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민주당 소속 최민휘 과방위원장에 대한 공세를 계속 이어나갔다. 이들은 딸 결혼식 논란, MBC 보도본부장 퇴장 논란 등 최 위원장을 둘러싼 논란들을 집중 조명하면서 최 위원장 사퇴를 촉구했다. "국회는 민의의 전당이지만 과방위는 민희의 전당", "잘못했으면 (최 위원장에게) 귀싸대기를 맞는 것 아닌가 하는 그런 생각을 하게 된다"는 등 수위 높은 발언도 분출됐다.
국민의힘 박충권 의원은 30일 국회 과방위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등 대상 국정감사에서 최 위원장을 겨냥 "방송사 뉴스가 마음에 안 든다고 개별 보도 편성에 관여할 수 없는 보도본부장을 폭언으로 모욕주고 국감장에서 쫓아냈다", "인터넷 뉴스가 마음에 안 든다고 권한도 없는 방심위에 비공식 루트로 차단조치를 문의하고 해당 기자에게는 압박해서 기사를 내리도록 만들었다"며 "어떤 국민이 이 감사를 인정하겠나"라고 비판했다.
같은 당 이상휘 의원도 "위원장의 자리는 국정감사를 엄중하고 공평하고 형평성 있게 이끌어 나가야 될 자리"라며 "그런데 위원장님이 이 부분에 대해서 사적인 의혹으로 인해서 그 위상과 역량이 흔들려 버렸다", "(야당이) 어떤 질의를 해도 (국정감사의) 객관성을 어떻게 보장을 하겠는가"라고 꼬집었다. 이 의원은 특히 최 위원장의 '딸 결혼식 논란'을 두고 "자의든 타의든 피감기관이 어쨌든 드러났지 않나"라며 "축의금을 줬다 말았다, 이게 얼마나 유치한 얘긴가"라고 했다.
이날 최 위원장은 "지금은 국정감사가 중요"하다며 본인 논란에 대한 국민의힘 측 비판에 무대응으로 일관한 채 질의를 진행시켰지만, 이 의원은 "국정감사가 중요하다지만 그런 윤리적인 부분, 도덕적인 부분, 자격적인 부분들에 대해서 (최 위원장은) 아직까지도 이야기하지 않고 있다"며 "국정감사의 본질적 의도와 목적 자체가 훼손됐는데 제가 여기 피감기관에 계시는 우리 기관장님들한테 무슨 자격으로 질의를 하고 거기에 대해서 비판을 하나"라고 재차 비판했다.
실제 이날 국민의힘 측 의원들은 피감기관에 대한 질의보단 최 위원장 논란들에 대한 비판에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했다. 최수진 의원은 "발언기회를 안 주셔서 제 질의 시간에 (최 위원장 얘기를) 하는 것"이라며 "최근 구글 트렌드 검색량만 봐도 최민희 위원장이 김현지 실장의 2배가 넘고 있다", "과방위 국정감사가 한 개인의 일탈 행위로 지금 파행을 겪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그러면 최소한 책임을 지는 것이 도리"라며 "최 위원장은 지금이라도 국민 앞에 사과하고 위원장직에서 물러나셔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최 위원장을 겨냥한 날선 발언들도 터져나왔다. 이 의원은 "세간에서는 '국회는 민의의 전당이지만 과방위는 민희의 전당'이라고 이야기를 한다"며 "참 부끄러운 얘기가 아닌가"라고 최 위원장을 질타했고, 최 의원은 "과거 강선우 의원도 인사청문회 당시 갑질 논란으로 버티다 결국 이재명 정부 지지율 하락의 도화선이 되었다"고 꼬집었다. 김장겸 의원은 최 위원장이 문화방송(MBC) 보도본부장을 질타한 끝에 그의 퇴장을 지시한 일을 두고 "퇴장 조치로 끝난 게 다행"이라며 "잘못했으면 귀싸대기 맞는 것 아닌가 하는 그런 생각"이라고 비꼬기도 했다.
