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스탠포드대학 입학은 미셸 위 셀러브리티의 정점이었다. 하버드와 예일에 주눅 든 한국에서 스탠포드대생 미셸 위는 골프만으로 평가할 수 없는 한국적 셀러브리티의 명성을 획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시엔 미셸 위와 관련된 모든 것이 기사화됐다. 떡볶이를 좋아한다는 것도 뉴스였고 방송에서 튀어나온 "야마 돈다"는 비속어도 뛰어난 한국어 실력의 증거였다. 혹자는 빼어난 미모를 좋아했을 수도 있다. 또 스탠포드라는 타이틀에 매력을 느꼈을 수도, 300야드 가까이 되는 호쾌한 드라이브샷에 감탄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미셸 위 인기의 기저에 같은 한국인이라는 핏줄의식이 작동했다는 것은 부인하기 힘들다. 그런데 그렇게 열광했던 미셸 위가 한국 국적을 포기했다.
국적, 국가가 부여한 의무가 아니라 개인의 선택이자 권리
법무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9만220명의 외국인이 한국 국적을 취득했고 10만6588명의 한국인이 외국 국적을 취득했다. 국경 없는 글로벌시대가 아니라 국적 없는 글로벌 시대인 듯하다. 국적 변경의 이유도 다양하다. 정치적 신념, 국제 결혼, 취업 등이 일반적 이유이다. 재력가들은 조세부담 경감을 위해 국적을 변경하기도 한다. 스포츠 세계에선 올림픽 출전을 위해 새로운 조국을 택하는 것이 흔한 일이다.
다양한 이유에도 불구하고, 범죄자들의 도피용 국적세탁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적변경은 새로운 기회와 꿈을 향한 개인의 선택이라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국가가 발전할수록 국가단위, 기업단위, 개인단위의 국제 네트워킹이 활발해지며 개방사회로 진입하기 때문에 국적변경은 더욱 자연스러워지고 일상화될 것이다. 국제연합(UN)은 이미 1948년 12월에 채택한 세계인권선언 15조에서 1. 모든 사람은 국적을 가질 권리를 가진다. 2. 어느 누구도 자의적으로 자신의 국적을 박탈당하거나 자신의 국적을 바꿀 권리를 부인 당하지 아니한다고 명시했다. 국적 선택의 권리는 기본적 인권이라는 뜻이다. 당연히 미셸 위는 한국 국적을 포기했다는 이유만으로 비난받아서 안 되고 비난받을 이유도 없다.
▲미셸 위는 한국에서 큰 상업적 성공을 거뒀다. 언론은 그의 이름 옆에 '위성미'라는 한국식 이름을 괄호 표기했다. ⓒ뉴시스 |
'자랑스러운 한국인'의 불편함…언론의 애국주의와 상업주의
미셸 위는 LPGA에서 원래 미국 국적이었다. 중계방송의 리더보드엔 미셸 위의 이름이 성조기와 함께 표기된다. 모두 알고 있다. 그런데도 언론은 성공한 재미교포 골퍼 미셸 위가 아닌 '자랑스러운 한국인, 우리 선수 미셸 위'를 고집했다. '재미교포 미셸 위' 보다 '자랑스러운 한국인 미셸 위'가 좀 더 먹히기 때문이다. 히트상품 '미셸 위' 개발을 위한 언론의 코드는 미모와 학벌, 그리고 한국인이었다. 미셸 위의 한국에 대한 기억, 한국인으로서의 정서, 한국음식에 대한 기호는 모두 뉴스화됐다. 전쟁과 가난에 한 맺힌 시절, 국민에게 위안과 희망을 주자는 애국주의 저널리즘의 '자랑스러운 한국인' 프레임이 군부독재의 국가주의 저널리즘을 거쳐 히트상품 판매를 위한 상업주의 프레임으로 진화된 것이다.
"한국인이라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는 미셸 위의 인터뷰 내용이 배신의 증거인양 자주 인용된다. 지금도 미셸 위는 스스로 한국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미국에서 태어나고 교육받고 성장한 미셸 위가 한국계임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미국인으로 살아가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지 않을까?
솔직해지자. '자랑스러운 한국인'은 미셸 위가 한 말이라기보다 우리가 듣고 싶어했던 말이다. 언론이 뽑고 싶었던 기사제목이었다. 미셸 위뿐만이 아니다. 한국계 미식축구 스타 하인즈 워드, 한국 입양아 출신 프랑스 장관 플뢰르 펠르랭도 그랬다. 마치 국적 검증하듯 한국계 스타가 등장하면 언론은 어김없이 '자랑스러운 한국인'을 만들어낸다. 한국계임을 잊지 않고 살아가는 미국인 미셸 위에게 국적 포기에 대한 비난의 화살이 꽂힌다면 그것은 미셸 위가 한국을 배신했기 때문이 아니라 언론이 쳐놓은 '자랑스러운 한국인' 덫에 걸렸기 때문이다.
