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중생 신효순ㆍ심미선양 사망사건을 일으킨 두 미군병사를 한국측에 인도하지 않으려는 미국측의 입장에 대해 친미적 성향의 한국 국민들마저 분노하고 있다고 미국의 뉴욕타임스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신문은 사건 발생후 약 50일만의 첫 보도에서 사망한 여중생들은 이제 "반미 운동가들에게 거의 신화적인 존재가 되어 있"으며 "반미 운동가들은 이 사건을 주한미군 철수운동 재개의 계기로 삼고 있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이어 이번 사건은 "한국전쟁 이후 반세기 동안 한국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에 대한 한국 국민의 가장 민감한 감정(the deepest Korean sensitivities)을 보여 주는 현안이 되고 있다"면서 "(반미) 시위가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미 양국 관계자들은 이 사태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확신을 갖고 있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특히 "미군측이 범죄인 인도를 거부함에 따라 미군의 한국 주둔에 찬성하는 일부 한국 국민마저 분노하고(upset) 있다"고 밝혔다.
특히 주한미군사령관과 미 대사 등 미 고위관리들이 앞다투어 이번 사건에 대해 사과를 표명하고 있지만 그 어떤 제스처도 한국민들의 분노를 잠재우지 못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다음은 뉴욕타임스 기사의 주요 내용.
***'한국인들, 여중생 사망사고에 대한 미군측의 처리방법에 항의하다'**
지난 6월 13일 오전 친구의 생일잔치에 가기 위해 시골길을 걷고 있던 여중생 2명이 미 육군 병사 2명이 몰던 장갑차에 치여 사망했다.
7주가 지난 지금 이 여중생들은 반미 운동가들에게 거의 신화적인 존재가 되어 있다. 반미 운동가들은 이 사건을 주한미군 철수운동 재개의 계기로 삼고 있다.
지난 달 31일 서울 시청 앞에서 열린 집회에서 한 시위자는 "죽은 여중생들이 미군 없는 세상에서 환생하길 바란다"고 소리쳤다.
여중생 사망사고는 한국전쟁 이후 반세기 동안 한국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에 대한 한국 국민의 가장 민감한 감정을 보여 주는 현안이 되고 있다. 시위가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미 양국 관계자들은 이 사태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확신을 갖고 있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사건 직후 미군사령부는 도로 시야를 막은 장애물에 일부 원인이 있으며 미군 병사들의 잘못은 아니라고 밝혔다. 미군 병사들을 한국측에 넘기라는 요구가 빗발치자 미군사령부는 사건 후 3주가 지나서야 이들을 과실치사죄로 공식 입건했다.
그러나 미군사령부는 미군을 인도하라는 한국 법무부의 요구에 응하지 않고 대신 미 군법회의에 회부할 것을 고집하고 있다.
한미 주둔군 지위 협정(SOFA)에 따르면 미국은 범죄 미군을 한국측에 인도할 수 있다. 하지만 미군측이 범죄인 인도를 거부함에 따라 미군의 한국 주둔에 찬성하는 일부 한국 국민마저 분노하고(upset) 있다.
김대중 대통령의 한 측근은"우리는 주한미군의 필요성을 잘 알고 있다"면서 "그러나 SOFA 규정이 한국인에게 불공평하다고 말하는 국민이 많다"고 말했다.
한편 미군 사령관과 대사 등 미 고위 관계자들은 이번 사고에 대해 앞다투어 사과하고 있다. 미군 장병들은 철야 촛불 기도를 올리고, 여중생 가족들을 위해 모금도 하고 이들을 기리는 추념비 건립 기금을 조성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제스처 어느 것도 사고를 낸 미군병사들이 이번 사건에 진심 어린 사과를 하지 않고 있으며 이들의 태도에 화가 난 카투사들과 주먹다짐을 벌였다는 한국 TV 보도에 대한 믿음을 약화시키지는 못했다.
미군사령부는 성명서를 통해 "이런 보도들은 전부 허위"라고 말했다. 미군 대변인 말에 따르면 실제로는 문제의 장갑차와 함께 훈련차 이동중이던 차량 행렬이 멈춰 섰으며 장병들은 미친 듯이 도움을 요청했다.
그러나 시위자들은 부시 대통령의 직접 사과, 장갑차 운전병과 지휘관 인도 등 미국이 자신들의 요구에 응할 때까지 투쟁을 계속하겠다고 다짐하고 있다.
김 대통령은 여중생 사망에 대해 애도를 표한 것 말고는 침묵을 지키고 있어 12월 대선을 앞두고 자신의 정치적 입장이 난처함을 보여 준다. 시위를 비판하면 일부 유권자들이 멀어질 위험이 있고, 찬성하다가는 중대한 한미 안보 동맹을 복잡하게 만들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