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정읍 제3산업단지에서 유해화학물질 유출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주민 안전과 환경 오염 우려가 커지고 있다.
8월 9일 SK넥실리스 공장에서 옥외 탱크 배관 균열로 황산 40ℓ가 유출됐다. 불과 엿새 전인 3일에도 인근 한국바이오에너지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황산 4t이 새어나왔다. 지난해 12월에는 같은 산단 내 에코파크에서 염산 10t이 누출돼 이 가운데 4t이 하천으로 흘러들었다.
사고 물질인 황산은 인체에 치명적 손상을 주고 토양·수생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는 대표적 유해화학물질이다. 저장시설 파손이나 설비 결함, 화재로 인한 유출은 2차 피해로 번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환경단체에 따르면 3일 발생한 한국바이오에너지 사고의 경우 환경부 허가조차 받지 않은 불법 공장이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다가 발생했고 정읍시 공무원이 화재 현장에서 황산 탱크를 발견한 뒤에야 환경부에 신고했으며 관계기관은 해당 공장이 유해화학물질 취급 시설인지조차 몰랐다는 점이 충격을 주고 있다.
이와 관련해 전북환경운동연합 등 20여 개 시민사회단체는 18일 전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하고 무허가 공장 운영 사업주를 처벌하라”며 “정읍 제3산단 전 공장에 대한 전수조사와 불법 시설 차단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또한 이들은 정읍시 ‘화학물질안전관리위원회’의 실질적 운영과 전북자치도의 ‘화학사고대응 지역협의체’ 조속한 구성을 촉구했다.
전북지방환경청은 "관련 사업장에 공문을 보내 안전관리를 당부했으며 연중 점검을 통해 노후 시설과 무허가 운영 여부를 중점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