미국 스포츠자본주의 기획상품 미셸 위와 빅토르 안을 선택한 쇼트트랙 황제 안현수
나이키와 소니가 미셸 위에게 각 500만 달러씩 모두 1000만 달러를 투자할 당시, 미셸 위는 불과 16세였다. 조기 발굴, 물량공세, 철저한 독점, 글로벌 마케팅으로 이어지는 미국식 스포츠자본주의의 작동방식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일찌감치 '돈의 맛'을 안 미셸 위가 프로에서 배운 것은 골프만이 아니었다. 2005년 남자대회인 일본프로골프투어 카시오월드오픈이 미셸 위를 초청하기 위해 지불한 비용은 200만 달러. 자가용 비행기에 경호비용까지 모두 포함된 액수이다. 2006년 국내서 열린 SK텔레콤오픈 출전도 적지 않은 초청비용이 들어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에서 열리는 대회니까 기꺼이 자원해 참가했다고 생각했다면 순진한 착각이다. 엄청난 초청비용 이외에도 미셸 위는 건설회사 신영과 30억 원짜리 광고계약을 맺었다.
미셸 위에게 한국행은 고수익창출의 마케팅행사였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박지성 마케팅을 비난할 수 없듯이 미셸 위의 한국마케팅 역시 비난받을 이유는 없다. 비난해야 한다면 미셸 위의 비즈니스를 '자랑스러운 한국인의 고국방문'으로 포장한 언론의 상업주의이다. 감동적인 고국방문을 그대로 믿었다면 미셸 위 팬들의 순진함도 귀책에서 벗어나긴 힘들듯 하다.
미셸 위의 한국 국적 포기 배경에 대한 분석이 분분하다. 스폰서 확보를 위해 미국 국적을 선택했다는 분석이 중론이다. 일부에선 외국국적 불행사 서약서 작성 시기를 놓쳤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2011년 발효된 국적법은 선천적 복수 국적자에게 만 22세 전에 국내에서 외국 국적을 행사하지 않겠다는 서약서를 쓸 경우 복수 국적을 인정한다. 미셸 위가 이 서약서를 쓸 시기를 놓쳐 한국 국적을 포기하게 됐다는 얘기이다. 배경이 어떠하든 명확한 것은 미셸 위가 미국과 한국 국적을 두고 택일해야 되는 상황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미국 국적을 선택했다는 것이다. LPGA 골퍼로서, 재미교포 2세로서 당연한 선택일 수도 있다.
빅토르 안(안현수)과 신의손, 당예서 등의 귀화가 미셸 위와 비교된다. 올림픽 출전과 더 좋은 환경이 공통적인 귀화의 배경이지만 선수 개개인의 속사정은 다를 수밖에 없다. 당예서는 올림픽 출전을 위해 무려 8년이라는 인고의 세월을 견뎌냈다. 대한한공 탁구부 훈련 파트너로 한국에 온 것이 2000년. 19살 한창 나이였다. 당예서는 자신의 꿈을 위해 2007년 귀화시험 합격까지 20대 청춘을 무명의 훈련 파트너로 묻어야했다. 빅토르 안의 귀화는 좀 더 처절하다. 생존을 위한 마지막 카드였기 때문이다. 세계쇼트트랙의 황제로 군림하면서도 빅토르 안은 언제부터인가 국가대표로 뽑히지 못했다. 전 소속팀이었던 성남시청이 해체되면서 황제는 하루아침에 청년 실업자로 전락했다. 빙상연맹과 척을 진 안현수에게 손을 내미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운동선수로서의 생명을 이어가기 위해 안현수는 자신을 원한 러시아를 택했다.
1000만 달러 소녀 미셸 위의 한국 국적 포기는 아쉬울 것이 없는 선택이다. 철저하게 상업화된 LPGA 골퍼의 선택이기도 하다. 그래서 단지 귀화선수라는 잣대를 들이대면서 빅토르 안과 당예서를 미셸 위와 함께 거론하는 것은 왠지 불편하다. 빅토르 안과 당예서의 귀화엔 미셸 위에서 보기 힘든 한국적 현실의 고뇌와 삶의 무게가 있기 때문이다.
스포츠시사 팟캐스트 '최동호의 한국스포츠당' ☞ 바로가기 <6회 방송 안내> [이슈] "미셸위 국적포기, 안현수와는 다르다." / 정희준 동아대교수 [피플] "UFC 여성챔피언 탄생, 격투기와 여성" / 김남훈 UFC 해설위원. 프로레슬러 [오피니언] "나진균의 야구세상 - WBC 1라운드" / 나진균 오베이스볼 대표. 프로야구선수협회 초대 사무총장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