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내년부터 어린이집에 다니는 3~5세 유아에 대한 실질적인 무상보육을 전면적으로 추진한다.
부산시와 부산시의회는 10일 오후 부산시청 1층 들락날락에서 '2026 어린이집 3~5세 전면 무상 보육 선포식'을 열고 부산시의회와 함께 내년부터 3~5세 필요경비 및 0~2세 급간식비를 전격 확대 지원하는 등 보육분야 전반의 지원을 대폭 확대한다고 밝혔다.
먼저 부산시는 '당신처럼 애지중지' 주요 시책사업 중 하나인 '어린이집 필요경비 지원사업'의 지원 금액을 월 4만원 확대 지원한다. 월 1만원의 부모부담행사비를 3~4세에 대해서도 확대 지원하고 기존 미지원 항목인 특성화비용을 3~5세 유아 모두에게 월 3만원씩 신규 지원해 진정한 무상보육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필요경비란 전액 무상으로 지원되고 있는 보육료 외 기존 부모가 부담하던 실비 성격의 비용으로 특별활동비·현장학습비·부모부담행사비·특성화비용 등이다. 이 가운데 내년부터 신규 지원되는 특성화비용은 통상적인 보육프로그램 외에 별도 프로그램 진행 시 필요한 교재교구비를 말한다. 유치원 다니는 아이와 어린이집 다니는 아이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 지원 확대를 결정했다는 것이 부산시의 설명이다.
3~5세 유아에 비해 지원 금액이 적었던 0~2세 영아에 대한 급간식비 지원금액도 내년부터 월 8000원에서 월 1만2000원으로 4000원 인상한다. 0~2세 영아에 대한 지원금액을 대폭 상향해 유아 급간식비 지원금과의 격차를 줄인다. 이에 따라 부산시 어린이집 급식의 질이 대폭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보육료 지원 사각지대에 있는 외국 국적 3~5세 유아에 대해서는 월 10만원의 보육료를 자체적으로 지원한다. 정부지원 보육료는 지원대상을 대한민국 국적으로 한정하고 있어 외국 국적은 적게는 월 28만원, 많게는 월 56만7000원의 보육료를 자부담해야 했다.
아울러 '부산형 365열린시간제 어린이집'과 '시간제 보육기관'을 확대하고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기 위한 '공동직장어린이집'도 2곳이 새롭게 문을 열어 7곳으로 늘어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지난해 부산의 합계출산율이 9년 만에 반등하고 지난 6월에는 출생아 수 증가율이 전국 시도 1위를 기록했다. 부산시는 이 긍정적 흐름 속에서 시의회와 긴밀히 협력해 어린이집 3~5세 실질적 무상보육을 추진하게 됐다"라며 "보육뿐 아니라, 교육·일자리·주거까지 아이를 키우는 전 과정이 연결된 통합 육아도시 부산으로 계속 나아가겠다"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