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5년 한일협정 이후 일본 정부가 제공한 보상금(대일 청구권 자금)이 기업에 지급된 것은 잘못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들에게 지급해야 마땅하다는 것이다.
"대일 청구권 자금은 강제동원 피해자에게 지급돼야"
강제동원진상규명시민연대(시민연대)는 11일 오후 70여 명의 회원이 참가한 가운데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정부가 강제동원 피해자들에 대한 보상 명목으로 지급한 청구권 자금을 받아 성장한 국내 기업과 기관을 공개하는 한편 이들 기업이 피해자들의 몫을 돌려줄 것을 촉구했다.
이 자리에서 김인성 시민연대 공동집행위원장은 "한일협정을 맺으면서 일본 정부로부터 청구권 자금을 도입하는 데 강제동원 피해자들을 이용했다. 그러나 정부는 일본이 지급한 자금을 강제동원 피해자가 아닌 기업에 제공했다"며 "강제동원 피해자들은 정부와 기업의 반민족적 행위에 의해 또 한번 인권이 짓밟혔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피해자의 몫은 피해자에게 돌아가야 한다"며 "정부가 추진 중인 '일제강점하 국외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에 관한 법률'에 재단 설립 조항을 추가하고 이를 통해 일본 정부의 청구권 자금 수혜기업들이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몫을 돌려주도록 촉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대일청구권 자금 받아 성장한 기업 10곳, 일본의 전범 기업 10곳 발표
시민연대가 이날 일본 정부의 청구권 자금으로 성장했다고 발표한 기업과 기관은 포스코, 한국도로공사, 한국철도공사, 외환은행, 한국전력공사, KT, KT&G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과학기술원, 기상청이다.
시민연대는 또 일제강점기에 한국인을 강제동원하여 정당한 임금을 지급하지 않고 초과노동을 강요한 일본 기업 10곳을 '10대 전범기업'으로 선정해 발표했다.
시민연대가 선정한 '10대 전범기업'은 미쓰비시 중공업, 신일본제철, 후지코시, 쇼와전공, 일본강관, 동경마사, 미쓰이, 다이헤이 머티어리얼, 스미토모금속공업, 오카모토 등이다.
"'동원'이라는 이름으로 아버지를 뺏긴 슬픔을 아는가?"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시민연대 회원들은 대부분 강제동원 피해자의 가족들이다. 이들은 기자회견 내내 '동원'이라는 명목으로 일본에 의해 강제로 가족을 뺏겨야 했던 슬픔을 토로했다.
전남 나주에서 올라왔다는 시민연대 회원 장 모 씨(70세)는 "일본에 의해 강제 동원된 아버지는 탄광에서 혹사당하다 결국 해방 전에 돌아가셨다"라며 "소학교(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에 돌아가셔서 아버지 얼굴도 기억하지 못 한 채 자랐다. 이렇게 쌓인 한을 누구에게 호소해야 하느냐"고 탄식했다.
이들은 포스코센터 앞에서 기자회견을 마치고 나서 시민연대가 '10대 전범기업' 중 하나로 선정한 미쓰비시 중공업 한국 지사를 항의 방문한 뒤 해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