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포항제철소 외주업체 노동자 4명의 가스질식사고는 제철소 내 험한 작업은 외주사가 맡아서 하는 현 노동 현장 구조상 예견된 것이었다.
포항제철소의 경우 제철소 조업공장 별로 50여개의 외주파트너사 소속 1만여 명의 노동자들이 이른바 '위험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포스코 정규직원들은 외주사 작업을 감독하고 있는 노동구조다.
때문에 최근 5년간 포항제철소에서 크고 작은 안전사고로 숨지거나 다친 근로자들은 무려 12명(사망 6명, 부상 6명)에 달하고, 이들 대부분 외주업체 소속 직원이다.
외주사 노동자들의 채용방식 또한 각종 자격증을 갖춘 전문인력 중심으로 외주사가 자체적으로 선발한 후 포스코 주관의 일정 교육 이수 후 현장에 배치되지만, 일부 일용직의 경우 연고 위주로 채용돼 안전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
기계정비 외주사에서 근무했던 A(45) 씨는 "제철소 조업지원 노동 특성상 한순간이라도 방심하면 바로 사망사고로 연결될 수 있는 위험작업은 전부 외주사 노동자들이 전담하고 있다"면서 "노동강도 또한 높지만 임금 구조는 포스코 정규직 대비 절반을 약간 넘는다"고 말했다.
때문에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일부 대기업의 불법하청 및 하청노동자들의 처우 개선 요구가 촉발되면서 포스코는 지난해 9월 사내하청업체에 지급되는 '외주비' 1000억 원을 인상해 외주사 노동자들의 임금 수준을 포스코 정규직과 연차적으로 맞춰간다고 밝혔다.
그러나 외주사로서는 포스코가 인상한 외주비로서는 소속 직원들의 임금인상 등 처우개선에 턱없이 부족하며 상대적으로 외주사 부담금만 늘어 인력감축과 노동강도 악화란 악순환만 되풀이되고 있다는 입장이다.
포스코 외주사협회 한 관계자는 "제철소 내 고위험 작업은 대부분 외주사가 맡고 있는 현실이지만 포스코 직원과 외주사 직원 간 큰 임금격차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 면서 "포스코 외주사 운영방식에 대한 대대적인 수술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