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김재철 쫓겨난 MBC, 박근혜 시대엔 어디로?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김재철 쫓겨난 MBC, 박근혜 시대엔 어디로?

[창비주간논평] 김재철 퇴임 이후 MBC와 박근혜 시대의 방송 정책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가 <MBC> 사장 김재철 씨를 지난 3월 26일 해임 의결했다. 지난해 3월부터 11월까지 세 차례 부결되고 나서 네 번째 만에, 그것도 찬반 5 대 4로 가까스로 결정이 났다.
그는 '피디수첩' 불방 결정을 비롯해 각종 시사 프로그램을 없애고, 7억여 원에 이르는 법인카드 유용 혐의를 비롯한 숱한 비리 의혹의 주범이었다. 네 차례에 걸친 구성원들의 파업이 있었고, 11명이 해고되고 200여 명이 징계를 받았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부럽지 않은 전권을 지녔던 그는 이렇듯 현대판 분서갱유를 <MBC> 안에서 서슴없이 자행했다. 그 결과는 참혹하다. 한 시사 주간지의 여론조사가 보여주듯이, 그의 재임기에 <MBC> 신뢰도는 2010년 18.0%에서 2012년 6.1%로, 가장 신뢰하는 프로그램으로 '뉴스데스크'를 꼽는 비율은 같은 기간 동안 11.8%에서 2.3%로 곤두박질쳤다.

<MBC> 정상화의 험로와 공영 방송 구조

그런 그에게 <MBC> 역사상 첫 해임된 사장이라는 극적인 불명예와 오명을 임기 만료 9일 전에 안겨줬으니 대다수 <MBC> 구성원들의 기쁨이 얼마나 클지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 '사필귀정'으로 다가오는 게 무리가 아니다. 게다가, 해임 의결 직후, 김 씨가 부당 전보한 65명이 지난 2일자로 원직에 복귀하면서, <MBC> 정상화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기까지 하다.

하지만 정상화의 길은 험난하고 험난하다. 게다가 단순하지 않다. 무엇보다, '김재철의 서울 <MBC>'와 '어정쩡한 공영 방송 서울 <MBC>'를 구분하고, 전자의 폐해를 극복함과 동시에 후자의 어정쩡함을 보수하는 제도화를 함께 모색해야 하기에 그렇다. 어정쩡한 공영 방송 거버넌스 구조를 뜯어고칠 필요성은 김씨가 쫓겨나면서 극명하게 보여줬다. 그는 물러날 때까지도 서울 <MBC>가 놓인 어정쩡한 공영 방송 구조를 십분 활용했다. 방문진의 해임 의결 하루 뒤인 3월 27일 사표를 내고 퇴직금 3억여 원을 일시불로 받아간 것이다. 본인의 귀책사유로 해임이 확실시되는 상황에서 이런 '먹튀' 행각을 할 수 있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문제는 이런 황당한 사태가 어정쩡한 공영 방송 구조에 내포돼 있다는 데 있다. 방문진은 최대 주주일 뿐 정수장학회를 포함한 전체 주주의 해임 결정이 있어야 한다든지, 대표이사직 사임과 주주총회에서 이사직 해임은 별개의 문제라는 식의 법률적 다툼을 말하는 게 아니다. 얼마가 됐든 시청자의 수신료 일부라도 받는 공영 방송이었다면, 본인의 귀책사유로 해임이 의결된 자에게 퇴직금을 지급하는 행태는 경영 원리 차원에서 상상할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 김재철 전 <MBC> 사장 ⓒ뉴시스

간단치 않은 제작 자율성 확보

김 씨 이전의 서울 <MBC> 거버넌스의 실체는 전문가주의에 기초한 '내부자 통제 모델'이라 부를 수 있다. 이것의 장점은 자유로운 의견 교환과 제작 자율성 등으로 거론돼왔다. 김재철 씨가 도입한 '시용(試用) 기자'는 내부자 통제 모델의 근간이던 전문가주의를 뿌리부터 부정한 것에 해당한다. 이런 상황에서 옛 거버넌스를 그대로 복원하려는 시도는 낭만적인 꿈에 해당한다.

