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한 내란 종식은 개헌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제7공화국을 열 수 있도록, 호남에서 개헌을 주도해야 합니다."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전남 해남·완도·진도)이 '12·3 비상계엄' 사태를 '제2의 5·18'로 규정하고 검찰·사법·언론 개혁을 통한 '완전한 내란 종식'의 최종 목표는 '개헌'이 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박 의원은 21일 광주 전일빌딩245에서 시민단체 '광주 개헌넷(준)' 초청으로 열린 '빛의 혁명 1년, 호남 정치의 길' 특강에서 "지난 1년간 우리는 정권교체를 이룩했지만 윤석열·김건희 등 내란 세력은 건재하고 검찰은 내란을 자초했으며 사법부는 침묵하고 있다"면서 "아직도 내란은 진행 중"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12·3 내란은 제2의 5·18"이라며 "1980년 광주가 없었더라면 우리는 모두 감옥에 있었을 것"이라고 규정했다.
그러면서 "정청래 대표,추미애 법사위원장, 최민희 과방위원장을 비롯해 박지원이 가장 강성주의자"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대로 두면 민주주의는 흔들린다"며 "검찰, 사법, 언론에 대한 강력한 3대 개혁이 지금 이 시대 최고의 정의이며 호남이 완전한 내란 종식의 선봉에 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근 불거진 '내란 청산 피로감' 주장에 대해서도 "나라 걱정이 아니라 내란 세력들의 자기보호 논리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다만 박 의원은 " 한 이슈가 3개월 이상 되면 시들해지는데 이제 1년이 된다"면서 "개복 수술 중에 환부를 보고도 덮을 수는 없다. 환부만 신속하게 도려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이를 위해 대통령은 안보와 민생, 당은 강력한 개혁, 특검은 수사에 집중하는 '3대 분립'이 필요하다"며 "원칙적인 문제일 때는 싸워야한다. 광주시민과 함께 호남사람들이 싸워서 내란을 종식하고 3대 개혁을 완수해야 민주주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내란 청산의 최종 완성 단계로 '개헌'을 제시하며 내년부터 본격적인 준비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과거 대선 때 이재명 후보 요청으로 정권교체에 집중하기 위해 내가 나서 개헌 논의를 차단했다"고 밝히며 "하지만 이제 우리는 집권했고 미래도 준비해야 한다. 올해 특검을 마무리하고 내년 초부터는 개헌 논의가 활발히 될것이며, 쉬운 것은 먼저 내년 6월 지방선거에 국민투표를 하고 어려운 것은 국회의원 선거 때 해 2차례로 진행하자. 국정과제 1호인 개헌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개헌은 늘 주체, 시기, 내용 등 디테일에 악마가 있다"면서 "개헌 논의 역시 호남이 중심을 잡고 국회에서 절제되고 생산적인 논의가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을 7공화국 문을 활짝 여는 성공한 대통령을 만드는 것이 광주 전남 호남 사람들이 해야 할 일"이라며 "지금은 내란 종식에 집중하고 다음은 개헌"이라고 거듭 강조하며 개헌 요구가 성숙되면 국회에서 역할을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대장동 1심 항소 포기에 대해서는 "검찰이 주장하는 7800억 원의 불법 이익은 끝까지 환수해야 한다"면서 "현재 성남도시개발공사 등이 민사소송을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환수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번 항소 포기는 대통령이나 장관의 외압, 지시 없이 사법부와 검찰이 독자적으로 결정한 것이며, 검찰 내부 문제를 집단행동으로 표출한 일부 검사들의 '선택적 항명'에 대해서는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월간 호남'을 표방한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를 향해 "'월간 박지원'은 있어도 장동혁의 '월간 호남'은 안 된다"며 "(장 대표가) 온다고 해서 호남 민심이 바뀌는 것은 아니라 (국민의힘이) 내란을 옹호하고 극우를 결집하는 상황에서, 호남이 완전한 내란 종식의 선봉에 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