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모든 사회복지사에게 이 교육을 의무화하자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모든 사회복지사에게 이 교육을 의무화하자

[내가 만드는 복지국가] 사회복지사, 자격증 넘어 전문가로 거듭나야

얼마 전 기업에서 일하는 친구가 답답해 하며 내게 이런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요즘 신규 직원들 말이야. 취직할 때 이미 일할 준비가 됐어야 하는 거 아니야? 취직을 해서 일을 배운다니, 그게 말이 돼? 일을 가르쳐주려고 채용한 게 아니라,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을 채용한 건데, 미리 실력을 담보하고 들어왔어야지! 전문가를 뽑은 건데!" 이 말을 듣고 사회복지사인 나는 적잖이 놀랐다.

'아니 어떻게 취직하면서부터 일을 다 알고 처리한단 말인가. 물론 사회복지사에게는 실습이라는 제도가 있지만, 몸담는 조직에 따라 저마다의 실천 방법이 다르니 실습으로 모든 걸 배울 수는 없지 않은가. 그리고 대부분은 기관에 취직을 하면서 일을 하나씩 배워 나가는데, 처음부터 전문가라고 생각하고 뽑았다니 일반 기업은 다 그런가. 영리와 비영리의 차이인가. 우리는 그래도 보수 교육도 있고, 슈퍼비전이란 것도 있는데'라며 나도 모르게 변명의 생각들을 나열하고 있었다.

사회복지사, 자격증만 있으면 전문가인가?

친구와 헤어지고 오는 길에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에 대한 생각이 맴돌았다. 나는 사회복지사협회에서 근무하면서도 늘 '나는 전문가이고, 사회복지사협회는 전문가집단'이라고 생각해왔다. 어쩌다 누굴 만나더라도 사회복지사라는 직업에 대해 자부심 있게 이야기했고, "좋은 일을 하시네요. 그거 봉사 아니에요?"라는 사람을 만날 때마다 사회복지사 자격 취득 과정과 활동 분야, 우리 사회에서의 사회복지사 역할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가끔은 목에 핏대를 세우기도 했었다.

사회복지사가 전문직이라는 데 추호도 의심하지 않지만, 친구와 대화를 나누고 나서 조금 냉정하게 다시 생각해봤다. 사회복지 현장에서 신규 직원을 채용할 때 처음부터 '전문가' 라는 인식으로 채용하고 있나? 도대체 전문성은 어떻게 정의해야 할까? 자격증만 있으면 다 전문가인가? 경력만 있으면 전문가인가? 등 말이다.

오늘날 다양한 경로로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발급되고 있다. 자격증을 발급받은 사회복지사들은 과연 그 과정에서 충분히 교육받았다고 할 수 있을까? 예를 들어 과연 4년제 대학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했으면 바로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전문성을 담보하여 활동할 수 있을까?

이런 질문은 결코 4년제 대학과정을 폄훼하려는 것이 아니다. 핵심은 과연 그것(4년제 대학과정뿐만 아니라 자격증 발급을 받을 수 있는 모든 과정)으로 충분하겠냐는 것이다. 변해가는 사회복지현장 그 흐름 속에서, 자격증을 취득하는 과정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들만으로 지속적으로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잘 해나갈 수 있겠냐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사회복지사가 전문가라는 인식이 차고 넘쳐 논쟁의 거리가 되지 않을 수준이 되려면 과연 어떤 시스템을 뒷받침해야 할까? 사회복지사 자격을 취득하고 유지하는 구조를 건드리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현재 시행하는 보수 교육 제도를 십분 활용할 수 있지 않을까?

사회복지사 보수 교육을 아시나요?

현재 사회복지법인 또는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는 1년에 8시간씩 법정 보수 교육을 받는다. 보수 교육 실시기관 운영 규정을 보면, 보수 교육은 "다양한 사회적 욕구와 문제에 시의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해 사회복지사 직무 능력 유지 및 향상을 도모하고, 나아가 수준 높은 서비스 제공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적혀 있다.

그럼, 모든 사회복지사가 보수 교육을 받아야 할까? 그렇지 않다. 사회복지 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는 보수 교육 의무 대상이지만, 이 외의 사회복지사는 의무 대상이 아니다. 사회복지법인 또는 사회복지 시설 유형이 아닌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와 현장에서 활동하지 않고 자격증만 보유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는 보수 교육을 받지 않아도 된다. 보수 교육 의무 대상자가 아닌 경우에 보수교육 수강을 희망하면, 소속기관에서 보수교육센터에 교육 대상자로 등록을 시켜야만 보수 교육을 신청할 수 있는데, 소속기관이 없는 경우(자격증만 보유한 사회복지사)에는 보수 교육을 받고 싶어도 신청조차 할 수 없다.

사회복지법인이나 시설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에게만 보수 교육이 의무 사항인 것은 사회복지사 자격에 대한 유지와 전문성 향상에서 어불성설이다. 보수 교육은 사회복지사들이 인간의 존엄성과 사회정의라는 두 가치를 실현해내는 전문가로서 스스로를 끊임 없이 인식할 수 있도록 모든 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지자를 대상으로 실시해야 한다.

