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최태호의 우리말 바로 알기] ‘추석’보다는 ‘한가위’가 어때요?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최태호의 우리말 바로 알기] ‘추석’보다는 ‘한가위’가 어때요?

한가위의 유래

<삼국사기(三國史記)> 신라 유리왕 9년 조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왕이 6부를 나누어 둘로 정하고, 왕녀(공주) 2인으로 하여금 각각 부녀자들을 이끌어, 7월 16일부터 8월 15일까지 길쌈대회를 연다. 매일 이른 아침부터 늦은 저녁까지 큰 집(제일 큰 부의 큰 집 마당)에 모여 길쌈을 하고, 8월 15일에 누가(어느 편이) 많이 짰는가를 보고 승부를 결정한다. 진 편에서 이긴 편을 대접하고, 이때에 ‘회소회소’하는 노래를 부른다. 이날을 ‘가배(嘉排)’라고 하였다.”고 하였다. 이 ‘가배’라는 말이 한가위의 어원(語源)이다. 당시에 우리 글자가 없어서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였기 때문에 ‘가배(가운데)’라는 말을 그렇게 표기했을 뿐이다. 그러므로 ‘한가위’란 위에 예로 든 유리왕 때의 행사를 조금 더 확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지금도 경주를 중심으로 한 영남지역에서는 ‘가운데’를 ‘가분데’라고 하며, ‘가윗날’을 ‘가붓날’이라고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가배’가 변하여 ‘가부·가뷔(가+순경음 ㅂ+위)’가 변해 ‘가위’가 됐고, ‘하나’ ‘크다’ 등의 뜻을 가진 접두사 ‘한’과 결합해 ‘한가위’가 되었다. 즉 ‘가위’에 ‘크다’는 의미의 ‘한’을 앞에 더한 것으로 ‘큰 가운데(연중 한 가운데로, 달도 크고, 오곡도 풍족하여)’라는 뜻으로 쓰인 것이다.

옛말에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옷은 시집올 때처럼, 음식은 한가위처럼”이라는 말이 있다. 그만큼 풍족하고 행복했다는 말이다. 햇곡식이 나고, 놀이문화도 발달하였고, 모든 것이 만족할 만한 때라는 말이다. 이러한 한가위를 ‘추석(秋夕)’이라고도 하며, ‘중추절(仲秋節)’이라고도 한다. 각각의 의미를 살펴보고 추석의 놀이에 관해 알아보자.

추석과 중추절

추석(秋夕)이라는 말은 글자 그대로 ‘가을 저녁’이라는 말이다. 아마도 가을 저녁 중에서 가장 크고 아름다운 달이 뜨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즉 한자어가 많이 쓰이면서 ‘한가위’라는 말 대신에 쓰기 시작한 것이다. 중추(仲秋)·추중(秋仲), 칠석(七夕)·월석(月夕)과 같은 말들이 많이 쓰이다 보니 ‘추석’, ‘중추절’이라는 용어가 대중화된 것으로 본다.

한편 중추절(仲秋節)은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도 한다. ‘8월의 아름다운 절기’라는 말로 ‘한가위’보다는 한참 후대에 만들어진 말이다. 중국인이 이런 식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을 흉내내어 이르는 말일 뿐이다. 중추(仲秋)란 ‘음력 8월’을 한자어로 이르는 말이다. 즉 7월은 맹추(孟秋), 8월은 중추(仲秋), 9월은 계추(季秋)라고 이르는 것에서 유래하였다. 중추절(仲秋節)이란 8월의 절기라는 의미다. 그러므로 추석이나 중추절, 혹은 중추가절(仲秋佳節)보다는 신라 유리왕 때부터 유래한 ‘한가위’라고 부르는 것이 옳다고 본다. 다만 언중(言衆)들이 한가위보다는 추석에 익숙한 까닭으로 단번에 바꾸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본다.

현대 사회는 언론의 힘이 제3의 권력으로 자리잡고 있다. 방송이나 SNS 등에서 한가위로 보를 것을 모두 주장하고, 공통적으로 사용한다면 어려울 것도 없다. 유행어는 하루 아침에 온나라에 퍼지고 있지 않은가?

한가위 아침이면 각종 놀이가 TV 화면을 장식한다. 강강술래, 씨름, 줄다리기, 널뛰기, 소싸움 등으로 하루 종일 즐긴다. 송편 만들기도 빠질 수 없다. 송편은 반달 모양으로 앞으로 발전하여 보름달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한다. 각종 행사나 놀이 등이 모두 의미를 담고 있다.

말 그대로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만 같았으면 좋겠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