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코로나 이전으로? 우리는 돌아가지 않겠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코로나 이전으로? 우리는 돌아가지 않겠다"

[포토스케치]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에서 만난 사람들

국내 코로나19 사망자의 약 20%는 장애인이다. 한국의 장애인 비율이 5%인 점을 볼 때 사망률이 매우 높다. 시설 격리와 코호트 격리가 주된 요인이다. 감염자가 발생하면 시설 전체를 봉쇄하는 코호트 격리가 이뤄지기 때문에 피해가 집중된다 . 집단 격리의 취약성이 드러났지만 상황은 달라진 것이 없다. 집단 수용의 대안이 준비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코로나와 같은 재난이 온다면 이들이 또다시 최대 피해자가 된다는 얘기다. 모두가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말하는 이때 "우리는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가지 않겠다"고 말하는 이유다.

"돌아가지 않겠다"는 선언은 자연스레 '탈시설'로 이어진다. 코로나 쇼크 외에도 열악한 환경과 반인권적 실태가 끊임없이 드러나는 상황에서 장애인이 시설에서 지역사회로 나올 수 있도록 국가와 사회가 자립을 지원해야 한다는 요구는 꾸준히 있었다. 그러니까 "돌아가지 않겠다"는 말은 "시설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말이기도 하다. 작지만 탈시설은 조금씩 흐름을 만들고 있다.

이동권은 장애인 최대의 화두다. 몇몇 대도시를 제외하면 교통약자를 위한 대중교통 체계는 심각하게 미비하다. 지방으로 갈수록 더하다. 강원도의 경우 태백시 등 12개 시·군에 저상버스는 한 대도 없다. 법령 대수가 있지만, 관련법에 의무조항이 없기 때문에 도입과 확충이 더디다. 자유롭게 이동할 권리를 위한 싸움은 2001년 오이도역 장애인 리프트 사망 사건 이후 지금까지 격렬하게 이어졌다. 다시, 이들에게 "돌아가지 않겠다"는 말은 "가까운 길을 두고 먼 길로 돌아가지 않겠다"는 말이기도 하다.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가 "돌아가지 않겠다"를 슬로건으로 내 걸고 지난 13일 개막했다. 선정작 9편과 해외작 2편을 비롯해 총 15편의 영화가 15일까지 서울 마로니에 공원에서 상영된다. 의지와 메시지가 선명했던 영화제의 첫날 풍경을 사진에 담았다.

▲ "1919193B20, 돌아가지 않겠다"는 제19회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의 슬로건이다. 13일부터 15일까지 서울 마로니에 공원에서 열린다. ⓒ프레시안(최형락)

▲ 장애인 이동권 투쟁 20주년 사진전 <버스를 타자>. 5월 13일부터 6월 3일까지 마로니에 공원에서 열린다. 본격적인 이동권 투쟁은 2001년 오이도역 장애인 리프트 추락참사가 계기가 됐다. ⓒ프레시안(최형락)

▲ 휠체어를 탄 한 장애인이 전시를 보고 있다. 그는 20년 동안의 일들이 모두 기억난다고 말했다. ⓒ프레시안(최형락)

▲ 슬로건 '1919193B20'은 19회를 맞은 영화제, 코로나19, 장애인권리협약 19조, build back better(3B), 장애인 이동권 투쟁 20주년의 의미를 담았다. 3B는 '더 나은 재건'을 뜻하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대선 공약에서 따왔다. ⓒ프레시안(최형락)

▲ 마로니에 공원의 오후. 풍경은 여유로워 보이지만 휠체어 탄 장애인이 공원으로 나오려면 많은 난관을 넘어야 한다. 이동권은 장애인들의 가장 큰 이슈다. ⓒ프레시안(최형락)

▲ 남인순 의원실이 지난 1월 보건복지부의 자료를 받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며느 국내 코로나19 사망자의 약 20%가 장애인이다. 코호트 격리의 취약성이 드러났지만 시설 격리의 상황은 여전하다. 장애인들은 '탈시설'을 통해 지역사회로 나올 수 있도록 정부와 사회가 협력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프레시안(최형락)

ⓒ프레시안(최형락)

▲ 영화 '파리행 특급 제주도 여행기'와 '길 위의 세상' 출연자와 제작팀. 몇몇 대도시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방도시들은 휠체어를 태울 수 있는 저상버스가 턱없이 부족하다. 저상버스 도입이 미진한 이유는 관련법에 의무조항이 없기 때문이다. ⓒ프레시안(최형락)

▲ 마로니에 공원 ⓒ프레시안(최형락)

▲ 마로니에 공원의 저녁. 사람들의 그림자가 벽에 드리워져 있다. ⓒ프레시안(최형락)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