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보증기금이 올해 총 5865억 원 규모의 채권담보부증권(P-CBO)을 발행해 기술중소기업 303곳의 자금 조달을 지원했다. 지난해보다 1100억 원 늘어난 규모로 기술기업의 안정적 자금 확보와 성장 사다리 강화에 기여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10일 기보에 따르면 하반기 2992억 원 규모의 P-CBO를 추가 발행하면서 올해 전체 발행액이 5865억 원에 달했다. 이를 통해 기술기업들이 은행 대출 중심의 간접금융을 넘어 직접금융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특히 부산·울산 지역에서는 자동차 부품, 기계소재, 조선기자재, 2차전지 분야 기업들이 주요 수혜 대상으로 꼽힌다.
P-CBO는 신용도가 낮아 자체 자금조달이 어려운 중소기업의 회사채를 유동화회사가 인수하고 이를 기초자산으로 다시 발행하는 유동화증권이다.
기보는 유동화회사의 채무를 보증해 기업이 낮은 금리로 자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올해 발행된 P-CBO 가운데 5223억원은 신규 자금 지원, 642억원은 기존 회사채 차환에 활용됐다. 이 중 795억원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에 부합하는 33개 친환경 기업을 대상으로 한 녹색자산유동화증권(G-ABS) 형태로 발행됐다.
기보는 올해부터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협력해 G-ABS 제도를 본격 시행했다. 녹색경제를 실천하는 기업에는 이차보전 기간을 3년으로 확대하고 첫해 최대 3%포인트, 이후 2~3년 차에는 지원금의 절반 수준을 보전해 금융 부담을 완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지 절감 설비 구축과 친환경 공정 전환 등 실질적인 녹색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기보 관계자는 부산과 울산을 포함한 지역 기술기업들이 P-CBO를 통해 안정적인 자금망을 확보함으로써 기술개발과 수출 확대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어 녹색금융 확대가 지역 주력산업의 친환경 전환에도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P-CBO가 기술기업의 자금난 해소에 실질적 도움이 되고 있지만 일부 중소기업은 여전히 담보력 부족과 시장 접근성 한계로 지원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지적한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과 정책기관의 협력을 통해 발행절차를 간소화하고 초기 기업에 대한 보증한도 확대와 지방 중소기업 전용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