반면교사는 <KBS>의 거버넌스 모델이다. 대의제 규제 형식을 갖춘 최고의사결정기관인 이사회에 내부 구성원의 전문가주의가 결합하는 방식이다. 김씨 이전의 서울 <MBC>에서 대의제 규제 형식은 부재하다. 방문진은 <KBS> 이사회의 위상을 지니고 있다고 보기 어렵고 권한과 기능도 그렇다. 얼마가 됐든 수신료를 방송 재원의 일부분으로 삼는 거버넌스 구축 노력이 안팎의 호응을 더 얻을 수 있을 것이란 얘기다.

'김재철의 서울 <MBC>'를 극복하는 일은, 결국 경영진이 제작 자율성을 보호해주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여러 제도적 장치를 확보하고 채워내는 것이다. 하지만 상황은 간단치 않다. 박근혜 정부는 이명박 정부가 깔아놓은 방송 장악과 미디어 통제라는 토양에서 태어났기 때문이다. 그 달콤한(?) 매력은 이미 대선 과정에서 충분히 발산됐다. 이는 박근혜 정부의 방송과 미디어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정책의 전체적 방향이 '현상 유지·관리'로 흐를 수밖에 없는 태생적 배경을 이룬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방송 장악 없다는 약속을 믿을 수 있나

"방송 장악할 의도가 없음을 약속할 수 있다"는 대통령의 말은 행동으로 뒷받침돼야 한다. 하지만 글렀다. 오히려 이명박 정부를 그대로 이어받고 있다. 박근혜 선거 캠프에 참여한 친박계 중진이자 4선 의원 출신으로 새누리당 당적을 잠깐 내려놓은 이경재 씨를 방송통신위원장에 지명한 것이다. 미래창조과학부에 업무의 3분의 2를 넘겨주고 방송 광고 정책 정도만을 온전히 맡는 정도로 방통위가 축소됐음을 감안하면, 훨씬 더 노골적인 의지의 표현이라 할 만하다. 100% 인수위원회 방안대로 미래창조과학부가 출범하지 못하는 데 대한 '보복 심리'마저 느껴진다. '제2의 최시중' 지명이라 분석되는 이유다.

공보처 차관으로 케이블 방송 도입을 주도했느니 하는 지명 근거는 부차적이다. 핵심은, 그의 지명을 통해 보도 여론에 진출할 수 있는 대기업 기준을 폐지하고 족벌 신문 자본들이 '종편'이라는 이름으로 보도 여론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한 2009년 언론 관계법 날치기 처리에 면죄부를 줬다는 데 있다. 이 씨는 당시 날치기 처리를 주도했던 인물의 하나다.

박근혜 정부 아래에서는 날치기 미디어법이 내포한 또 한 가지 방향이 전면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명박 정부가 종편에 '올인' 하고 그 뒤치다꺼리를 하느라 미처 관심을 쏟지 못했던 방향이다. 바로, '올아피(All-IP, 음성·데이터·멀티미디어 등 모든 서비스가 인터넷 기반으로 제공됨) 환경에서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의 진흥'이라는 이름 아래 거대 사업자에 의한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시장의 재편이다. 교육이나 의료 분야에서 거대 통신 사업자와 수도권 병원이나 학원 등이 손잡고 지역을 상대로 인터넷을 통해 원격 의료 서비스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리 활동도 본격 추진될 것이다. 이를 위한 준비는, 이미 2012년 10월 MB 정부 때 '기가코리아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마련돼 있다.

장악된 방송 상황을 유지·관리하는 채찍과 당근의 병행, 거대 사업자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지형 재편을 위한 규제 완화, 불행하게도 김재철 씨의 해임(?)은 바로 이런 흐름 속에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