역문화를 활성화하고, 나머지 50%는 외주제작사에 맡김으로써 프로그램 제작시장의 다변화를 꾀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마디로 말해 새로 태어날 경인방송은 지역 시민중심의 방송이 될 때 비로소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김평호 단국대 언론영상학부 교수는 “교육계에 관선이사제도가 있듯이 방송에도 임시 방송이사회를 구성해 방송중단만은 막야 한다”고 밝혔고, 박길상 ‘평화와 참여로 가는 인천연대’ 사무처장은 “현행 방송법을 어겨 감옥에 가고 벌금을 내는 한이 있더라도 정파만은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