가끔 내가 직업이 사회복지사라고 소개를 하면 본인도 자격증은 있다고 표현하는 사회복지사들을 만난다. 하지만 현장의 이야기를 해보면 공통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부분이 별로 없다. 이는 사회복지사 자격증은 있지만, 실제로 사회복지사로서 어떤 가치를 가져야 하는지, 어떤 일을 하는지 구체적으로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언제라도 사회복지사로 근무할 수 있는 기회가 있는 이들에게도 주기적으로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가진 의미와 역할에 대해 되새기고, 사회복지 이슈와 정보에 대해 접할 수 있도록 보수 교육을 실시해야 하는 이유이다. 자동차 운전면허도 갱신 제도가 있는데, 사회복지사 자격은 한 번 취득해놓으면 끝이라는 인식은 이제 그만 없어졌으면 좋겠다.

앞으로 보수 교육은 대상에 따라 진행 방식이나 주기 등을 개선해야 한다. 각기 다른 상황에 놓인 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지자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지금까지 진행하지 않았던 것을 의무적으로 하도록 할 경우 다소 저항도 뒤따를 수 있다. 보수 교육이 사회복지사 전문성을 담보하기 위한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유지와 향상을 위해 어떤 도구가 가장 적절하겠느냐고 묻는다면 나는 교육이 최선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을 주기적으로 지속적으로 했을 때는 더욱 더 말이다.

더 체계적이고 맞춤형 보수 교육으로

보수 교육 대상뿐 아니라, 교육 체계도 새로 디자인해야 한다. 일단, 물리적으로는 공무원과 같이 사회복지사들도 교육받을 수 있는 전용 공간을 마련했으면 좋겠다. 당장 실현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한국사회복지사협회를 비롯한 지방협회에서 각 지자체에 끊임없이 요구해보면 어떨까? 어느 한 지역이 마련하면 그것을 모델로 전국적으로 하나씩 만들어 나갈 수 있다. 실제로 올해 제주도에서 개최된 전국 사회복지사 전진대회에서 원희룡 도지사는 이런 전용 공간을 마련해보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바 있다. 그렇다면 제주를 시작으로 좋지 아니한가.

교육 과정에서는 기본 보수 교육 외에 직급이나 직무에 따른 필수 교육을 강화했으면 한다. 지금까지는 신입 사회복지사, 중간 관리자, 최고 관리자 과정 등 직급에 따른 교육을 필수적으로 이수하는 시스템이 아니다. 성장 과정에 따라 필요한 교육을 제때에 이수할 수 있다면 분명히 실용적인 교육이 될 것이며 개인과 기관에도 큰 효과와 효율을 가져다줄 것이다.

또한, 직무와 관련해서 다양한 교육들이 많이 생겨났지만, 이 또한 필수적인 과정은 아니다 보니, 교육 참여를 독려하고 기회를 많이 제공하는 기관과 그렇지 않는 기관 간에는 현격한 차이가 있다. 만약 직무에 대한 필수 교육을 하면 사회복지사들에게 주어지는 교육의 기회가 전보다는 공평해질 것이다.

커리큘럼도 가치, 지식, 기술이라는 범주를 잘 배합하되, 각각의 전문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구성했으면 좋겠다. 사회복지사가 주어진 업무를 충실히 이행하면서도 사회복지의 가치에 대해 꾸준히 되새기고 성찰해내는 능력을 키워낼 수 있도록 말이다. 또한, 현장의 패러다임을 읽어낼 수 있도록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실천 기술을 익힐 교육을 마련해야 한다. 물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보수 교육에서 이러한 부분을 간과하고 있다는 것은 아니다. 그저 골고루 다양한 영양소를 섭취한 사람이 균형 있게 성장하는 것처럼 보수 교육의 커리큘럼도 더욱 면밀히 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다.

보수 교육 강화를 통한 사회복지사 전문성 담보

현재 사회복지사의 재교육의 핵심에 보수 교육이 있다. 요컨대, 보수 교육의 대상을 확대하고 맞춤형 시스템으로 개혁해, 보수 교육 시스템 하나만을 보아도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그대로 드러날 수 있도록 잘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그래야 사회복지사 자격증 지닌 '소지자'가 아니라 '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회복지사들이 전문성을 기반으로 우리나라가 복지국가로 나아가는 길에 주역이 되기를 기대한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내가 만드는 복지국가

<내가 만드는 복지국가>는 시민들이 복지국가 만들기에 직접 나서는, '아래로부터의 복지 주체 형성'을 목표로 2012년에 발족한 시민단체입니다. 건강보험 하나로, 사회복지세 도입, 기초연금 강화, 부양의무제 폐지, 지역 복지공동체 형성, 복지국가 촛불 등 여러 활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내가 만드는 복지국가> 칼럼은 열린 시각에서 다양하고 생산적인 복지 논의를 지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