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 항만, 도로 등 지역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도시숲'이 내년까지 부산에만 12곳이 만들어진다.
부산시는 민선7기 공약인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도시숲 확대'를 위해 미세먼지 차단숲 국비사업을 적극 유치하며 공약 실천에 나섰다고 30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 연말 미세먼지 저감 국가사업으로 처음 시행되는 미세먼지 차단숲 사업에 사상구 사상공단 지역이 선정되어 10억원(국비 5억원) 규모 사업을 현재 추진 중에 있다.
올해 8월 정부 추경에는 사하구 감천항주변 30억원 및 강서구 신호공단주변 10억원 등 총 40억원(국비 20억원) 규모의 예산을 반영해 하반기에 본격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미세먼지 차단숲' 사업은 산림청에서 '도시바람길숲' 조성사업과 함께 역점사업으로 추진하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신규 도시숲 사업으로 지난해 하반기에 사업신청 및 대상지 선정과 자체 신규사업 사전심사 절차 등을 통해 올해부터 시행하고 있으며 국비 50% 보조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사업은 숲을 활용해 미세먼지를 흡착·흡수할 수 있도록 발생원 및 생활권 주변에 빽빽한 숲을 조성해 주거지역 유입·확산을 억제하는 사업으로 조성단가는 1ha당 10억원(국비 5억원)이 투입된다.
주로 산업단지 주변 및 도시재생 사업지역, 항만, 발전소, 소각장, 도로, 터널, 나대지 등 미세먼지 발생원 주변에 차단숲 기능이 최대한 발휘되면서 많은 국민이 직접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도시화 지역의 대면적 대상지로 기존 완충녹지 보완식재 등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으로 사업추진이 가능하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도시숲은 미세먼지(초미세먼지)를 30~40% 감소시키고 여름 한낮평균 기온을 3~7℃ 낮추며 습도는 9~23% 상승시켜 도시열섬 완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로변에 수림대를 조성할 경우 자동차 소음을 70~80%까지 줄이며 나무 1그루당 연간 2.5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1.8t의 산소를 방출, 대기정화에도 효과가 있으며 이외에도 도심 속 휴식공간 제공 및 심리적 안정 등 누릴 수 있는 혜택이 참으로 다양하다.
부산시는 내년도에는 올해 3개소 50억원(국비 25억원)을 넘어선 9개소 70억원(국비 35억원) 규모의 예산을 신청해 사업을 확대해 기존 공단지역을 비롯한 터널주변, 대로변 보도 및 완충녹지 등 다양한 미세먼지 발생원 주변에 '미세먼지 차단숲'을 조성해 생활권 주변에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최근 설계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으며 전문가 의견 등을 반영하여 적정 사업 대상지 선정 및 내년도 사업 실시설계를 연내 마무리해 부산의 특성을 살린 바다와 산과 하천을 연계해 도심 내 녹지축을 연결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