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 01월 18일 20시 00분
홈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노마드 몸 철학의 생태학적 세계
[바둑의 인문학]
제 5강. 노마드 몸 철학의 생태학적 세계 1. 노마드적 삶의 구성 장기나 체스의 말들처럼 외부에 의하여 부여된 내재적 성질이라는 가족적이거나 사회적, 혹은 국가적 지위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몸이 지니고 있는 생명의 욕망으로 존재하는 노마드적 존재의 삶의 방식은 자체의 몸이 지니고 있는 생성적 욕망, 잠정적인 무리들의 관계로 형성되는 사회적 욕망,
장시기 동국대학교 교수
2016.05.28 06:13:36
노마드의 내재성과 생명철학
[장시기의 바둑의 인문학]
제 4강. 노마드의 내재성과 생명철학 1. 노마드의 내재성 체스와 장기의 말들은 체스판이나 장기판에 놓이는 순간, 절대로 변하지 않는 각각의 말들이 지니는 "내재적 성질"을 부여받는다. 졸은 졸이고, 마는 마이고, 포는 포이며, 왕은 왕이다. 졸이나 마, 혹은 포나 상, 그리고 왕이나 선비는 각각의 정해진 길이 있으며, 그러한 각각의 정해진 길을 가다가 죽
2016.05.13 10:14:45
체스와 장기의 국가철학과 바둑의 노마돌로지
[장시기의 바둑의 인문학] ③
"장기는 국가 또는 궁정의 놀이로 특히 중국 황제가 즐기던 것이다. 장기의 말들은 모두 코드화되어 있다. 즉 행마나 포석, 그리고 말끼리의 적대관계를 규정하는 내적 본성 또는 내적 특성을 구비하고 있다. 즉 각각의 내재적 성질을 부여받고 있다. 마는 마이고, 졸은 졸이며, 포는 포이다. 말 하나 하나는 소위 상대적 권력을 부여받은 언표의 주체와 비슷하며,
2016.04.18 13:42:10
문화 연구와 바둑 인문학
[장시기의 바둑의 인문학] 들뢰즈의 바둑의 발견<2>
질 들뢰즈의 바둑의 발견과 비견될 수 있는 영미문화권에서 일어난 지적 변화의 사건은 아마도 "삶의 방식", 혹은 "생명의 존재방식"의 발견이라고 할 것이다. 문화학(Culturology), 혹은 문화연구(Cultural Studies)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는 레이몬드 윌리암스(Raymond Williams). "'culture'란 영어에서 가장 복잡한 의
2016.03.26 08:36:37
들뢰즈의 바둑의 발견
인공지능의 대표 알파고와 인간지능의 대표 이세돌의 바둑 대결! 물론 알파고가 인공지능의 대표도 아니고 이세돌이 인간지능의 대표도 아니다. 로봇으로 명명되는 인공지능의 다양한 역할이 있고, 예술이나 철학 그리고 과학의 영역에서 인간지능의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수많은 사람들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결은 세간의 관심을 집중시키
2016.03.09 10:3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