이날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진숙 전 방통위원장도 최 위원장 공세에 가세해 눈길을 끌었다. 이 전 위원장은 '최 위원장 측이 이 전 위원장 재임 당시 딸 결혼식 화환을 요청했다'는 의혹을 국민의힘 박정훈 의원이 제기하자 "사실이다. 제가 거짓말을 할 이유가 없다. 결혼이 알려진 9월 24일 이전 요청을 받았다", "최민희 의원실 보좌관으로부터 연락을 받았다"며 "개인적으로 어이는 없었다", "제가 기관장으로 있는 곳의 예산을 더 깎지 않을까, 또 보복받지 않을까 하는 차원에서 (화환을) 보내라고 했다"고 주장했다. "국감이 끝난 뒤 모든 입장을 밝히겠다"며 본인 의혹에 대해 대응을 하지 않고 있던 최 위원장은 이 전 위원장의 이 같은 발언에는 "이진숙 씨에게 절대로 연락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은 최 위원장 논란에 크게 대응하지 않은 채 "이제 정쟁은 제발 좀 그만해 주시면 좋겠다"(황정아 의원)고 상황을 일축, 피감기관 질의에 집중했다. 민주당은 특히 '김건희 명품가방 수수 의혹' 당시 '조그마한 파우치' 발언으로 논란이 됐던 박장범 한국방송공사(KBS) 사장에 대해 "KBS 역사상 최악의 사장", "내란정권의 낙하산 사장"이라는 등 맹비난하며 공세를 이어나갔다.
민주당 이훈기 의원은 박 사장 취임 이후 KBS 상황과 관련해 "올해 당초 예산 대비 1850억 원의 적자를 냈다", "지상파 중에 시청률이 공짜다", "방송의 공공성을 파괴하고 있다"는 등 비판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 의원은 특히 "박장범은 '파우치 박', '김건희의 머슴'으로 국민들한테 각인이 돼 있다", "이런 사람이 어떻게 공영방송 사장을 할 수 있겠나"라는 등, 윤석열 전 대통령 재임 당시 대통령 영부인 김건희 전 코바나콘텐츠 대표에 대한 '편파보도' 논란을 중심으로 박 사장의 거취를 압박했다.
과방위 여당 간사 김현 의원은 KBS가 지난 29일 정기이사회에서 2026년도 예산을 균형 수지로 편성하는 계획을 보고하면서 "KBS가 내년에 균형 수지 예산을 편성할 수 있게 된 것은, 박장범 사장과 직원들이 똘똘 뭉쳐 TV수신료 통합징수법안을 통과시켰기 때문"이라고 밝힌 것을 두고 "무슨 박장범 사장과 직원들이 똘똘 뭉쳐서 통합징수법안이 통과됐나"라며 "인면수심하지 마시고 적반하장 하지 마시라"고 질책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통합징수법은) 전 대통령께서 거부권을 행사했지만 212명의 국회의원들이 똘똘 뭉쳐서 최초로 거부권 행사된 법안이 통과된 것"이라며 "이렇게 남의 성과를 가로채고 마치 본인의 성과로 만드는 것은 공영방송 사장으로 적당하지 않다. 그래서 사퇴하라는 말씀을 다시 한번 드린다"고 해 역시 박 사장의 사퇴를 촉구했다. 그는 박 사장이 취재현장 안전조치를 위한 확인을 직접 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안전관리지침을 위반했다", "박 사장은 남의 공은 가로채고 현장의 일은 그냥 보고받는 정도의 사장"이라고도 했다.
'이진숙 방통위' 체제 당시를 겨냥한 비판도 이어졌다. 김우영 의원은 안상권 방미통위 위원장 권한대행에게 질의하는 과정에서 "이진숙·김태규 2인 체제 하에서 (언론에 대한) 행정소송이 진행되고 있는 게 총 42건이다. 그중에 11건이 판결이 완료됐는데 방미통위가 승소한 것은 딱 1건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다 패소 혹은 일부 패소다"라며 "이진숙·김태규 두 분이 이 무리한 소송이 중대한 과실일 수도 있음을 인지하고도 그 소송을 강행한 것은 국가배상법 구상권 청구 대상에 속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안 대행에게 "방미통위는 조속히 법률적 검토를 거쳐서 이진숙·김태규 두 사람에 대한 구상권 청구를 착수해야 된다고 보는데 법률적 검토를 한번 보시겠나"라고 물었다. 안 대행은 "여기까지 검토를 해보진 못했다"며 "위원회가 구성이 되면 이런 여러 가지 부분을 포함해서 위원회에 보고를 한번 드리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새벽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승인한 데 대해 "안보의 핵심 사안을 해결함과 동시에 우리 원자력 기술을 한 단계 도약시킬 핵심 브릿지가 마련된 것"이라고 평가하며, 유관기관장인 최원호 원자력안전위원장에게 관련 연구·개발을 당부하기도 했다. 황 의원은 "핵잠수함의 관건은 소형원자로 SMR의 우라늄 연료 확보"라며 "우리 원자력기술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기회다. SMR 개발에도 더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최 위원장에게 주문했다.




전체댓글 0