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특검(특별검사 조은석)이 내란선전·선동 혐의와 관련 황교안 전 국무총리 주거지에 대한 2차 압수수색을 시도했지만 불발했다.
박지영 내란특검 특검보는 31일 정례브리핑에서 "황 전 총리에 대한 압수수색을 재시도했다"며 "문을 열어주지 않고 집행을 거부해 8시 40분경 철수했다"고 밝혔다.
이어 "(황 전 총리) 변호인이 여전히 선임되지 않았고" 황 전 총리에게 "전화를 걸면 끊어버리는 상황"이었다며 "여러 현장상황 등을 고려해 오전에 철수했다"고 했다.
박 특검보는 "오늘이 영장 집행 유효기간 마지막 날이어서 오전에 재시도했다"고 이날 2차 압수수색을 시도한 이유를 설명했다.
이번 압수수색 시도는 황 전 총리는 지난해 12월 4일 페이스북에 "우원식 국회의장을 체포하라. 대통령 조치를 정면으로 방해하는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도 체포하라"고 쓴 데 대한 수사의 일환이었다.
박 특검보는 전날 오전 9시 58분경 시작된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 소환조사가 이날 오전 9시 10분경까지 밤새 진행된 이유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추 의원은 당 원내대표였던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선포 당시 의원총회 장소를 바꿔 자당 의원의 계엄 해제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혹과 관련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를 받는다.
추 전 의원 조사 과정에 대해 박 특검보는 "점심시간과 조사 중간중간 휴식시간이 있었다"며 전날 오후 10시 10분경 시작된 조서 열람에만 "10시간 35분 가량 소요됐다"고 밝혔다.
조서 열람이 길어진 이유를 묻는 말에 그는 "특별히 조서 열람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던 건 아닌 걸로 안다"면서도 "(추 전 의원이) 많이 가필하셨고, 그 부분에 대해 저희도 이건 말씀 안 한 부분이니 가필해선 안 된다고 했지만 그래도 하겠다고 하셔서 쓰는 방식"으로 진행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박 특검보는 조사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조사 범위와 내용에 대해서는 확인드리기 어렵다"며 "범죄 전후 상황", "범행 당시 인식" 등까지 "다 조사됐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박 특검보는 추 전 의원 추가 소환 계획을 묻는 말에는 "현 단계에서 수사팀이 보기에는 추가 소환 계획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