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 이재명 대통령 선거 후보가 말한 '전북 삼중 소외론'이 전북지역에서 큰 공감대를 형성했다.
'전북 삼중 소외론'은 전북이 지방이라고 차별을 받고 호남으로 홀대를 받는데 더해 호남 안에서 전남·광주에 비해 현저하게 소외를 받아온 처지를 대변한다.
'전북 삼중 소외론'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지난 5월 16일 전북 지역 유세 중 언급했으며 그는 "국가정책의 심각한 문제다. 이제는 바꿔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전북 유권자들에게 강인한 인상을 심어 줬다.
그래서 인지 이재명 대통령의 전북 지역 득표율은 지난 대선에 이어 82%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전북에서 102만 3272표, 득표율 82.65%를 기록해, 10.9%에 그친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88만 8천 여의 큰 표 차를 보였다.
대통령 당선 이후 이재명 대통령은 광주를 시작으로 최근에는 대구, 경기 북부 등 지역을 잇따라 방문하며 타운홀 미팅을 개최했지만 전북에서는 언제 열릴 지 기약조차 없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21대 대선에서 '전북 삼중 소외론'을 언급 하면서 "균형발전 전략은 지방에 대한 배려나 선심이 아닌 필수"라며 전북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고 그 결과 전북에서 압도적 지지를 이끌어 낸 바 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의 약속은 말에 그쳤고 그 결과는 또 다시 '호남 안에서의 홀대'로 나타나고 있다는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정부는 1조 2000억 규모의 인공태양(핵융합)연구시설 부지를 선정하면서 공고문에 명시된 '우선검토사항' 규정조차 어기면서 전남 나주시로 선정했다.
전북도는 이 조항이 "단순평가 항목이 아니라 다른 조건보다 먼저 적용되는 우선권 기준"이라고 항변하고 있다. 또 토지 이전이 가능한 지역에 우선권을 부여한다는 원칙도 무시됐다"면서 "최소한의 행정의 기본 원칙조차 정부 스스로 허문 것"이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은 30일 간 이의신청을 검토한 후 최종 판단을 내린다는 입장이지만, '이재명 국민주권정부'에 대한 전북민의 신뢰는 이미 무너져 내린 것이나 마찬가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