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삼 묻습니다. 왜일까요? 왜 사람들은 '스폰서 검사'에 분노하는 걸까요?
새삼 묻는 이유가 있습니다. 새삼스럽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꼴 저 꼴 다 봤습니다. 검찰에 관해서는 별꼴을 다 봤습니다. '검사와의 대화'를 통해 '순혈주의'를 봤고, 노무현·한명숙 수사를 통해 '정치 검찰'을 봤고, '삼성 X파일'을 통해 '떡검'을 봤고, 천성관 검찰총장 내정자를 통해 '스폰서 검사'를 봤습니다.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PD수첩'에 의해 폭로된 '스폰서 검사'의 실상은 익히 보아온 것들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굳이 다른 걸 찾자면 '떡검'에 '색검' 사례가 추가됐다는 정도입니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분노합니다. '아니나 다를까' 하면서 '썩소' 한 번 날리고 마는 게 아니라 대놓고 성토합니다.
도대체 왜일까요? 반복되는 자극에 둔감해지는 게 생리법칙인데 왜 사람들은 이런 생리법칙을 따르지 않는 걸까요?
개인적으로 한 마디 말에 주목합니다. 어느 지검장이 'PD수첩'의 취재를 받다가 내뱉었다는 막말 한 마디입니다
"네가 뭔데?"
이 막말에 주목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지검장의 고압적인 자세가 국민 감정에 불을 질렀다고 보기 때문만이 아닙니다. 수많은 사람들 또한 지금 검사를 향해 '네가 뭔데?'를 묻고 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고압적인 자세가 아니라 진중한 자세로, 무시하면서가 아니라 고민하면서 이렇게 묻고 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 검찰 로고 ⓒ검찰청 홈페이지 |
결과가 이율배반적이더군요. '법은 누구에게나 공평하다'는 응답률이 25.6%, '내가 법의 주인이다'는 응답률이 9.1%에 불과했는데도 '내가 억울한 일을 당하면 법에 도움을 청할 것'이라는 응답률이 71.1%에 달했습니다.
이 모순된 수치가 모든 걸 설명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사람들이 검사를 향해 던지는 '네가 뭔데?'라는 질문에 대한 답일 내포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사람들은 법을 불신합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법 집행과 적용을 불신합니다. 그런데도 어쩔 수가 없습니다. 법에 호소할 수밖에 없습니다. 주먹과 권총에 호소하는 서부개척시대가 아니기에 어쩔 수 없이 법에 호소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불신하지만 기대합니다. 검사를 불신하면서도 검사에 의지합니다. 검사를 향해 '네가 뭔데?'라는 질문을 던지면서 마음에 양가의 감정을 담습니다. 아주 위태롭게, 아주 처절하게 양가성을 유지합니다.
'스폰서 검사'는 이 위태로운 양가성을 흔든 것인지 모릅니다. '역시나'를 예감하면서도 '혹시나'를 버리지 못하는 절절한 마음에 분탕질을 한 것인지 모릅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스폰서 검사'에 분노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인지 모릅니다. 마지막 지푸라기마저 빼앗겼다는 느낌 때문일지 모릅니다.
부기 - 이렇게 보니 '스폰서'는 '불신'의 화신 같습니다. 일말의 기대라도 갖고 있었다면, 불신하면서도 일말의 믿음을 유지하고 있었다면 비싼 돈 들여 술 사주고, '2차' 보내고, 택시 잡아주지는 않았을 테니까요. '스폰서'는 검사에 대한 양가성조차 없었던 것이지요.
* 이 글은 뉴스블로그'미디어토씨(www.mediatossi.com)'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